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신라말에 호족들이 큰세력을 형성한 이유는 무엇인가요?
결국 호족으로 발전하게 됩니다.진골,6두품 출신 왕권계승경쟁에서 밀려난 일부 진골귀족 및 출세에 제약을 받던6두품 출신들이 지방관리로 파견되었다가 그대로 그 지방에 ㅈ눌러앉아 호족으로 변하기도 했습니다.해상세력: 해상무역등을 통해 부를 축적한 이들이 호족으로 발전히여 나중엔 독자적인 군대까지 거느리는 호족이 됩니다.대표적인 예가 청해진을 세운 장보고,송악에서 활동한 작제건입니다.작제건은 고려 태조 왕건의 할아버지입니다.군진세력: 국경지역 요새지를 방어하던 이들이 중앙정부에 반기를 들고 호족으로 독립하기도 합니다. 라는 답변을 구하였습니다.
학문 /
역사
23.05.01
0
0
파리 오르세 미술관에는 어떤 작품들이 전시되어 있나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밀레의 만종 이삭줍는 사람들 고흐의 아를의 별이빛나는 밤 자화상 마네의 피리부는 사내 로뎅의 지옥의문 등이 있습니다.
학문 /
미술
23.05.01
0
0
소방관들이 사용하는 은어중에 "46"과 "47"이라는게 뭔가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소방관끼리의 은어인 ‘46’과 ‘47’이라는 숫자는 생사를 건 암호였습니다. 46은 ‘알았냐’라는 질문이고, 47은 ‘알았다’라는 답변이다. 46의 부름에 47이 응답하지 못하는 상황이 왔다면 신변에 불길한 일이 생겼다는 암시입니다.
학문 /
역사
23.05.01
0
0
조선시대 노비들이 노비신분 벗어날 수있었던 방법이 있었을까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군공 면천(軍功免賤)은 국내외적으로 전란이나 변란을 당하여 국가가 곤경에 처하게 될 때 군사적 공로에 의해서 면천종량을 허락하는 것을 말한다. 사민 면천(徙民政策)은 북변 지역의 국방 내지 군사적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천인을 이주시키는 대신, 그 보상으로 면천해주는 방법이다. 강도(强盜)를 잡은 것에 대한 포상으로 주어지는 포도 면천도 있었다. 납속 면책(納粟免策)은 국가에 곡식을 헌납하면, 그 반대 급부로 천인의 경우 면천을 허락해주는 정책이었다 라는 답변을 구하였습니다.
학문 /
역사
23.05.01
0
0
영조의 탕평책이은 정확히 어떠한 정책이었나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영조의 탕평책은 원래 붕당을 없애는 데 뜻이 있었지만 당장 완성하기는 어려운 일이었습니다. 그래서 어느 당파든 온건하고 타협적인 인물을 많이 등용하여 왕권에 순종시키는데 주력하게 됩니다. 이를 바탕으로 당시 시파와 벽파로 나뉘어 있었던 정국의 분열은 줄어 들고 왕권이 강화되게 됩니다
학문 /
역사
23.05.01
0
0
조선시대에도 도서관처럼 책을 빌려 읽을 수 있는 장소가 있었나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1911년 ‘이왕직 장서각’이라는 이름의 왕실 도서관으로 설립한 것이다. 왕실 도서관으로 기능하던 규장각이 구한말에 축소되었습니다.일반백성들은 도서관 자체를 몰랐습니다.
학문 /
역사
23.05.01
0
0
어린이날은 어떻게 제정되었나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1919년 3.1운동이 발발한 이후 소파 방정환은 나라의 미래인 아이들의 민족의식이 중요하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그래서 1923년 방정환을 중심으로 한 일본 유학생 모임 ‘색동회’가 주축이 되어 5월 1일을 어린이 날로 정하였습니다.해방 다음해인 1946년 첫 번째 일요일이 5월 5일이었기 때문에 이날을 어린이날로 정했다고 합니다.
학문 /
역사
23.05.01
0
0
우리나라에 메신져 역사에 대해서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1986년 최초의 PC통신 `천리안` 서비스가 문을 열었고, 이어 하이텔, 나우누리, 유니텔 등이 나오면서 PC통신 가입자가 350만명을 넘는 등 전성기를 맞았습니다.답변자는 유니텔로 채팅을 처음 하였습니다.
학문 /
역사
23.05.01
0
0
옛날 도공들이 만들던 도자기중에서 막사발이라는것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조선에서는 밥그릇, 일본에서는 찻잔으로 사용 되었던 조선의 막사발 이도차완은 16세기말 경상도남부, 지방요에서 잠시 소량생산 되었던 담금분청발 종류의 밥그릇이었습니다.우리나라에서는서민들이 쓰던 그릇이라고 하면 되겠습니다.
학문 /
미술
23.05.01
0
0
조선시대의 왕,관리는 질병이 많았나요?
왕과 관리들은 일반 백성에 비해 질병이 없었습니다.잘먹고 진료도 받고 좋은 약제로 치료를 받을 수 있었습니다.백성들이 비 위생적이고 가난하게 살다보니 면역력 또한 없어 속수무책 이었습니다.
학문 /
역사
23.05.01
0
0
163
164
165
166
167
168
169
170
1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