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같은 언어에서 방언이나 사투리는 왜 생겨났을까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사투리는 지역에 따라 차이가 납니다.섬처럼 고립되어 있다거나 특히 산으로 둘러 쌓여 있다거나 큰강으로 나늬어져 있다거나 할때 언어와 억양이 차이가 납니다.넓은의미로 영어와 한국어의 차이 극히 좁은 의미로 산 하나 넘으면 억양의 차이가 나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이것은 지역 특성 생활의 고립등 여러가지 이유에 따라 차이가 난다고 합니다.평야지역과 거친 바닷가지역의 성격 차이와 유사하다 판단 됩니다.
학문 /
역사
22.11.17
0
0
놀랐을 때 간 떨어질 뻔 했다고 표현하는 이유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흔히 우리는 놀라면 간 떨어질뻔 했다고 합니다.또는 간덩이가 부었다고 합니다.인체의 간은 마음이나 정신을 관장하는 기관으로 보았습니다.실제로 술을 마시거나 하면 간에서 변화가 옵니다.용기도 생기고 마음의 변화가 옵니다.놀람역시 간 떨어지다 할때 간은 죽음과의 연결이 되어 있다고 합니다. 이는 인간의 혼이 간에 머물러 있다는 것입니다.
학문 /
역사
22.11.17
0
0
우리나라는 개를 좋아하면서도 개에 관련된 욕이 왜 많은가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인간은 동물과 친숙하였고 그러다 보니 개와 가장 친하게 된 것 입니다.그러나 개역시 인간과 살다보니 인간의 말을 알아 듣지 못하니 구박과 폭행 또한 식용으로 사용하고 살아왔습니다."개패듯 때린다." 사실 얼마전 까지만 해도 개를 때려 잡았습니다. 지금은 동물 학대죄 입니다.그러다 보니 자연스럽게 개를 비유하여 또는 대신하여 욕을 붙인거라 판단 됩니다.그러나 현대 사회에서 개엄마 개아빠 개좋아 때문에 부작용도 많이 나타나고 있다고 합니다.
학문 /
철학
22.11.17
0
0
미용소에는 없는 이발소 표시판은 무슨 뜻이라도 있나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이발소 즉 이발관의 대표적 표식입니다.삼색표시등인데 빨간색 동맥 파란색 정맥 흰색 붓대를 의미한다고 합니다.이발소가 중세시대 외과병원의 상징이었다고 합니다.질문자님이 청소년이시면 이발소표시등 두개가 붙은 곳에는 가시면 안됩니다.
학문 /
미술
22.11.17
0
0
무수리 출신이 어떻게 임금의 어머니가 되었을까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무수리였던 최씨는 왕에게 우연히 승은을 입게 되어 영조를 낳았습니다.인현왕후는 자식이없이 죽고 장희빈은 아들이 빈약해서 죽었습니다.그래서 무수리 출신 숙빈최씨의 아들이 왕이 되었습니다. 그것이 대단한 영조입니다.질문자님의 질문에 쉽게 답변 드렸습니다.
학문 /
역사
22.11.17
0
0
절에서 스님들이 주문을 외시거나 설법,독송하는데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스님들이 불경을 읽는 것입니다.불경은 뜻이 있습니다.산스크리트어를 한역하여 읽는 것입니다.범어 라고도 합니다. 스님들이 법구경을 읇는다.인도의 승려 법구가 인생의 좋은 시구를 모아만든 경전을 읽는 것이듯 스님의 염불은 모두 뜻이 있습니다.잘들어 보면 들립니다.
학문 /
철학
22.11.17
0
0
한국인이 '빨리빨리'를 좋아하는 이유가 뭘까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한국에서 외국인들이 가장 먼저 배우는 말은 빨리 빨리 입니다.그계기는 현대화에 들어서면서 기계화가 시작 되다보니 기계에 속도를 맞춰야 하기 때문 이었습니다,그리고 심리학적 이유도 있다고 합니다.우리가 주겠네를 많이 쓰듯 죽기전에 해야 한다는 것입니다.또하나 지정학적 이유입니다.여유를 즐기던 우리가 세월에 따라 변했습니다.그덕에 풍요를 누리게 되었지만 부작용도 만만치 않습니다.
학문 /
역사
22.11.17
0
0
중앙아시아의 한민족들은 왜 고려인으로 불릴까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조선보다 더일찍은 고그들은 우리를 꼬리아 꼬레아 라고 부릅니다.그래서 우리식으로 러시아 에서 고려인 이라고 부르고 있습니다. 구소련에 살던 우리나라 교포들이 고려인 입니다.중국에선 조선족 일본에선 조센징 이렇게 나라마다 다릅니다.또다른 설은 애초에 스스로가 조선인으로 불렀다가 정치적 상황이 바뀐후 1993년 고려인으로 통일했다고도 합니다.
학문 /
역사
22.11.17
0
0
일엽편주라는 사자성어의 어원이 무엇인지 알 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아, 일엽편주란 사자성어의 뜻은 바다와 같은 넓은 에상에서 역경과 세파에 시달리며 살아간다는 뜻입니다.나뭇잎같은 작은 조각배는 넓은 바다에서 얼마나 위태로울까요.혈혈단신으로 아무도 도와주지 않는 처지에 놓여 있을때를 말하기도 합니다.어원은 없는것으로 보입니다.
학문 /
역사
22.11.17
0
0
유명 독립운동가를 보면 의사와 열사, 선생이 있는데 무슨차이일까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가끙 올라오는 질문 같습니다.쉽게 답변드리자면 의사 ㅡ 무력으로 항거 하는것 입니다 총칼을 들고열사 ㅡ 멘몸으로 항거하는 것 입니다. 유관순 열사이한열지사 ㅡ 조국과 민족을 위하여 결연한 의지를 가지고 몸바쳐 일한 사람 살아서도 호칭을 받습니다.. 김구 안창호 신채호
학문 /
역사
22.11.16
0
0
577
578
579
580
581
582
583
584
5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