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지식의물결
지식의물결24.03.01

개미는 어떻게 길을 잃더라도 잘 찾아가나요?

개미는 개미집을 한번 만들면 그 경로대로 계속 집을 만들어갈 뿐만 아니라 바깥에서 먹이를 찾을때도 최단거리로 가는것으로 알고있습니다. 대체 어떤 원리일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손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개미는 놀랍게도 매우 발달된 사회적 행동을 보이는 생물입니다. 개미는 개미집을 만들 때 특정한 경로를 따라서 집을 만들어가는 것이 아니라 개별 개미들이 서로 협력하여 집을 만들어갑니다. 이를 '개체의 지능이 아닌 집단의 지능'이라고 부릅니다.

    개미들은 집을 만들 때 서로 향하는 화학적인 신호를 주고받으며 그 신호를 따라서 집을 만들어갑니다. 이러한 화학적인 신호를 '페로몬'이라고 부르며 개미들은 이를 통해 서로의 위치를 파악하고 집을 만들어갑니다.

    그리고 개미들은 먹이를 찾을 때에도 최단거리를 찾아가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는 개미들이 먹이를 찾을 때 자신의 페로몬을 따라서 가는 것이 아니라 다른 개미들이 남긴 페로몬을 따라서 가기 때문입니다. 이를 통해 개미들은 먹이를 찾는 동안 서로의 위치를 파악하고 최단거리로 이동할 수 있게 됩니다.

    그리고 개미들은 먹이를 찾는 동안 자신의 페로몬을 남기며 이를 통해 다른 개미들이 먹이를 찾을 때에도 최단거리로 이동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이러한 페로몬의 활용은 개미들이 길을 잃더라도 서로의 위치를 파악하고 최단거리로 이동할 수 있게 해줍니다. 이러한 행동은 개미들이 발달된 사회적 행동을 보이는 생물이기 때문에 가능한 것입니다.

    제가 개미들의 행동을 연구하고 이를 통해 사회적 행동을 이해하는 데에도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박성학 과학전문가입니다.

    개미가 길을 찾는 것은 우리가 거꾸로 걷거나, 빙글빙글 돌면서도 제대로 길을 찾으려 하는 것과 비슷하다고 합니다. 개미를 가지고 실험한 결과 개미들은 하늘에서 태양의 위치를 알아낸 뒤 알고 있는 주변의 시각 정보와 결합해서 길을 찾는다고 해요


  • 안녕하세요. 이충흔 과학전문가입니다.

    개미는 우리가 생각한 것 이상으로 길을 찾는 명수입니다. 과학자들은 개미들이 그들이 바라보는 방향과는 상관없이 나침반을 갖고 있어서 그 길을 따라간다고 말합니다. 개미가 길을 찾는 것은 우리가 거꾸로 걷거나, 빙글빙글 돌면서도 제대로 길을 찾으려 하는 것과 비슷합니다. 실험 결과 개미들은 하늘에서 태양의 위치를 알아낸 뒤, 알고 있는 주변의 시각 정보와 결합해서 길을 찾는다고 BBC가 보도했습니다. 개미들은 방향을 찾는 데서 다른 곤충에 비해 뛰어난 능력을 갖추고 있습니다. 커다란 군집체로 살기 때문에, 그들은 먹이를 찾아서 집으로 가져가야 합니다. 이로 인해 아주 먼 거리를 먹이를 끌고 가야 합니다. 개미의 두뇌는 핀 머리보다 작지만, 두뇌는 꽤 영리하다고 합니다. 개미들은 자율주행차처럼 길을 찾는 데서 다양한 어려움들을 성공적으로 극복하고 길을 찾습니다. 이러한 개미의 행동은 로봇을 길 안내하는 알고리즘을 만드는 데에도 응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과학전문가입니다.
    개미는 길을 잃었을 때도 다양한 방법으로 목적지를 찾아갑니다. 주로 개미는 땅 위를 걸어다니면서 발길자국에 있는 페로몬을 통해 길을 찾습니다. 길을 잃었다면 주변을 둘러보며 페로몬을 탐지하여 다시 길을 찾아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