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룸 입주 시에 입주청소비 부담주체는?
원룸에 입주할 때 입주청소비 부담주체는 누구인가요? 집주인이 부담하는가요? 아니면 세입자가 자체 대청소 또는 용역위탁을 주는것이 맞는건지요?
원룸에 입주할 때 입주청소비 부담주체는 누구인가요? 집주인이 부담하는가요? 아니면 세입자가 자체 대청소 또는 용역위탁을 주는것이 맞는건지요?
==> 입주할 때 청소비 부담 주체는 계약서 특약조건에 따라 판단해야 하는 사항입니다. 즉 입주시 청소가 된 상태에서 입주를 하는 경우 퇴실시 임차인이 청소비를 부담하게 되지만 그렇지 않는 경우 청소비를 부담하지 않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유현심 공인중개사입니다.
입주청소는 대부분 본인들이 하고 들어가는데 전세입자가 동물을 키웠거나 너무지저분하게 사용했을때는 전 임차인이 할수도 있습니다
계약서 작성할때 어떤조건으로 했느냐에 따라 달라질수도 있으니 잘체크를 하시기 바랍니다
1명 평가누가 해야 한다고 정해져 있는것은 없습니다.
서로 협의하기에 따라 다릅니다.
방이 지저분한데 주인에게 청소 요청해서 해주면 계약을 하고 안해주면 계약을 안하면 됩니다.
안해줘도 방이 괜찮고 내가 하면 되지라고 하면 계약하고 내가 청소하면 됩니다.
주인이 청소를 하는데 퇴거비 청소비가 있다고 하는것을 받아들이면 계약을 하면 되고 못받아들이면 계약을 안하면 됩니다.
그냥 다 협의하기에 따라 다릅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한영현 공인중개사입니다.
답변드리겠습니다.
우선 법적으로 입주청소를 임차인이 해야 한다거나 임대인이 해야 한다고 규정되어 있는 것은 없습니다.
법에 없는 것은 상호간의 협의사항이기 때문에 특히 신축집을 들어갈 때 임대인과 임차인간의 입주청소를 누가 부담할지에 대해서 협의가 안되어 계약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도 있습니다.
원룸 같은 경우에도 부담 주체가 정해져 있지 않아 임대인과 임차인 서로 상의하여 결정하시면 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최병옥 공인중개사입니다.
우선 임대인과 임차인간에 협상으로 결정을 할 수도 있습니다.
계약전에 표기를 해도 됩니다. 통상적으로 협의를 하지 않은 경우 들어가는 사람이 방역이나 입주청소를 하는 경우도 있고, 임대인이 해주는 경우도 있습니다.
임대인과 협의를 해 보시는 것이 좋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