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고용·노동
고귀한에뮤100
고귀한에뮤100
22.02.21

스카웃 된 직장 근로계약서(미고정인센티브) 확인 및 실업급여 여부 문의 드립니다.


■ 전 직장 근로 계약서 (정규직, 월-금 주 5일 8시간 근무/월 209시간)
총 계약 연봉 : 27,288,000원
= 기본급(연간) 26,880,000원 + 제수당(연간) 1,200,000원

현 직장 팀장님께서 2700보다 더 받을 수 있다고 2800~2900으로 알고 계시다며 스카웃 제의를 요청 주셨습니다.
현재 2/10 입사 후 업무중으로, 아직 시용 근로계약서 싸인을 하지 않고 인사팀 항의 중인 상태입니다.


※ 계약 조건 : 3개월 계약직*2 = 6개월 계약 후 정규직 전환
전달 받은 시용 근로계약서 내 계약서 내 총연봉과 월급으로 기재

■ 현 직장 근로 계약서(3개월 계약직, 월-일 사이 주 5일 8시간 근무/월 209시간)
총 연봉 25,200,000원
= 월급 [ 기본급 2,000,000원 + 식대 100,000원 ]
(+ 고정 인센티브 없음. 인센티브 개별 연간 최대 360만원)

제가 계산한 연봉으로 확인 시 24,000,000원 + 식대 1,200,000원입니다.
------------------------------------------------


업체 측에서는 인센티브 포함 최대 2880만원을 받을 수 있다는 내용을 전달 받음.
저는 애초에 인센티브 없이 받은 총 연봉이 2728만원인데, 고정 인센티브가 아니면 최소면 0인 셈인 것 아니냐고 항의.
이후 구두로만 전달 받은 내용은 연봉 2820만원 ? 2880만원 ? 이라고 전달 받았습니다.


구두로만 전달 받은 내용이라 금액이 정확하게 확인 되지 않으나,
① 인센 포함 최대 총 연봉 2820만원 ? 2880만원 ? (상기 최대 받을수 있는 연봉 내용을 얘기하는 것으로 추측)
② 총 연봉 2820만원 ? (연봉 기본급을 2700만원으로 진행 했을 시)


현재 어떤 내용을 포함하는지 확인이 불가한 상태이며, 익일 인사팀 측으로 부터 재설명 받을 예정입니다.
저를 스카웃 하신 팀장님은 인사팀 관련이 아니시기에 인사팀 측으로 확인을 미루시는 것 같습니다.
또한 현재의 상황으로 6개월 계약직이 끝난 이후 정규직 연봉도 확신 할 수 없는 상태 입니다.


여기서 질문을 드리고 싶습니다.

1) 고정 인센티브가 전혀 없다면, 인센티브는 연봉 외 성과금으로 제 연봉과는 무관하다 보는게 맞는지요?
팀 총 업무량을 평균 5등급로 나뉘어, 1등급은 한달 최대 30만원이고 4-5등급은 인센티브 없습니다.
(팀 내 직원 2년 이상 근무자 절반 / 1개월 입사자 절반으로, 인원이 극명히 나뉘어져 평균치가 높아 인센 아예 불가)

2) 1차 스카웃 제의 시 제 총 연봉에 대해 전달 완료,
2차로 인사 공고문을 전달 주셨을 시 제 연봉과 다르다고 재차 확인 요청하였습니다. 확인 받은 답은 2700보다 더 받을 수 있으며 본인이 아시기엔 2800~2900으로 알고 있다 라고 하셨습니다.
현재 상황으로 미루어 봤을때 기존 제 연봉 보다 낮게 책정되는 게 맞는 지 전문가의 확인 부탁 드립니다.

3) 해당 사항으로 미루어 봤을 때, 연봉 협상이 불가해 결렬된다면.
앞서 팀장님으로 부터 안내 받았던 내용을 인사팀에 인계, 분명한 오해의 소지가 있었던 바를 재차 전달.
상기 조건에 수긍한다는 전제로 3개월 근무 후 계약 만료 퇴사에 대해 인사팀으로 요구 할 수 있나요?


4) 전 직장에서 2년 2개월 근무 후 12월 31일 퇴사 하였습니다. (4대보험 적용)
현 직장 3개월 계약만료로 퇴사 한다면(4대보험 가입조건), 18개월 사이 180일 이상 고용보험 피보험자 전제 실업급여 처리 가능한가요?


스카웃이라는 달콤한 유혹에 넘어왔는데, 어처구니없는 '최대'를 강조한 총 연봉에 황당하기 짝이 없는 상황입니다.
친절한 답변 미리 감사드리며, 확인을 부탁 드리겠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