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한반도 역사에서 임금인 아비가 아들을 죽인적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그외에도 있지만 진실은 밝혀지지 않았습니다.소현세자와 인조와의 관계역시 의문이 있는것으로 실록에 나와있습니다.다만 확실한 증거는 없지만 소현세자가 독살되었던 기록이 있습니다
학문 /
역사
23.08.01
0
0
조선시대에 관상을 정말 중요시 여겼나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지금역시 관상에 중요한 부분이 많습니다.사람이 살아 가는데 있어 관상이 중요합니다.조선시대역시 큰영향을 끼쳐서 지금까지 내려 오는것 입니다.
학문 /
역사
23.08.01
0
0
고려시대 가장 넓은 영토를 점령했던 왕은 누구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광개토왕은 "가장 넓은 영토를 차지했던 왕"이 아니라 "가장 넓은 영토를 점령했던 왕"입니다역사적으로 문자왕시대라 합니다.
학문 /
역사
23.08.01
0
0
조선시대에도 의무교육이라는게 존재했나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평민들에게 기초 교육을 제공하기 위해 지방 정부나 공무원들이 설립한 공립학교도 있었습니다.공립학교는 일반 대중의 문해력과 실용 기술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표로 삼았습니다.그러나 의무교육은 없었습니다.
학문 /
역사
23.08.01
0
0
서울 4대문의 역사적인 중요성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4대문은 유교사상인 인의예지(人義禮智)에 근거를 두고 명명되었는데요, 동쪽문은 인을 일으키는 문이라 하여 흥인지문, 서쪽문은 의를 돈독히 하는 문이라 하여 돈의문, 남쪽문은 예를 숭상하는 문이라 하여숭례문이라고 명명되었습니다. 그러나 북쪽문은 지형이 험하고 사실상 사람의 왕래가 없어서인지 숙지문이라 하지않고 청(淸)자를넣어서 숙청문이라 하였으나, 이후 숙정문으로 이름이 바뀌었습니다. 이중 흥인지문, 돈의문, 숭례문은 우리에게 익숙한 동대문, 서대문, 남대문으로 불리고 있으며,서대문은 일제가 1915년 도로를 확장한다면서 헐게 된 만행으로 인해 현재 유일하게 남아있지 않고 있습니다.
학문 /
역사
23.08.01
0
0
일제강점기 자국의 침략행위에 반대하는 일본인들은 없었나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그 시대는 그런 생각을 가진 사람들이 없었고 그런상상도 못하고 지나간 역사입니다.다른나라를 침략해서 강탈하여 전리품을 나누어주고 잘살게 하겠다는데 반대하는 사람 없었을 것입니다
학문 /
역사
23.08.01
0
0
조선시대의 농민이 주체가 되어 일으킨 봉기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홍경래가 평안도에서 대규모의 민중봉기를 일으킵니다. 1811년 이른바 홍경래의 난이후 1862년 임술농민봉기라는 대대적 농민봉기도 일어납니다농민봉기의 의미를 찾자면 농민들이 지향하였던 사회개혁방향(자기 토지를 소유하는것)이 양반지주의이해를 덮어야만 가능한 것이었으므로 사실상 불가능한 것이었습니다.(정부로서는 양반의 이익을대변할 수 밖에 없죠) 이러한 점을 볼 때 농민들의 봉기는 사회의 모순을 자율적으로, 그리고 보다 적극적으로 변혁시키려했다는 의미가 있습니다.1894년의 동학 농민운동은 우리 역사의 전환점이 되었다 할 것 입니다.
학문 /
역사
23.08.01
0
0
인도의 굽타 왕조에 대해서 알려주세요.
굽탁왕조는 인체의 형태를 단순화하여 표현한 불상이 굽타 왕조의 문화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이러한 단순화된 불상은 굽타 왕조의 예술과 종교적인 신앙실천에 큰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추측됩니다. 굽타왕조는 일반적으로 찬드라굽타 1세가 확립한 것으로 인정되고 있으나, 그 성립과정은 분명하지 않습니다. 다만 3세기 중엽에 쿠샨왕조의 세력이 쇠퇴하여 북동인도가 그 지배에서 벗어난 후 작은 지방지배자가 할거하였을 때, 그들 중에 굽타왕조가 마가다 지방(지금의 비하르州)에서 흥륭했을 것이라고 추정할 뿐입니다.
학문 /
역사
23.08.01
0
0
조선시대에 일반 평민 중에 왕과 이름이 같으면 어떻게 해야하나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개명해야 합니다.실제로 왕의 이름은 외자로, 그것도 현실에서 거의 사용되지 않는 한자를 써서 그런 불경죄가 발생하지 않도록 했습니다.조선 후기까지 평민의 이름은 개똥이, 막삼이 등이었으므로 실제 그런 문제는 발생하지 않았습니다.
학문 /
역사
23.08.01
0
0
팝페라라는 장르는 어떻게 형성이 된것인가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팝페라는 1980년대 중반 우리나라의 김홍희가 키메라 라는 예명으로 오페라 아리아를 대중적으로 편곡하여, 잃어버린 오페라 라는 앨범을 출반해 선풍적인 인기를 모은 적이 있다. 이를 전후로 성악가와 팝 뮤지션들이 앞을 다투어 오페라 아리아를 편곡하여 부른 여러 음반들을 출반하였다그녀의 음악 스타일은 비록 시기가 매우 빠르긴 했지만, 오늘날과 같은 새로운 음악시장의 가능성을 미리 예측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그녀는 1985년에 키메라의 더 로스트 오페라 라는 오페라 아리아 모음앨범이 발매되면서, 프랑스 전역을 강타하였고, 프랑스 유력지 르몽드지가 1면 톱으로 내보낸 기사에, 헤드라인 한국에서 온 팝페라의 여왕이라면서 오늘날 팝페라라는 칭호가 가장 먼저 사용되었다놀랍게도 이러한 영역을 개척해낸 아티스트는 한국인이다. 라는 답변을 구하였습니다
학문 /
음악
23.07.31
0
0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