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문
우리나라 문화재 중에서 대리석으로 만든 것도 있나요?
우리나라의 석조 문화재는 탑이나 불상 등과 같은 문화재를 주로 화강암으로 만들었는데요. 우리나라 석조 문화재 중에서 대리석으로 만든 것도 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구 김포성당이 한국전쟁 직후 건축된 소규모 석조 성당의 전형적인 특징을 볼 수 있습니다. 지붕 형태, 내부 마감 등이 수리되는 과정에서 변경되었지만 대체적으로 석조 성당의 모습을 잘 유지했기에 대한민국 등록문화재 제542호로 지정되었습니다.
국내에서는 대리석으로 만들어진 문화재가 다수 존재합니다. 원각사지 십층석탑이 대한민국 국보 제2호로, 서울특별시 종로구 탑골공원에 위치한 대리석으로 만들어진 석탑입니다.
안녕하세요, 전문가 김찬우 입니다.
우리나라는 대리석을 구하기가 어려워 주변에 쉽게 구할 수 있었던 딱딱한 재료인 화강암을 가공하여 많은 문화재를 만들었습니다. 드물게도 우리나라 문화재중 대리석으로 만든 문화재가 몇점 있습니다.. 대표적인 문화재는 원각사지 10층 석탑입니다. 조선시대 1465년에 만들어진 석탑으로 대리석을 활용하여 아주 화려하게 조각이 되어 있는 석탑입니다. 국보 제2호 입니다. 다음으로는 국보 124호인 강릉 한송사 터 보살상입니다. 고려 10세기에 제작된 작품으로 보살의 관이 길고 높아 당시 유행한 불교양식을 알 수 있는 문화재 입니다.
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리며,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리겠습니다. 추가로 궁금하신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지 댓글달아주시면 답변 드리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