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기업들의 총주주수익률이 낮은 이유는 뭔가요?
우리나라는 주주들에게 지급하는 수익이 전 세계 평균의 4분어 1에도 못 미칠 정도로 턱 없이 낮다고 하는데 왜 이런 건가요?
다른 건 세계 평균 따지면서 이런 건 왜 개선할 생각도 안하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그 이유는 법인 돈은 기업의 돈이고 주주의 권리인 외국에 비해 우리나라는 법인에 있는 돈은
오너의 돈으로 인식하기 때문에 그렇습니다
뒤로 빼돌리는 방법이 다 있기 때문에 굳이 배당으로 지급해서 내가 돈을 받을 필요가 없이
좀 더 싸게 나에게 이득이 되게 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주주를 위한 결정을 할 필요가 없다고 생각하는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 기업은 오너가 대주주이며 주주지분율이 낮더라도 순환출자로 지배가 가능한 구조입니다
즉 소유와 경영이 분리되지 않고 소액지분으로 지배가 가능한 구조 자회사 상장시키기가 무제한으로 가능한 구조입니다
이에 배당을 해도 지분이 낮고 또한 세금이슈로 굳이 배당확대할 유인이 없고 오히려 상여금이나 일감몰아주기로 본인 지분이 높은비상장 회사로 이익이 나게하여 배당을 받는등의 정책을 하기 때문입니다
즉 주주환원인 배당이나 자사주소각을 할 유인이 지배주주인 오너가 할 이유가 없다보니 매우 낮은 총주주수익률을 보이는것입니다
안녕하세요. 이대길 경제전문가입니다.
이번에 주주 환원을 위하여 상법을 개정하자고 하는데 기업인들이 모두 나와서 반대를 하고 있습니다 거기다가 기업의 편을 든다고 하는 우파 국민의 힘 정부에서도 반은 반대하고 반은 찬성하는 자본시장법 개정을 건의한다고 합니다 모든 법인 사업체에 대해서 상법 개정을 하려고 하는 것은 민주당인데요 소수의 법인만 하자고 하는게 정부 여당입니다 왜냐하면 기업이 먼저 잘 돼야 국민이 잘 산다라는 쪽으로 주장을 하기 때문인데요 사실 빈부격차는 이렇게 많이 생기고 있죠
안녕하세요. 박형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의 총주주수익률인 낮은 이유는 여러가지가 있을 수 있는데 보통 기업의 지배 구조가 불명확한 이유가 있습니다.
배당수익률 또한 OECD 국가 평균인 2.33%보다 훨씬 낮은 1.69%로 기업의 이익이 주주들에게 충분히 환원되지 않음을 의미하는 것이지요.
우리나라 주식은 단기적인 수익만 추구하는 경향이 짙어 장기적인 관점의 투자가 이뤄지지 못하는 부분도 주주환원정책에 어려운 점이기도 합니다.
참고 부탁드려요~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의 기업들은 이익이 나면 유보금으로 오래 보유해서 현금을 쌓거나 재투자하려고 하는데요. 주주환원책에 대한 생각자체가 다른 국가의 기업들 보다 현저하게 하지 않고 있어서 배당을 해주지 않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우리나라 주주들의 수익률이 낮은 이유에 대한 내용입니다.
우리나라 주식 시장은 대주주, 기업 오너를 위한 곳이기 때문에
주식이 오르는 것에 신경을 쓰지 않기 때문입니다.
우리나라 기업들은 대체적으로 배당성향이 낮아 주주에게 배당금으로 돌아가는 이익이 적습니다.
또 주식시장의 변동성이 커 주가 안전성을 떨어뜨려 투자자 수익률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기업재부구조의 투명성 부족 역시 문제이며, 일감 몰아주기나 대주주의 사적 이익 추구로 소액주주들이 피해를 보는 경우가 많습니다.
물적분할 후 자회사 상장 등으로 소액주주 권리가 침해되면서 투자 심리가 위축되는 경향도 있습니다
이러한 환경은 기업의 자본 조달 비용을 높이고 투자 매력을 감소시켜 총주주수익률을 떨어지게 합니다.
최근 정부에서 제도 개선과 상법 개정 등을 추진하여 주주가치 제고에 노력을 하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최한중 경제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 기업들이 총주주 수익률이 낮은 이유는 낮은 배당, 자사주 소각 부족, 재투자 경영관행 떄문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