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안과 이미지
안과의료상담
안과 이미지
안과의료상담
기쁜향고래의 노래
기쁜향고래의 노래24.03.10

다초점 렌즈는 어떤 원리로 먼곳과 가까운 곳 모두 선명하게 볼 수 있나요?

나이
50
성별
남성

원래 안경을 썼었는데 노안이 와서 가까운 글씨를 볼 때는 안경을 벗고 글씨를 보게 됩니다. 노안이 왔을 경우 다초점 렌즈를 사용하면 먼 곳, 가까운 곳 모두 선명하게 볼 수 있다고 하는데요, 다초점 렌즈는 어떤 원리로 먼 곳과 가까운 곳 모두 선명하게 볼 수 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유민혁 의사입니다.

    다초점 렌즈는 한 렌즈 내에 다양한 도수를 가진 영역들이 존재하여, 근거리와 원거리 모두 선명하게 볼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 그 원리는 다음과 같습니다.

    1. 렌즈의 구조: 다초점 렌즈는 위쪽에는 먼 거리를 보기 위한 도수가, 아래쪽에는 가까운 거리를 보기 위한 도수가 있습니다. 중간 부분에는 중간 거리를 보기 위한 도수가 위치합니다.

    2. 시선의 이동: 먼 곳을 볼 때는 자연스럽게 눈동자가 위쪽을 향하게 되므로, 렌즈의 위쪽 부분(먼 거리용 도수)을 통해 선명하게 볼 수 있습니다. 책을 읽는 등 가까운 곳을 볼 때는 눈동자가 아래쪽으로 향하므로, 렌즈의 아래 부분(근거리용 도수)을 사용하게 됩니다.

    3. 뇌의 적응: 초기에는 렌즈의 각 영역 사이의 이미지 차이로 인해 불편함을 느낄 수 있습니다. 그러나 대부분의 경우 뇌가 이를 자연스럽게 보정하여 적응하게 됩니다.

    4. 점진적 변화: 일부 다초점 렌즈는 도수 변화가 점진적으로 이루어져, 시선의 이동에 따라 자연스럽게 초점이 맞춰집니다. 이를 누진다초점렌즈라고 합니다.

    다초점 렌즈는 노안으로 인한 불편함을 해소하면서도, 안경을 자주 벗고 써야 하는 번거로움을 줄여줍니다. 다만 개인의 눈 상태와 선호도에 따라 적응 기간이 필요할 수 있으니, 안경사와 상담을 통해 최적의 렌즈를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분야 답변자 외과 전문의 배병제입니다.


    렌즈를 여러 구획으로 나누어서 한 쪽은 가까운 거리를 보기에 적합한 형태로, 한 쪽은 먼 거리를 보기에 적합한 형태로 만들어 상이 맺히는 거리를 조절하는 렌즈입니다.


    저의 답변이 부족하겠지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신성현 의사입니다.

    다초점 렌즈는 일반적으로 렌즈의 상단에는 먼 거리를 보는 데 최적화된 부분이 있고, 중간 거리를 보는 데 최적화된 부분이 그 아래에, 그리고 가장 아래쪽에는 가까운 거리를 보는 데 최적화된 부분이 배치되어 있습니다. 이렇게 세분화된 초점 영역은 렌즈를 통해 들어오는 빛의 굴절률을 조절하여, 눈의 다양한 거리에서 올바른 초점을 맞출 수 있게 돕습니다. 사용자가 먼 거리를 보려 할 때는 렌즈의 상단 부분을 통해, 중간 거리를 볼 때는 중간 부분을 통해, 가까운 거리를 볼 때는 하단 부분을 통해 시야를 조절하게 되므로, 하나의 렌즈로 다양한 시각 요구를 충족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