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슬기로운콰가133
슬기로운콰가13323.02.14

을미사변의 배경과 계기는 무엇인가요?

을미사변으로 고종의 왕후인 명성왕후가 살해되었다고 알고 있는데요.

일본이 경복궁을 습격 했던 당시 시대적 상황이 어땠는지 궁금합니다.

그리고 명성왕후를 죽인 계기는 무엇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2.14

    안녕하세요. 이승원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을미사변은 1895년 10월 8일(음력 8월 20일) 새벽 일본의 공권력 집단이 서울에서 자행한 조선왕후(명성황후) 살해사건입니다. 러시아와 일전을 준비하던 일제는 조선의 대러시아 관계의 핵심에 고종의 왕후가 있다고 판단하고 제거를 계획했습니다. 갓 부임한 일본공사 미우라의 지휘 아래 서울에 주둔하던 일본군 수비대를 무력으로 삼고 일본공사관원, 영사경찰, 신문기자, 낭인배를 행동대로 삼아 경복궁을 기습하여 왕후를 참혹히 살해하고 시신을 불태웠습니다. 사후 증거 불충분을 이유로 관련된 자들을 모두 무죄로 방면했으며, 아직까지도 사실을 제대로 인정하지 않고 있습니다.

    청일전쟁에서 승리한 일본이 조선의 내정을 간섭하면서 조선에 대한 영향력이 커지자 민비와 고종은 일본을 견제하기 위한 수단으로 러시아를 조정에 끌어들여 러시아에 의존하는 외교정책을 펼쳐나갔고 일본을 멀리하게 됩니다. 바로 이 시기에 일본은 을미사변을 일으켜서 눈에 가시같은 존재인 민비를 살해했습니다.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1895년 10월 8일 당시 조선 주재 일본 공사인 미우라 고로를 중심으로 일본군 공사관 수비대와 경관, 일본군 경성 수비대 일부, 일본인 낭인들, 조선군 훈련대가 경복궁에 무력으로 침입하여 명성황후를 포함한 조선인 궁중 인사들을 집단 살해한 사건입니다.

    1894년 청일전쟁을 일으키며 경복궁을 점령한 일본은 조청상민수륙무역장정을폐기하고 조선정부에 친일내각을 구성시킵니다. 전쟁에서 북양군을 와해시킨 후 시모노세키 조약을 체결하여 조선의 자주, 독립 및 요동반도와 타이완 섬 할양 , 전쟁배상금을 받아냅니다. 그러자 러시아는 독일, 프랑스를 끌어들여 일본에게 요동 반도를 청나라에게 반환할 것을 요구하고 3개 열강의 압박으로 일본은 요동반도를 반환하게 됩니다.

    그 동안 러시아와 우호적인 외교를 한 고종과 명성황후는 러시아를 통해 일본을 견제할수 있을 것으로 보고 러시아 공사 카를 베베르를 자주 불러 조-러간의 공조를 논의하며 인아거일의 노선을 추진합니다.

    그러자 친일 대신이었던 박영효는 명성황후가 자신의 숙청을 계획하고 있다는 정보를 얻은 뒤 명성황후의 암살을 모의하지만 이후 을미사변에 가담하는 유길준의 내부고발로 실패하고 일본으로 도주합니다.

    박영효가 명성황후 암살미수 사건 혐의로 수배되며 상당수 친일관료들이 중앙에서 쫓겨나 일본의 입지는 좁아지게 됩니다.

    망명한 박영효의 말에 따라 일본은 조 -러 간의 비밀협약 의혹을 믿게 되고 이에 일본의 향후 외교방침 전환을 위해 이토내각과 정계, 육해군부 내에선 갑론을박이 오가며 이때 유신지사이자 당시 조선공사 이노우에 가오루의 오랜 정적이던 다니 다테키의 추천을 받아 새로 조선공사로 부임한 퇴역 육군 중장 미우라 고로가 조-일 외교의 전면에 등장하고 배후로 추정되는 일본 당국 관계자들은 은미우라로 하여금 명성황후를 시해함으로 국면을 전환하고자 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현행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을미사변은 일본이 청일전쟁의 승리로 한반도에 영향력을 키워가던 때 일어났습니다. 이제 전통적 종주국인 청의 영향력은 쇠퇴하고 일본이 그 자리를 차지한 것이지요. 하지만 러시아의 영향력도 계속 커지고 있었습니다. 러시아는 제2차아편전쟁을 중재한 대가로 연해주를 얻었으며 만주와 한반도로 영향력을 확대하고 있었습니다.

    이때 민비와 민씨세력은 반일 친러 정책을 추진하고 있었습니다. 러시아의 힘을 이용해 일본을 견제하려고 했던 것입니다.

    이에 일본은 낭인을 보내 친러쟁책의 정점에 있던 민비를 제거한 것입니다. 만행을 저지르고 시신마저 불태웠습니다. 이후 고종은 신변의 위협을 느끼고 러시아 공사관으로 거처를 옮기게 됩니다. 이것이 아관파천입니다.

    러시아와 일본의 세력균형이 이루어지다 러일전쟁에서 일본이 승리해 한반도는 일본의 식민지로 전락하는 과정을 밟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을미사변(乙未事變)은 1895년

    10월 8일 조선 주재 일본 공사

    미우라 고로(三浦梧樓)의 지휘 아래

    일본군 한성 수비대 미야모토 다케타로(宮本竹太郞) 등이 경복궁(景福宮)에 난입하여 건청궁(乾淸宮) 곤녕합

    일대에서 명성황후 민씨(明成皇后閔氏)를 칼로 찔러 암살하고 시신에 석유를

    뿌려 불태운 사건이다.


    --자료출처: 위키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