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넉넉한기린210
넉넉한기린21023.12.27

명성왕후는 조선의 자존심이었던걸루 알고있습니다.일본인들이 명성왕후를 시해한 이유를 알고싶습니다. 그이유가 뭔가요?

조선시대에 명성왕후는 조선의 자존심이었던걸루 알고있습니다.일본인들이 명성왕후를 시해한 이유를 알고싶습니다.그이유가 뭔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박세공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러시아는 일본의 패권을 견제하기 위해 프랑스와 독일 끌어 들여 일본이 청나라에게서 빼앗은 땅을 돌려 주도록 일본 정부에 강요했습니다. 일본은 어쩔수 없이 청나라에 그 땅을 도로 넘겨주었습니다.

    이 상황을 지켜본 명성황후는 일본의 간섭을 피하려면 러시아의 힘이 필요하다고 판단했습니다. 그래서 러시아와 친한 세력을 관리로 뽑아 썼습니다. 일본은 러시아와 손잡고 자신들을 막으려는 명성황후가 눈에 가시로 여겨졌지요. 그래서 , 명성황후를 제거하기에 이르런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윤지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조선의 독립성과 주권을 지키기 위한 노력 때문에 일본 정부와 갈등이 발생했기 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양미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명성황후와 같은 경우에는 일본을 배척하고

    친청, 친러 등의 정책을 펼쳤고 이에 일본이 명성황후를

    시해한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1894년 청일전쟁을 일으키며 경복궁을 점령한 일본은 조청상민수륙무역장정을 폐기하고 조선 정부에 친일내각을 구성합니다.전쟁에서 북양군을 와해시킨 후 시모노세키 조약을 체결해 조선의 자주, 독립 및 요동반도와 타이완섬 할양, 전쟁배상금을 받아냅니다. 그러자 러시아는 독일, 프랑스를 끌어들여 일본에게 요동 반도를 청나라에 반환할 것을 요구, 3개 열강의 압박으로 일본은 요동반도를 반환합니다.

    그동안 러시아와 우호적인 외교를 해 왔던 고종과 명성황후는 러시아를 통해 일본을 견제할 것으로 보고 러시아 공사 카를 베베르를 자주 불러 조-러 간의 공조를 논의해 인아거일 노선을 추진하게 됩니다.

    이에 따라 친일내각에 대한 축출을 단행, 일본 공사관 및 일본인 고문단의 지지를 받던 어윤중, 김윤식 등 친일 성향의 관료들이 고종과의 마찰, 박영효가 주도한 조의연 파면 등에 책임을 물어 축출되고 이완용을 중심으로 친러 성향의 관료들이 중용됩니다.

    이에 친일 대신이었던 박영효는 명성황후가 자신의 숙청을 계획하고 있다는 정보를 얻고 명성황후의 암살을 모의하나 유길준의 내부고발로 인해 실패해 일본으로 도주, 박영효가 명성황후 암살 미수 사건 혐의로 수배되며 상당수 친일 관료들이 중앙에서 쫓겨나게 되면서 일본의 입지가 좁아지게 됩니다.

    망명한 박영효의 말에 따라 일본은 조-러 간의 비밀협약 의혹을 신빙성있게 여기고 일본의 향후 외교방침 전환을 위해 이토 내각과 정계, 육해군부 내에선 갑론을박이 오가는데 이때 유신지사이자 당시 조선공사 이노우에 가오루의 오랜 정적이던 다니 다테키의 추천을 받아 새로 조선공사로 부임한 퇴역 육군 중장 미우라 고로가 조-일 외교의 전면 등장, 배후로 추정되는 일본 당국 관계자들은 미우라로 하여금 명성황후를 시해함으로 국면을 전환하고자 합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명성 왕후는 친일 세력이 아닌 러시아나 다른 나라와 손 잡고 일본 세력을 배척 하려고 했습니다. 이러한 명성 황후의 태도에 반감을 느낀 일본은 자객들을 데리고 명성 황후를 시해 하게 된 것 입니다.


  • 안녕하세요. 경제·금융전문가 조유성 AFPK 입니다.

    ✅️ 사실상 조선의 병합에 있어서 고종보다는 지도력이 있는 명성황후가 보다 방해가 된다고 판단한 일제는 고종이 아닌 명성황후를 시해하는 을미사변을 저지르게 된 것이라 할 수 있습니다. 이 사건이 계기가 되어 고종이 러시아 공사관으로 피신하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