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별이 유난히도 밝은...
별이 유난히도 밝은...23.04.03

제주 4.3사건은 어떤 불행의 역사를 앉고있는건지요 이념논쟁의 아픔인가요 아님 친일논쟁의 아픔입니까?

이맘때 4월초쯤 제주도민들의 뇌리속에 각인되어있는 4.3사건은 어떤 불행의 역사를 앉고있으며 이념논쟁 희생의아픔인지 일제와 관련된 식민 관련 희생의 아픈 역사를 말하는건지 정확히 알고싶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조형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제주 4.3사건은 1948년 4월 3일부터 5월 1949년까지 제주도 전역에서 일어난 민중항쟁 사건입니다. 이 사건에서는 정부군이 민간인들을 학살하고 마을을 파괴하는 등 인권침해가 일어나며, 이후 국가적인 인식과 대처 등이 논란이 되고 있습니다. 이는 이념논쟁 또는 친일논쟁과는 다른 사회적 갈등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1948년 4월 3일 남한만의 단독정부 수립에 반대한 남로당 제주도당의 무장봉기와 미 군정의 강압이 계기가 되어 제주도에서 일어난 민중항쟁입니다.

    경찰의 3.1절 발포사건을 발단으로 남조선로동당측의 반란과 서북청년회 등 극우단체의 과잉진압으로 무고한 시민들이 대대적으로 희생되었습니다.

    일제 패망 이후 반란을 일으킨 남조선로동당의 인민유격대와 국군, 경찰이 충돌했고 그 이후 서북청년단으로 대표되는 극우 무장단체의 백색 테러를 북한의 남침 위협을 이유로 이승만 정부와 미군정이 묵인하였고 토벌 기간 동안 낮에는 국군과 경찰이 마을을 장악, 밤에는 인민 유격대와 좌익세력들이 점령했습니다. 밤에는 인민 유격대나 좌익들이 나타나 마을 주민들이 괴뢰군과 괴뢰 경찰에 붙어먹었다며 인민재판을 열어 죽이고 낮에는 국군과 경찰이 나타나 의심스러운 징후가 보인다면서 민간인을 처형했습니다.


  • 안녕하세요. 정광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제주 4.3사건은 1948년 4월 3일 제주도에서 일어난 대규모 반정부 폭동으로, 섬 전체에 걸쳐 수십만명의 민간인이 목숨을 잃었습니다. 이 사건은 당시 조선 반미 정부와 북한 사이의 대립 상황에서 발생하였으며, 제주도의 주민들은 북한에 가담하거나 반공적인 행동을 보인다는 이유로 정부군에게 학살당했습니다.

    이 사건은 이념 논쟁이나 친일 논쟁과는 별개로, 제주도 주민들의 인권 침해와 학살로 이어진 비인도적인 사건으로 평가됩니다. 이 사건은 반민주주의와 민주주의 간의 대립, 북한과 남한 간의 대립, 그리고 전쟁의 비극적인 영향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한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제주 4.3사건은 한국의 근현대사에서 가장 비극적인 사건 중 하나로 평가되며, 이를 기념하고 존경하는 것은 물론, 이와 같은 비극적인 사건이 다시는 반복되지 않도록 인권과 평화를 추구하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보안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4.3 사건은 친일 논쟁이기 보다는 이념 논쟁에 더 가깝다고 볼수 있습니다.

    너무 오랫동안 학살에 가까운것을 하다 보니 4.3 사건이

    제대로 알려지는것 조차도 이제서야 서서히 알수가 있었으니

    너무 미안하지요


  •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답변자로서 주관적 답변은 이념의 전쟁입니다.

    그시절이라 가능할수는 있었지만 인간으로서는 하지 말아야 할 사건이었습니다.

    결국은 권력을 지키기위한 하나의 이념이었다고 생각합니디ㅡ


  • 안녕하세요. 이현행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일제 식민지와는 직접적 관련은 없습니다. 분단을 막고자한 움직임의 하나라고 볼 수 있으니 이념적 갈등의 한 사례라고 볼 수 있습니다. 이승만이 단독정부수립을 주장했고 이에 유엔소총회의 결정으로 5.10총선거가 예정되어 있었습니다. 단독정부 수립에 반대하는 노력들이 많았습니다. 김구의 남북협상 노력도 하나지요.

    여수 순천 반란사건이 일어난 것이나 그들이 빨치산 활동을 한 것이나 모두 분단을 막고자한 좌파의 저항이었습니다. 제주 4.3사건은 5.10총선거에 반대하여 이에 군대를 동원해 진압했던 것이고 이에 많은 민간인들이 희생된 사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