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높이뛰기에 덤블링으로 넘으면 안되나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가능하다면 덤블링으로 넘어도 됩니다.기구만 사용하지 않고 아무렇게나 멘몸으로 넘으면 됩니다.하지만 현대 배면 뛰기보다 효과있는 것이 없다고 합니다
학문 /
음악
23.10.04
0
0
개천절의 유래에 대해서 알고 싶어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우리 민족의 시조 단군이 개국한 날을 기념하는 국경일로 10월 3일입니다.1949년 10월 1일 '국경일에 관한 법률'을 제정·공포하여 이 날을 개천절로 정하고 국경일로 하였습니다대한민국 정부 수립 후에도 이를 계승하여 개천절을 공휴일로 정하고 그때까지 경축식전에서 부른 대종교의 '개천절 노래'를 현행의 노래바꾸었다.습니다. 그러나 음력 10월 3일을 양력으로 환산하기가 어렵고, '10월 3일'이라는 기록이 소중하다는 의견을 받아들여 1949년부터 양력 10월 3일로 바꾸어 거행하였습니다.
학문 /
역사
23.10.04
0
0
안경은 누가 발명했는지 역사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안경사로서 답변 드리겠습니다.최초의 안경은 약 1286년 이탈리아에서 피사의 요르단(Giordano da Pisa, ca. 1255–1311년)이 만들었습니다. "시력을 좋게 하는 안경 만드는 법을 알아낸지 20년이 채 되지 않았다고 합니다.
학문 /
미술
23.10.04
0
0
우리나라가 아시안게임에 처음 출전한 역사 및 성과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질문자가 궁금해 하시는 것을 사진으로 보여드리겠습니다.한국전쟁으로 1회는 참전하지 못하였습니다.
학문 /
역사
23.10.04
0
0
올림픽이나 아시안게임, 월드컵을 공동개최하는 이유?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단독 개최가 유리한점이 많습니다.그러나 서로 유치하기를 원하고 그에 대한 갈등이 심하면 국가적 정치적으로 까지 부작용이 있을 수 있어 타협해서 공동 개최를 하는 것입니다.
학문 /
역사
23.10.04
0
0
역사학자들의 기본 개념의 차이가 나는 가장 큰 이유는 무엇입니까??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학자들의 성향이 달라서 입니다.학자들 역시 객관적으로 보아야 하고 검증을 통하여야 하는데 학자마다 개인적인 즉 주관적 성격이 강해서 그런 것입니다.역사란 증명이 아주 중요함으로 여러 학자들의 공통된 역사관과 의식이 있어야 함으로 서로가 토론과 역사적 사실에 입각하여 발표주장 하여야 합니다.
학문 /
역사
23.10.04
0
0
투르키예(구 터키)는 왜 자신들이 투르키예 후손임을 자처 및 강조하나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간단하게 설명하자면 터키는 터키인의 땅"이라는 뜻을 의마하며, 실제 우리가 터키(Turkey)라고 부를 때에도 터키인들은 튀르크(Türk)라고 불렀습니다.터키(Turkey)라는 영어식으로 표기하여 이 단어 자체가 겁쟁이, 칠면조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보니, 터키인들 스스로는 쓰지 않았던 거였고, 터키의 챠르(군주)를 자처하는 에르도안이 터키의, 터키다운, 터키만의 이름으로 돌리겠다 하여 "튀르키예(Türkiye)"라는 국호로 불러 달라고 유엔에 요청하였고 유엔에서 승인하면서 공식 발표가 되었습니다.
학문 /
역사
23.10.04
0
0
춘천에 닭갈비와 막국수가 유명해진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그 이유는 춘천은 군사,교육도시인 만큼 군 생활에서 휴가나 외출 나온 군인들이 즐겨 먹었고, 값이 싸고 배불리 먹을 수 있는지라 춘천 시내 대학생들도 좋아하는음식이다었습니다. 춘천에서 닭갈비가 발달한 배경중의 하나는 춘천지역이 양축업이 성했고 도계장이 많았기 때문입니다닭갈비는 지금도 그 맛과 양에 비해 가격이 저렴하지만 대단히 싸서 70년대 초 닭갈비 1대 값은 100원 이었고, 별명이 ‘대학생갈비’, ‘서민갈비’였습니다.
학문 /
역사
23.10.04
0
0
유씨와 류씨는 다른성씨인가요? 그리고 류씨는 두음법칙상 유씨로 표기되어야 맞는것 아닌가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문화류씨"라는 말은 柳씨의 본관을 말합니다.원래 柳씨는 다른 유씨와 구별하여 "류"라고 사용하였습니다.그러나 두음법칙에 의하여 모두 "유"를 쓰도록 정부에서 정하였습니다.그래서,호적,주민등록에 "유"로 되어있습니다.그러나 현제는 류씨로 바꾸어 줍니다.호적 신고도 류씨로 합니다.류씨 본역시 많습니다.유씨로 쓰는 본은 문헌상으로는 문화(文化)·진주(晋州)·고흥(高興)·전주(全州)·풍산(豊山)·서산(瑞山:瑞寧)·강릉(江陵)·하회(河回)·선산(善山)·거창(居昌)·고령(高靈)·경주(慶州)·육창(陸昌)·인동(仁同)·연안(延安)·배천(白川)·정주(貞州)·약목(若木)·부평(富平) 등 52개 본이 있습니다.위의 柳씨는 모두 "버들유"자를 쓰고 있습니다.
학문 /
역사
23.10.04
0
0
스페인 에서는 왜 비데와변기가 따로 있나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볼일을보시고 옆으로 옮겨서 비데를 사용합니다.유럽쪽은 물 자체가 석회질이 많아 전자식을 사용하지 않습니다. 고장이 많이 나니까요우리나라는 일본에서 비데가 들어 왔습니다.변기사용 공간이 좁다보니 또는 불편할 수 있어 변기와 비대를 동시에 사용 하지 않았나 생각 됩니다.답변자 개인적 생각으론 유럽쪽이 더 좋지 않을까 하는 판단도 해보지만 생각의 차이가 아닐까요.하나로 사용하면 위생상 문제가 조금더 있으니까요
학문 /
음악
23.10.03
0
0
64
65
66
67
68
69
70
71
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