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보험

교통사고 과실

느긋한돌고래111
느긋한돌고래111

보복운전으로 인해 사고를 당하게 되면 어떻게 되나요?

보복운전으로 인해 사고를 당하게 되면 어떻게 되나요?

상대방의 보복운전으로 인해서 사고가 나게되면 100% 상대방 책임으로 되는건가요?

모든 보상을 다 받을 수 있게 되는건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강진영 손해사정사입니다.

    보복운전으로 인한 사고는 고의로 인한 사고이기 때문에 의무보험 한도내에서만 배상을 받을 수가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질문자님이 배상을 다 받으시려면 민사소송을 통해 받으실 수 있습니다.

    다른 한 방법은 질문자님의 자동차 보험을 통해 보상을 받으시고, 보험사에서 가해자에게 구상권 청구를 하게 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또한, 자동차보험과(민사)는 별개로, 가해자로부터 형사합의를 통해 별도로 합의금을 받을 수도 있습니다.

    도움 되셨길 바랍니다.

    1명 평가
  • 보복운전으로 사고시 상대방 책임으로 처리될 수도 있습니다.

    다만 사고상황 등 보복운전 과정과 충돌 상황등에 따라 과실이 달라질수는 있어 개별건에 대한 사고조사가 이루어져야 할 것입니다.

    1명 평가
  • 보복운전의 경우 상대방의 고의 사고이기 때문에 보험으로는 원칙적으로 보상이 되지 않습니다.

    다만 대인 피해에 대한 책임보험 영역인 대인 배상1에 대해서는 피해자가 보복 운전을 한 보험사에

    직접 청구를 하게 되면 보상을 하게되는 부분은 있으나 결국 모든 금액을 보복 운전을 한 가해자가

    손해 배상을 하게 됩니다.

    피해자의 입장에서는 보험 적용이 제대로 되지 않기 때문에 형사적인 합의를 하면서 민사적 손해까지

    한 꺼번에 합의를 보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장옥춘 손해사정사입니다.

    상대방의 보복운전으로 인해서 사고가 나게되면 100% 상대방 책임으로 되는건가요?

    모든 보상을 다 받을 수 있게 되는건지 궁금합니다.

    : 우선 보복운전으로 처리가 된다하여도 사고내용에 따라 과실관계를 따질수는 있습니다.

    즉, 보복운전이라고 하여 모든 사고가 가해자의 100% 과실책임이 인정되지 않을 수도 있어, 사고내용을 살펴 보아야 합니다.

    예를 들어, 이전에 고속도로에서 운전중 분쟁이 되어, 차선변경후 급정거함으로써 사고를 유발하여 상대방차량이 추돌한 사고에서도 추돌한 차량측에도 일부 과실이 인정된 바가 있습니다.

    1명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