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신경과·신경외과 이미지
신경과·신경외과의료상담
신경과·신경외과 이미지
신경과·신경외과의료상담
다아.
다아.23.10.27

아는분이 내시경중에 프로포폴 용량을 초과한것 같습니다.

나이
50
성별
남성
복용중인 약
없음
기저질환
없음

오늘 아는분이 수면으로 위 내시경을 받았는데 몇가지 궁금한 점이 있어서 문의합니다


오전 9시: 간호사가 오른쪽 팔꿈치 안쪽에 주사바늘을 꽂은 후 소량의 식염수를 넣음 (팔꿈치에 혈관이 잘 잡히지 않는다며 간호사가 긴가민가 했음)


오전 9:10: 수면 내시경을 진행하기 위해 내시경 받는 자세(누운 자세에서 주사바늘 꽂은 쪽에 프로포폴 투여, 잠들지 않자 20씩? 3~4회 더 투여 팔꿈치는 뻐근함과 통증이 가속되었고 결국 오른쪽 손등에 바늘을 다시 꽂아 프로포폴 투여해서 잠이듦)


수면 내시경 이후 깨어남: 오른쪽 팔꿈치 통증이 심해서 누운 상태에서 얼음 찜질함)

깨어난 이후 15분 뒤에 5분간 침상에 앉아있다가 내려옴

(간호사에게 프로포폴 투여량을 문의했으나 애써 못들은척 했고 재차 문의해서 보통의 경우보다 2배 많은 양을 투여한 사실을 확인함)


간호사에게 보통의 경우보다 2배 많은 양을 투여해도 문제 없는지 문의 -> 문제없다고 답변 받음


팔꿈치는 부어오르지 않았지만 통증이 심한데 잘못된게 아닌지 문의 -> 잠들지 않아서 많이 투여했다고 얘기함


­­­­­­­­­­­­문의합니다


1. 예전에 수면내시경 받을때는 바로 잠들었는데 이번에 그렇지 않은건 팔꿈치 혈관을 벗어난 다른곳에 프로포폴 투여된게 아닌지 궁금합니다 (현재 팔꿈치는 부어있지 않지만 통증이 심합니다)


2. 보통 사람의 2배를 투여받아도 정말 문제 없는지 궁금합니다


이상입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병관 의사입니다.


    지금 문제가 뭐죠? 팔꿈치는 부어있지않고,, 혈관을 잡으면 통증이 좀 있을수는 있겠습니다. 프로포폴 잠들지 않으면 추가로 투여하는 경우는 흔합니다.


    다른 부작용없이 내시경 잘 받으신거라면 아무 문제없어보이네요?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분야 답변자 외과 전문의 배병제입니다.


    정황으로 추정해볼때, 첫 투약은 혈관 밖으로 새어나갔을 가능성이 높아보입니다. 그러니 잠들지 못했던 것으로 보이고 혈관을 다시 잡고 투약한 약이 제대로 투약되어 잠들 수 있었던 것 같습니다. 혈관 밖으로 투약된 약이 감염증과 같은 문제를 일으키지 않는다면 시간이 지나며 통증이 줄어들 부분으로 보이고, 검사 당일 팔꿈치 통증 외 별다른 문제가 없었다면 투약이 두 배로 된 것에 대해 큰 걱정을 하실 필요까지는 없습니다. 건강을 해칠만한 요소가 되지는 않습니다. 수술중인 상황이나 중환자실에선 내시경을 위해 사용되는 용량보다 훨씬 많은 용량이 사용되기도 합니다.


    저의 답변이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서민석 의사입니다.

    정확한 판단은 어렵네요. 아무래도 직접 혈관을 잡은 사람이 정확하게 알 수 있을테니 말이지요. 통증이 있다고 해서 혈관 밖으로 주사가 새어 나갔을 가능성이 있다고 보기는 어렵답니다. 그리고 프로포폴은 워낙 작용 시간이 짧아서 일반 용량보다 많이 들어갔다고 해도 지금 이미 깬 상태라면 문제가 되지는 않는답니다.


  • 안녕하세요. 신성현 의사입니다.


    1. 예전에 수면내시경 받을때는 바로 잠들었는데 이번에 그렇지 않은건 팔꿈치 혈관을 벗어난 다른곳에 프로포폴 투여된게 아닌지 궁금합니다 (현재 팔꿈치는 부어있지 않지만 통증이 심합니다)

    간혹 프로포폴을 투여하면서 혈관이 터지거나 환자의 과한 움직임으로 인해 바늘이 혈관에서 탈출했을때 프로포폴이 혈관밖으로 새어 투여 되는 경우가 있을수 있습니다. 대개는 냉찜질등을 통해 증상을 완화시키며 문제 없이 회복을 합니다. 내시경을 준비하고 시행하는 과정에서 드물게 어쩔수 없이 발생하는 경우에 해당할수 있으며 병원 조치에 특별히 문제가 있었다고 보이지는 않습니다. 이는 추정일 뿐이고 실제로 수면유도가 잘 되지 않아 약제가 많이 투여되었을 가능성도 있습니다.

    2. 보통 사람의 2배를 투여받아도 정말 문제 없는지 궁금합니다

    수면이 유도되는 용량은 개인마다 차이가 크며 특히 젊은 환자들은 더 많은 투약량이 필요한 경우가 많습니다. 보통사람이라는 기준이 명확치는 않으나 경우에 따라서 2배이상의 약제가 투여되기도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