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내과 이미지
내과의료상담
내과 이미지
내과의료상담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2.09.10

헌혈하기 전에 왜 감기약을 복용하면 안되나요?

나이
31
성별
남성

꾸준히 헌혈을 하고 있다가 환절기성 감기에 걸렸는데,

헌혈 가이드에 따르면 감기약을 복용한 뒤 24시간 후,

조제용 감기의 경우 7일이 경과한 이후 헌혈이 가능하다고 명시되어 있더라구요.


감기약이 피에 영향을 끼치나요 아니면 다른이유 때문인가요?

혹 영향을 끼치면 어떤 원리과 과정 때문에 감기약 복용중에는 헌혈이 불가할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소아청소년과 전문의
    소아청소년과 전문의22.09.11

    안녕하세요. 최연철 의사입니다.

    감기로 약을 복용 중이시라면 헌혈이 어렵습니다.

    처방 없이 약국에서 구입한 종합감기약일 경우 1일,
    병원에서 처방 받으신 경우 3일간 헌혈이 어렵습니다.
    (항생제 등이 포함되어 있다면 1주일간 헌혈이 금지됩니다)
    물론 감기 관련 증상이 좋아져야 헌혈이 가능합니다.

    헌혈을 하는 사람의 컨디션이 양호한 것도 중요하지만,

    수혈을 받는 사람은 중증 기저질환을 앓고 있거나,
    수혈 당시에 컨디션이 좋지 않은 경우다 많이 있기 때문에,
    수혈을 받는 사람이 최대한 안전하게 수혈을 받을 수 있도록
    조금이라도 영향을 줄 수 있는 모든 상황을 배제하기 위함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헌혈을 하기 전에 일반적으로 약물을 복용하지 못하도록 하는 것은 복용한 약물의 성분들이 혈액 속에 떠다니는 상태로 채혈이 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러할 경우에는 수혈을 받은 분에게 불필요하게 약물 성분이 투여되어 좋지 않을 경우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남희성 의사입니다.

    우리가 먹는 약들은 소화관에서 흡수가 됩니다.

    흡수가 된 약성분들은 혈관으로 들어가서 온몸으로 퍼지게 되면서 작용을 하게됩니다.

    즉, 피안에 우리가 먹은 약 성분들이 들어있다는 이야깁니다.

    이 성분들이 수혈을 받을 사람에게 문제를 일으킬 수 있는 여지가 있기 때문에 항생제라던가 감기약이라건가 하는 약들을 복용한 경우 헌혈이 안되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전은영 의사입니다.


    감기약과 항생제 등이 혈액에 남아 수혈받는 자에게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서민석 의사입니다.

    감기약을 먹고 나서 헌혈을 했어요. 그런데 그 피를 다른 사람이 수혈 받았다면 감기약의 효과도 같이 전달되게 됩니다. 그래서 헌혈을 할 수 없는 거에요. 수혈 받는 사람에게 문제가 될까봐서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