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우리나라도 황제라는 칭호를 사용한적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없습니다.고려초기 이전은 황제라 칭하지 않았어도 각자의 연호를 쓴 황제와 대등한 관계 였습니다.고려초기에도 연호를 사용했었던 적이있었습니다 고려초기에는 국력도 꽤나 강했구요 그러나 중기로 들어서고 원나라가 침입해고려가 굴욕적인 강화를 맺자 군신의 관계의 요구는 물론이전에는 신하가 황제를 부를때 "폐하"라는 용칭을 썻습니다 하지만원나라의 요구에 따라 왕을 부를때는 "전하"라고 부르게 되는 겁니다이것이 조선시대에도 계속 내려오고 명,청나라와 군신관계를 맺게되자 "전하"라고계속 불리었던 것입니다.
학문 /
역사
23.09.28
0
0
대한제국 시절의 돈덕전이라는 곳은 실제 어떻게 이용하였나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돈덕전은 덕수궁 안에 지은 서양식 건물로 고종이 이 곳에서 외국 사신을 접대하였던 곳입니다돈덕’이란 《서경 (書經)》 〈순전 (舜典)〉에 ‘덕있는 이를 도탑게하여 어진 이를 믿는다〔惇德允元〕’ 는 글귀에서 따온 말입니다.
학문 /
역사
23.09.28
0
0
기원전과 기원후는 어떻게 나누어지는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예수님의 탄생을 기준으로 합니다로마자 약어로 기원후는 AD(라틴어: Anno Domini 아노 도미니 '주의 해(年)에')로, 기원전은 BC(영어: Before Christ 비포 크라이스트 '예수 이전에')를 주로 사용했습니다.
학문 /
역사
23.09.28
0
0
세기의 걸작인 최후의 만찬은 누가 그렸나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가장 유명한 그림은 레오나르도 다빈치가 그린 불후의 명작(르네상스)이고 질문자가 말한 그림이라고 생각하고 답변 하였습니다.
학문 /
미술
23.09.28
0
0
추석에는 어떤 전통적인 의식이 있나요?
. 음식을 서로 교환하며 후한 인심을 나누었으며 농사를 마감한 한가한 시기에 다음 해의 풍년을 기원하며 소놀이·거북놀이·줄다리기·씨름·활쏘기 등 세시풍속을 함께하며 공동체의식다졌다.습니다. 문헌에 의하면 삼국시대 초기부터 즐기던 명절로서 그 연원이 깊습니다.
학문 /
역사
23.09.28
0
0
추석은 단순한 한국 버전의 "추수감사절 이라고 생각해도 되나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추석은 가을의 한가운데 달이며 또한 팔월의 한가운데 날이라는 뜻을 지니고 있는 연중 으뜸 명절이입니다. 수확의 계절을 맞이하여 풍년을 축하·감사하며 햇곡식으로 밥·떡·술을 빚어 조상에게 차례를 지내고 성묘하여 그 은혜에 보답했습니다.추수 감사절이라기 보다 뿌리 깊은 민족의 역사문화 라고 하시면 될듯합니다.
학문 /
역사
23.09.28
0
0
축구에 비해 야구를 하는 나라가 적은 이유는 무엇일까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간단히 상식적으로 답변 드리겠습니다.축구는 세계어디서나 운동하기에 가장 편리합니다.일단 공만있으면 운동을 즐길 수 있습니다.그와 반한 야구는 글러브 배트등 값비싼 장비들이 필요합니다.그래서 대중화가 힘이 든 이유입니다.
학문 /
음악
23.09.28
0
1
작가로 등단의 기준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시인으로서 답변드리면 등단즉 기성작가라 하면 일정수준의 글을 공모하여 당선되어야 기성작가라고 할 수 있습니다.글쓰는 모든 사람을 작가라고는 할 수 있으나말씀드린 것과 같이 공모전이나 기타 문예지에서 당선 되어야 합니다.
학문 /
미술
23.09.27
0
0
우리나라에 버스가 도입된건 언제인가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우리나라 버스가 처음으로 도입된 시기는1911년에 도입 되었습니다일본에서 4대 들어와서 운영하게 되었습니다
학문 /
역사
23.09.27
0
0
펜싱 경기에서 양선수 뒤에 줄을 묶어서 경기하는데 그 이유와 역할이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점수확인 입니다.플뢰레, 에빼는 캍 끝 포인트 스위치 같은게 달려 있습니다등뒤에 선이 팔한쪽으로 선을빼서 펜싱 칼 가드 부분에 접촉을 해야 본인이 사대방을 찔렀을때 전류로 인하여 불이 들어 오기 때문입니다.
학문 /
음악
23.09.27
0
0
64
65
66
67
68
69
70
71
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