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무역

청춘만화
청춘만화

자동차철강 수출 급감, 관세지원 없나 싶어요·

최근 자동차와 철강 등이 품목 관세 대상이라 수출이 급속 냉각된다는 소식 봤어요. 우리 회사도 이 흐름에 따라 얼마나 리스크를 안고 가야 할지 막막합니다. 혹시 대응 사례 있으신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치호 관세사입니다.

    자동차와 철강은 주요 교역국에서 관세 장벽이 강화될 때 가장 먼저 타격을 받는 품목입니다. 최근에는 특정 국가가 자국 산업 보호 명분으로 추가 관세를 부과하면서 수출 감소가 두드러지고 있습니다. 정부 차원에서는 FTA 협정 활용도를 높이거나 세이프가드 협상에 대응하는 방식으로 기업 부담을 줄이려 하고 있습니다. 기업들은 중간재를 다른 국가로 우회 공급하거나 원산지 기준을 세밀히 맞추는 전략을 쓰기도 합니다. 일부는 현지 생산 법인을 활용해 관세 영향을 최소화하는 방법을 택했습니다. 단순히 세율 지원만 기다리기보다는 시장 다변화와 공급망 분산을 동시에 고려하는 것이 위험을 줄이는 길로 보입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

    이에 대하여는 현재 15% 관세를 우선적으로 빠르게 확정짓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판단됩니다. 그리고 관세의 경우 현재 회피할 수 있는 대상이 아닙니다. 따라서 최대한 빠르게 이에 적응하고 대응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판단되며, 사업계획을 다시 세우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감사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박현민 관세사입니다.

    자동차랑 철강이 동시에 타격을 받으면 운임이나 계약 조건까지 연쇄적으로 흔들리기 때문에 기업 입장에선 부담이 클 수밖에 없습니다. 정부 차원에서도 긴급 세이프가드나 수출보험 지원 같은 대책을 논의하는 경우가 있었고 실제로 일부 기업은 FTA 특혜 활용을 극대화하거나 우회 수출로 리스크를 분산시킨 사례가 있습니다. 현장에서는 관세 지원보다는 거래 구조를 다변화하는 방식으로 대응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 안녕하세요. 홍재상 관세사입니다.

    현재 무역확장법 제232조에 따라 철강,알루미늄, 자동차, 자동차 부품 등 관세부과로 인해 수출 경쟁력에 타격이 있으며, 현재 철강/알루미늄 파생제품에 대한 범위도 확장되고 있어 이에 대한 어려움이 더 많아질 것으로 보입니다.

    일단 미국내에서의 관세정책은 당분간 계속될 것으로 보입니다. 이에 따라 수출시장 다변화 정책이나 원가절감, 고부가가치 제품 개발 등의 전략으로 대응하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이 될 것입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