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Jy천사1004
Jy천사100423.05.07

프랑스의 테니스 코트 서약에 대해서 알고 싶습니다.

안녕하세요? 프랑스대혁명시기에 테니스 코트 서약이라고 있었다고 하는데 어떤 서약이었는지 알고 계시분 답변 부탁드리겠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박세공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1789년 5월 5일 프랑스의 국왕 루이 16세(Louis XVI, 1754~1793)는 미국의 독립전쟁을 비롯해 왕실의 사치로 인한 재정 파탄을 막기 위하여, 삼부회(三部會)를 소집해 세금을 인상하고자 했다. 14세기에 처음 등장한 삼부회는 제1신분 성직자ㆍ제2신분 귀족ㆍ제3신분 평민(부르주아)으로 구분되는 중세적 신분제 의회로, 각 신분별 대표가 동일한 수의 의원으로 구성되었다. 이에 따라 신분별로 심의와 표결에 부치게 되면 특권층인 성직자나 귀족의 대표의원 수에 밀려 세금 인상의 몫은 모두 평민층이 부담할 수밖에 없었다. 이로 인해 제3신분은 2배수의 의원을 요구해 삼부회가 개회됐으나, 제1ㆍ2신분이 끝내 신분별 표결권을 고집하여 삼부회는 결렬되었다.

    결국 1789년 6월 17일 제3신분 평민의원들은 독자적으로 영국식 국회인 '국민의회'를 결성하였다. 여기에 자유주의적 성직자들과 일부 귀족까지 합류하자, 6월 19일 루이 16세는 특권층 의원들과 회의 끝에 국민의회의 해산을 결정하고 삼부회 회의장을 폐쇄시켰다. 이에 대항하여 6월 20일 제3신분 평민의원들은 베르사유 궁전의 테니스 코트인 줴드폼으로 집결하였고, 국민의회의 초대 의장이었던 장 실뱅 바이이(Jean Sylvain Baillie, 1736~1793)는 "헌법을 제정하고 사회 질서를 회복할 때까지 해산하지 않는다."는 내용의 선언문을 발표했다. 이 사건을 '테니스 코트의 서약(Serment du Jeu de Paume)'이라고 한다.

    출처 : 시사상식사전


  • 안녕하세요. 이예슬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테니스 코트의 서약은 1789년에 열린 삼부회에서 표결방식에 불만을 품은 평민대표들이 별도로 '국민의회'를 결성하자, 이에 분노한 루이 16세가 회의장 폐쇄로 맞섰고, 평민대표들은 테니스 코트로 이동한후 헌법제정을 목적으로 '국민의회' 해산 거부를 서약한 사건을 말하는데, 다음의 내용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https://www.asiatime.co.kr/article/202106185001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