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주식·가상화폐 이미지
주식·가상화폐경제
주식·가상화폐 이미지
주식·가상화폐경제
까칠한호저172
까칠한호저17224.03.11

미국이 금본위제를 폐지하게 된 이유는 무엇인가요?

1970년대 이전까지는 통화의 가치를 일정한 금의 무게로 환산하는 금본위제가 시행되었다고 알고 있습니다. 그런데 미국의 주도로 금본위제가 폐지된 것으로 알고 있는데 폐지의 배경은 뭔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진영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1970년대 초반 미국이 주도하여 금본위제가 폐지된 주된 배경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달러 과잉 유통

    베트남 전쟁 비용 지출, 복지정책 확대 등으로 미국의 재정적자가 커지면서 달러화가 과잉 유통되었습니다. 이에 따라 달러 평가절하 압력이 높아졌습니다.

    2. 금 편재성 문제

    당시 금 생산량이 제한적이어서 화폐 발행을 뒷받침하기 어려웠습니다. 경제 성장에 따른 화폐 수요를 금으로 따라가기 힘들었습니다.

    3. 달러 정치화 우려

    달러화의 가치가 금에 연동되면서 미국의 통화정책 운용에 제약이 있었습니다. 달러화 가치 하락으로 다른 국가들의 반발도 컸습니다.

    4. 국제 수지 적자

    미국의 국제수지 적자가 커지면서 미국의 금 보유고가 달러 발행을 뒷받침하기 어려웠습니다.

    이에 따라 1971년 8월 닉슨 대통령이 달러의 금 태환성을 일시 정지하고, 1973년 3월 완전히 금본위제를 폐기했습니다. 이를 계기로 주요국 통화가치는 시장 수급에 의해 변동하는 변동환율제로 전환되었습니다.

    금본위제 폐지로 통화정책의 자율성과 융통성은 커졌지만, 인플레이션 억제를 위한 새로운 통화정책 운영 체계가 필요하게 되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금본위제 폐지 이유는 당시 미국의 대외경제상황과 브레튼우즈체제의 붕괴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동하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브레튼우즈 체재가 폐지된 이유는 1960년대 후반 미국의 월남전쟁 확대와 미국내의 인플레이션 등으로 기축통화 국으로 기능하여 온 미국의 국제수지가 악화되고 금준비가 감소됨에 따른 여파입니다.

    뿐만 아니라 유럽의 경기 회복세에 힘입어 유럽에서 금으로 바꿔달라는 요구가 증가함에 따라 미국의 금 유출이 심화되면서 달러 가치가 떨어지게 되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금본위제 폐지의 주된 이유는 미국의 내외 경제 상황과 브레튼우즈 체제의 붕괴에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미국은 1971년, 금본위제를 공식적으로 폐지하게 되었습니다. 미국에서 금본위제는 19세기 후반에 시작되었습니다. 금 공급 부족이 나타난 20세기 중반 이후 금 공급이 감소하면서 금본위제를 유지하기 어려워졌습니다. 금 공급의 부족으로 인해 화폐 발행량을 제한하면서 경기 침체와 인플레이션 등의 문제가 발생하였습니다. 금본위제의 제한성: 금본위제는 통화의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해 발행 가능한 화폐의 양을 제한하는 제한적인 제도였습니다. 따라서 경제 활동이 활발히 이루어지는 현대 사회에서는 경기 부양 등의 목적으로 화폐 발행량을 적극적으로 제어해야 할 필요가 있었기에 보다 자유로운 경제 체제를 위해 금 본위제는 폐지 되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미국이 달러를 많이 찍게 되면서 많은 국가들이 금과 달러의 교환을 요구하여

    금본위제를 폐지한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미국이 금본위제를 폐기하게 된 것은 간단하게 미국의 경제가 힘들어지자 미국에 대한 신뢰를 잃기 시작하면서 금에 대한 환전 요구가 크게 증가하자 이를 환전해줄 금이 부족해지면서 금본위제를 폐지하게 되었던 것이에요


  • 안녕하세요. 홍성택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1971년 미국 대통령 닉슨이 금과 달러의 환산을 중단하고 달러의 가치를 금과 연결시키지 않겠다고 선언한 것이 바로 "브레튼 우즈 시스템 붕괴"의 시작이었습니다. 이는 당시 미국의 경제적 압력과 달러의 과도한 발행으로 인해 금의 공급이 부족해지고 금본위제가 유지하기 어려워졌기 때문이었습니다. 이후 국제 통화체제는 달러 중심의 환율체제로 전환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