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체의 진화적인 질문이요 남자는 왜 아직 젖꼭지가 있죠?
여자의 젖꼭지는 아이의 젖을 물리기 위함이라는 분명한 쓰임이 있는데 왜 남자도 젖꼭지가 없어지지 않고 계속 있는걸까요? 아니면 다른 기능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네, 질문해주신 사항에 대해 답변 드리자면, 남성에게 젖꼭지가 존재하는 이유는 발생학적 과정과 진화적 맥락을 함께 살펴보면 이해할 수 있습니다. 포유류의 배아는 초기 발달 단계에서 아직 성별이 구분되기 전, 공통된 기본 설계도를 바탕으로 형성되며 이때 젖꼭지는 이미 만들어지는데요, 이후 남성 호르몬이나 여성 호르몬의 영향을 받아 생식 기관과 이차 성징이 분화되지만, 일찍 형성된 젖꼭지는 퇴화되지 않고 그대로 남게 되는 것입니다. 또한 진화의 관점에서도 남성의 젖꼭지는 특별히 제거될 선택 압력을 받지 않았습니다. 어떤 기관이 진화적으로 사라지려면 그 기관이 생존이나 번식에 불리하게 작용해야 하는데, 남성의 젖꼭지는 있어도 큰 해를 끼치지 않기 때문에 굳이 사라질 필요가 없었던 것입니다. 오히려 생존에 이득이 되는 방향으로 강한 압력이 작용하지 않는 한, 이러한 중립적인 특징은 세대를 거듭하면서 자연스럽게 유지되게 됩니다. 감사합니다.
1명 평가먼저도 답을 드렸지만, 남성과 여성 모두 젖꼭지를 가지고 있는 이유는 인간의 배아 발달 과정 때문입니다.
인간 배아는 처음에는 남녀 구분이 없는 상태로 발달합니다. 이 초기 단계에서 젖꼭지를 포함한 유방 조직의 원형이 형성되느데, 이 과정은 성별을 결정하는 유전자가 작동하기 이전에 일어납니다.
이후 수정 후 약 4~6주가 지나면 Y 염색체에 있는 유전자가 활성화되면서 남성 호르몬인 테스토스테론이 분비되는데, 이때부터 남성과 여성의 신체적 특징이 다르게 발달하게 됩니다.
하지만 젖꼭지는 이보다 훨씬 이른 시기에 이미 만들어졌기 때문에, 남성 호르몬의 영향을 받지 않고 그대로 남아있게 되는 것입니다.
남성의 젖꼭지는 태아 발달 과정에서 성별이 분화되기 전에 형성된 흔적 기관이기 때문에 남아있는 것입니다. 젖꼭지 형성은 태아기 5~6주경에 시작되는데, 이 시기에는 성별이 구분되지 않은 상태입니다. 이후 남성과 여성의 성 호르몬이 작용하면서 생식기관이 각각 다르게 발달하지만, 젖꼭지는 이미 만들어진 상태이므로 남성에게도 퇴화하지 않고 남아 있게 됩니다. 남성의 젖꼭지에는 특별한 기능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