아하
검색 이미지
화학 이미지
화학학문
화학 이미지
화학학문
외로운고래123
외로운고래12323.03.25

고름이 생기는 원리에 대해서 궁금합니다.

상처가 나거나 염증이 생기면 하얀 고름이 생기잖아요?

어떨 때는 누런 고름이 흐르기도 하구요.

이런 고름은 왜 몸 안에서 생기는 걸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9개의 답변이 있어요!
  • 하얀 고름이나 누런 고름이 생기는 것은 염증 반응에 의해 방어 기작으로서 몸이 보내는 신호라고 볼 수 있습니다. 염증 반응은 몸이 병원체나 손상을 입은 부위에서 발생하는 생체 방어 기작입니다.

    염증 반응이 일어나면, 면역 세포들이 병원체를 공격하거나 손상된 조직을 수리하려고 이동합니다. 그런데 이 과정에서 혈관에서 노폐물이 나오게 되고, 이것이 하얀 고름으로 형성됩니다. 하얀 고름은 대부분 백혈구, 노폐물, 염증 반응에 참여하는 세포들, 세포의 파편 등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반면, 누런 고름은 지방질이나 뼈의 파편, 물질의 침투 등에 의해 생긴 것이며, 상처를 심하게 악화시키는 감염의 가능성이 있으므로 조심해야 합니다.

    즉, 고름은 몸의 방어 기작으로써 염증 반응에 의해 생기는 것입니다. 상처를 예방하고 염증 반응을 억제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상처나 염증이 생기면 몸 내부의 면역 체계가 병원체와 싸우면서 백혈구와 염증 조직세포가 염증 부위로 이동하고, 염증 부위에서 활동하다가 소멸되면서 덩어리 모양의 고름 형태로 남습니다. 이때 고름이 투명하거나 흰색이면 백혈구와 염증 조직세포가 많이 포함된 것이고, 노란색이면 그 안에 지방 분자가 포함되어 있는 것입니다. 이러한 현상은 면역 체계에서 병원체와 싸우기 위해 몸이 일시적으로 높은 열을 내는 것과도 관련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고름은 일반적으로 피부 아래쪽에서 생기는 농양으로, 피부가 감염되어 염증이 생기면서 발생합니다.

    염증 반응은 백혈구가 감염 부위로 이동하여 세균이나 바이러스와 싸우고, 부서진 세포 조각과 함께 형성한 것이 농양입니다.

    고름이 생기는 다른 이유로는 여드름, 지루성 각화증, 미각 선종, 무좀, 감염성 질환 등이 있습니다. 다만 이러한 것들 역시 염증 반응이라는 점은 동일합니다.

    고름의 색상은 그 원인과 고름 내부의 물질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고름의 색은 노란색이지만, 갈색 고름은 헤모필루스인플루엔자나 기타 세균 감염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으며, 녹색 고름은 익모라칼렐라 침습균에 의해 발생합니다. 또한 흰색 고름은 지루성 각화증, 미백증, 지방성 피부염 등의 피부 질환에서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고름은 면역 체계와 병원균 간의 대결에서 생겨난 결과물입니다 우리몸에 상처가나 세균이 들어오면 면역 체계의 일종인 백혈구들이 병원균과 싸우는데 이때 죽은 병원균이나 백혈구의 사체가 고름의 형태로 나오는 겁니다


  • 안녕하세요. 설효훈 과학전문가입니다. 몸에 상처가 나면 그 부위에 세균들이 들어오는데요. 그럼 몸은 백혈구가 이 세균들과 싸움이 진행됩니다. 이때 싸움이 끝나면 백혈구, 세균, 혈액 등이 모여서 고름이 되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상처나 염증이 생기면 몸은 그 부위를 치료하기 위해 면역 체계를 동원합니다. 면역 체계는 이물질, 세균, 바이러스 등을 제거하기 위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상처와 염증 부위에 침투한 세균, 염증 세포 등을 제거하기 위해 백혈구를 해당 부위로 보냅니다. 이 백혈구는 세균이나 염증 세포 등을 먹어치우고, 소화를 한 후, 그 잔여물을 몸 밖으로 배출하기 위해 해당 부위의 조직 사이로 나가게 됩니다.

    이때 백혈구의 소화 작용으로 생긴 잔여물, 백혈구 자체의 파괴로 생긴 물질, 그리고 염증을 일으키는 화학 물질 등이 모여서 고름(농양)을 형성하게 됩니다. 고름 안에는 백혈구, 세균, 염증 세포, 그리고 염증을 일으키는 화학 물질들이 함유되어 있으며, 때에 따라서는 혈액이 섞인 노란색 고름이 생길 수도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병윤 과학전문가입니다.


    고름은 신체의 방어기전에 의해 생기는 부산물입니다.


    감염으로부터 방어위해 백혈구등이 세균과 싸워 생기는 부산물이라 생각 하시면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상처나 염증이 생기면 몸은 방어기작으로 백혈구를 보내서 이물질을 제거하고 상처 부위를 치료하려고 노력합니다. 이때 백혈구들이 상처 부위에서 염증을 일으키는 화학물질을 방출하면, 이 화학물질은 백혈구들을 끌어모아 염증 반응을 유발합니다.

    염증 반응이 일어난 부위에서는 백혈구와 함께 피부세포, 염증 세포 등 다양한 세포들이 모여서 치료를 위한 작업을 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염증 반응을 일으키는 세포들이 상처 부위에서 분비한 화학물질과 다양한 세포들의 분비물들이 모여서 흰색 또는 노란색의 고름이 형성됩니다. 이러한 고름은 염증 반응을 통해 치료 작업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나타내는 것입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3.25

    안녕하세요. 김경욱 과학전문가입니다.

    고름은 염증 반응에서 생기는 체액과 염증 조직에서 발생하는 염증 세포들이 섞여 만들어진 것입니다. 염증 세포들은 주로 백혈구와 염증 매개체인 혈관 내피 세포, 염증 조직 세포 등이 있습니다.

    체내에서 염증이 발생하면, 염증 매개체인 화학 물질이 생산되어 염증 조직으로 이동하면서 혈액순환에 참여합니다. 이 때 염증 세포들은 혈관 내피를 뚫고 염증 조직에 도착합니다. 염증 조직에서는 염증 세포들이 불필요한 세포와 조직 부산물들을 제거하기 위해 살아있는 백혈구들과 함께 노력합니다. 그 결과로 염증 조직에는 백혈구와 염증 세포들이 섞인 체액인 고름이 생기게 됩니다.

    고름은 주로 염증이 발생한 부위에서 나타나며, 염증이 발생한 부위의 피부와 접촉하여 감염을 일으킬 수도 있으므로 조심해야 합니다. 염증이 발생하는 원인은 다양하지만, 대표적인 예로는 감염, 알러지, 부상, 자극 등이 있습니다. 따라서, 고름이 지속적으로 발생한다면, 해당 부위에 대한 적절한 치료와 조치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