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미와 어간의 차이점이 무엇인가요?
국어 문법을 보면 어간과 어미라는 용어가 등장하는데요. 각각의 정의가 무엇이고 어떤 사례가 들어있는지 설명 부탁드리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신필욱 전문가입니다.
한국어는 영어 혹은 유럽어 등과는 달리 어미나 조사에 의한 변형이 많은데 어간 어미라는 것은 용언의 활용에 의하여 말그대로 단어의 뿌리부분 꼬리부분으로 구분되어 의미의 다양성을 부여해주는 고유의 언어기능이라고 이해하시면 되겠습니다.
반면 유럽어 영어는 인칭과 단복수에 의하여 동사와 형용사 등의 격변화를 이용합니다.
희한하게도 우리말과 구조가 비슷한 언어로는 지리적으로는 아시아의 완전 반대에 위치한 형제의 나라 터키어(투르크어 뚜르키에어)가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권태형 전문가입니다.
어미는 활용을 하는 중에 변하는 부분을 말하고, 어간은 활용을 하는 중에.변하지 않는 부분을 말합니다
안녕하세요. 박에녹 전문가입니다.
어미와 어간은 우리말에서 중요한 문법적 요소입니다. 어간은 단어의 기본 형태로 그 단어가 지니고 있는 의미를 담고 있는 부분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 '가다'라는 동사에서 '가'가 어간입니다. 반면, 어미는 어간에 붙어 동사나 형용사의 활용형을 만드는 역할을 합니다. 같은 예에서 '가다'의 경우 어간 '가'에 어미 '~다'가 붙어 '가다라는 형태가 완성됩니다. 어미는 또한 시제 , 존댓말, 부정 등의 다양한 문법적 의미를 나타내므로 어간은 기본 의미를 제공하고 어미는 그 의미를 변화시키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안녕하세요. 서호진 전문가입니다.
어간(語幹)은 그 단어에서 변하지 않는 부분을 뜻합니다
어미(語尾)는 말의 꼬리, 다시말해서 그 단어에서 뒤에 붙는 부분을 뜻합니다
예를 들어 "먹다" 라는 단어를 볼 때
먹었다, 먹어서, 먹는 등의 응용표현이 있지요?
이때 "먹" 은 바뀌지 않기 때문에 어간이고
"다,어서" 같은 바뀌는 부분이 어미 입니다
단어 앞부분에 붙는 것을 뜻하는 어두(語頭)도 있지만
한국어에선 뒤쪽이 가장 자주 바뀌기 때문에 어미가 더 많이 보이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