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무역 이미지
무역경제
무역 이미지
무역경제
대견한아비205
대견한아비20523.03.14

자동차는 해외에어 어떻게 들어오나요?

흔희 외제차라고 불리우는 차들이나 우리나라에서 수출하는 차들이 있잖아요. 이러한 차량들은 해외에서 국내로 들어올때 어떻게 운반되어 지는지와 과정이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홍유영 관세사입니다.

    해외 이사화물로 자동차를 가지고 들어오시는 경우 해외 이사화물 통관 예약을 해야 합니다.

    이사화물 통관예약은 당일 통관희망자를 파악하여 컨테이너 작업을 완료함으로써 보다 신속한 통관을 위한 절차입니다. 예약을 하시지 않으면 통관에 장시간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통관절차가 완료된 물품을 계속 창고에 놓아두면 파손이나 분실의 위험이 있으며 보관료를 더 물어야 하기 때문에 당일 출고하는 것이 좋습니다.

    통관지 세관은 서울, 인천, 용당, 대전 세관중에서 선택이 가능하다고 합니다.

    해외에서 타던 자동차를 국내로 가지고 들어오는 방법에 대한 소개 글을 링크해 드리니 참고 해보시기 바랍니다.

    http://www.encar.com/cc/common.do?bbsno=157061&ctgr=r&method=view_iframe


  • 안녕하세요. 왕희성 관세사입니다.

    완성자동차의 경우 일반적으로 선박을 통해 운송하며, 자동차 전용선[RO/RO선 (Roll on/Roll off Vessel), PCC(Pure Car Carrier)]으로 수출입 하고 있습니다.

    다만, 중고자동차의 경우 다음 사진과 같이 운송 시 컨테이너에 실려서 운송하는 경우가 있으며, 자동차가 흔들리지 않게 컨테이너에 묶는 작업을 쇼링이라고 한다는 점도 같이 참고 부탁드리겠습니다.

    자동차 통관과 관련된 절차를 설명해놓은 관세청 사이트가 있어 링크드리니 한번 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https://www.customs.go.kr/kcs/ad/cntnts/cntntsView.do?cntntsId=8455&mi=8455

    도움이 되셨기를 바라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재상 관세사입니다.

    1. 해상운송

    해상운송으로 오는 경우에는 카캐리 또는 컨테이너에 쇼링해서 반입됩니다.

    카캐리란 선박자체가 자동차를 운송하기 위해 설계된 선박으로써, 카캐리선 자체가 커다란 주차장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컨테이너의 경우 차량을 싣고나서 흔들리지 않게 쇼링이라는 작업을 합니다. 쇼링을 하게되면, 쇼링을 풀기 전까지는 흔들리지 않기 때문에 소량 또는 고급차량의 경우 컨테이너를 통해 수입됩니다.

    2. 항공운송

    항공운송의 경우에는 항공기에 싣고나서 흔들리지 않게 작업 이후 운송하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재민 관세사입니다.

    자동차는 RO/RO선 (Roll on/Roll off Vessel)으로 운반되게 됩니다.​

    RO-RO선은 쉽게 설명하면 차나 트럭으로 화물을 배 안으로 바로 실었다 나를 수 있는 선박을 통칭하는 용어인데, 섬에 갈때 타는 여객선(차를 바로 배에 실을 수 있는 선박)을 생각하면 이해가 쉬울 겁니다.​

    Ro-Ro 시스템은 화물을 적재한 트레일러(Trailer, 트럭 또는 트랙터의 뒷부분에 견인되는 차)가 선측과 벽안 사이에 놓인 램프(Ramp, 경사로)를 건너 현문(舷門, 선박의 뱃전 옆에 설비한 출입구)을 통해 선내에 들어가 그대로 지정장소에 장치하는 운송하는 수평하역방식(Horizontal Type)이 있습니다.

    <종류>

    • 자동차 전용 운반선(Pure Car Carrier; PCC)

      오직 자동차만을 운반하기 위해 건조된 전용선으로, 자동차는' 스스로 굴러갈 수 있는 화물'이므로 RO-RO선의 하위 분류로 본다. 운전자가 동승하진 않으므로 한번에 많이 적재하기 위해 커다란 건물처럼 지어올림.

    • 자동차 및 트럭 운반선(Pure Car & Truck Carrier; PCTC)

      자동차와 트럭을 같이 운반하기 위해 건조된 전용 운반선으로, 최근에는 한번에 8,000 대 이상을 실어나를 수 있는 대형 운반선도 있음

    • 카 페리 (Car Ferry)

      여객선의 일종으로 여객 수요를 어느 정도 노려볼 수 있는 곳은 객실을 좀 제대로 꾸며서 화물의 신속한 운반을 도모. 순수 화물선에 비해 여객이 조금이라도 있으면 입항이 우선되기 때문.

    • 철도연락선

      철도 수송에서 호수 등 수면에 의해 단절되어 철도 궤도를 설치하는 것이 곤란한 경우 양쪽을 연결하기 위해 그 수면에 설치된 항로에 취항하는 선박. 해당 항로 자체를 가리키기도 함. 그리고 차량갑판에 철도 차량을 넣기 위한 레일이 부설되어 있음

    답변 내용이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시길 바랍니다.

    '추천' 및 '좋아요'를 눌러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박재민 관세사 드림


  •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

    자동차의 경우에는 자동차 운반용 선박들이 따로 있습니다. 통상적으로는 현지에서 수출통관을 마친 뒤 이러한 선박에 일렬로 주차하여 다른 국가로 이동한뒤, 해당 국가에서도 직접운전하여 양하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각 주요부두에는 이를 전문적으로 수행하시는 인력들도 존재합니다.

    자동차 운반의 핵심 '자동차운반선' : 네이버 블로그

    답변이 도움되셨으면 하며, 도움이 되신 경우 추천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홍재상 관세사입니다.\

    자동차는 보통 선박으로 들어오는데, 일반적인 컨테이너선이나 벌크선으로 들어오기보다는 RO-RO(Roll On - Roll Off)선박을 통해 수입됩니다.

    https://m.blog.naver.com/dsjang650628/221617120890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