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법률
자격증
주식처럼 음악저작권을 살고팔수 있던데 저작권은 기한이없나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법률 분야 전문가 최광일 변리사입니다.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저작권 보호 기간은 저작자가 생존하는 동안과 사망한 후 70년간 존속합니다. 예전에는 저작권 보호 기간이 50년까지였으나 한미 자유 무역 협정(FTA) 체결 이후 2013년 7월 1일부터 70년으로 연장되었습니다. 따라서 유명 저작물의 경우 저작권 보호기간내 지급되는 저작료로 3대가 먹고 산다는 우스개 소리가 있는데 과언이 아닙니다.관련 저작권법상 법규정은 아래와 같습니다. 제39조 (보호기간의 원칙) ①저작재산권은 이 관에 특별한 규정이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저작자가 생존하는 동안과 사망한 후 70년간 존속한다.[개정 2011.6.30][[시행일 2013.7.1]]②공동저작물의 저작재산권은 맨 마지막으로 사망한 저작자가 사망한 후 70년간 존속한다.[개정 2011.6.30][[시행일 2013.7.1]]
법률 /
지식재산권·IT
21.10.22
0
0
영화포스터를 패러디했는데 저작권 위반일까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법률 분야 전문가 최광일 변리사입니다.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저작권법 제35조의5는 저작물의 공정한 이용에 관한 규정을 두어 저작자의 허락이 없이도 저작물을 이용할 수 있는 예외적인 경우를 규정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본 조항을 근거하여 영화 포스터의 패러디가 저작물의 공정 이용의 범위에 들어가는지를 따져 보아야 합니다. 이는 저작권자의 이익 보호와 풍자나 비평이라는 표현의 자유 사이에서 합리적인 조화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규정이라고도 볼 수 있습니다.저작권법 제35조의 5를 보면 영화 포스터의 패러디가 영리 목적이 아닌 개인적 사용의 경우 저작물의 공정한 이용 범위가 들러갈 확률이 높으나 어플 홍보목적으로 SNS에 업로드하여 사용하기 것은 영리 목적 즉 상업적으로 이용하기 위한 것에 해당하는 것으로 보이므로 저작권법 위반에 해당할 소지가 클 것으로 보입니다. 따라서 이경우에는 영화 포스터에 관한 원저작자의 허락을 받는것이 안전하다고 말씀드릴 수 있겠습니다.저작권법 제35조의 5는 아래와 같습니다.제35조의5(저작물의 공정한 이용) 문헌① 제23조부터 제35조의4까지, 제101조의3부터 제101조의5까지의 경우 외에 저작물의 통상적인 이용 방법과 충돌하지 아니하고 저작자의 정당한 이익을 부당하게 해치지 아니하는 경우에는 저작물을 이용할 수 있다. [개정 2016.3.22, 2019.11.26] [[시행일 2020.5.27]]② 저작물 이용 행위가 제1항에 해당하는지를 판단할 때에는 다음 각 호의 사항등을 고려하여야 한다. [개정 2016.3.22] [[시행일 2016.9.23]]1. 이용의 목적 및 성격2. 저작물의 종류 및 용도3. 이용된 부분이 저작물 전체에서 차지하는 비중과 그 중요성4. 저작물의 이용이 그 저작물의 현재 시장 또는 가치나 잠재적인 시장 또는 가치에 미치는 영향[본조신설 2011.12.2] [[시행일: 부칙참조(제11110호)]][본조개정 2019.11.26 제35조의3에서 이동] [[시행일 2020.5.27]]
법률 /
지식재산권·IT
21.10.20
0
1
짝퉁.짜비.이미테이션 사거나 팔면 안되나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법률 분야 전문가 최광일 변리사입니다.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유명 상표를 모방한 상표가 부착된 짝퉁 상품을 판매하는 행위는 상표법상 상표권 침해행위로 처벌 대상이되나 짝퉁 상품을 사는 행위는 재판매를 하지 않고 개인적으로 사용하는경우에는 상표권 침해가 되지는 않습니다
법률 /
재산범죄
21.10.19
0
0
오징어 게임 에 대한 저작권 궁금
안녕하세요? 아하(Aha) 법률 분야 전문가 최광일 변리사입니다.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드라마 자체 시나리오나 제작 영상물 등은 저작물로 보호가 되나 오징어게임이라는 제목 자체는 저작물성이 인정이 되지 않습니다. 다만 오징어 게임이라는 단어를 미리 특정 지정 상품에 대해 상표 등록을 해둔 경우라면 상표법상 보호를 받을 수는 있습니다.
법률 /
지식재산권·IT
21.10.15
5.0
1명 평가
0
0
가상화폐 그래프 차트 이미지는 저작권에 위반되나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법률 분야 전문가 최광일 변리사입니다.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구체적인 챠트 이미지를 살펴 저작물성 여부를 살펴보아야 하겠으나 저작물로 인정시에는 사적이용을 벗어난 사용은 저작자의 동의가 필요하게 됩니다. 출처를 표시한다고 하여 저작자의 동의가 불필요 해지는 것은 원칙적으로 아니다라고 말씀드릴수 있습니다
법률 /
지식재산권·IT
21.10.09
0
0
저작권 위반에 대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법률 분야 전문가 최광일 변리사입니다.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구글에서 워터마크 표시가 있는 이미지가 사진 저작물로 보호되고 있는 경우 이를 다운받아 과제 제출에 사용한 경우 과제 제출의 형태가 저작물의 사적 이용인지 여부가 문제될 수 있어 보입니다. 저작물을 사적으로 이용 한 것에 해당된다면 저작권법 위반이 된다고 보기는 어려우나 이에 대한 구체적인 사실 관계는 별도로 따져 보아야 할 것입니다. 다만 저작권 침해가 침해가 성립되는 경우라도 친고죄이므로 저작권자가 과제 제출해 사용한 것을 를 확인하기가 쉽지 않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법률 /
지식재산권·IT
21.10.07
0
0
특허법원이 서울이 아니라 대전에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법률 분야 전문가 최광일 변리사입니다.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특허법원은 현재는 '특허권 등'' 관한 침해소송을 제기하는 경우 특허권 등에 대한 2심의 전속관할로도 지정되어 있으나 신설될 시에는 특허심판원의 심결에 대한 불복 소송만을 전속관할로 하는 2심법원으로 만들어졌기 때문에 소송 당사자 등의 편의를 고려하여 특허청내 특허심판원이 있는 대전에 신설이 되었습니다. 질문에 도움이 되셨으면 합니다.
법률 /
지식재산권·IT
21.10.07
0
0
브랜드 및 사업자 이름 등록 궁굼
안녕하세요? 아하(Aha) 법률 분야 전문가 최광일 변리사입니다.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사업자 등록 신청과 관련하여 법인 상호 등록의 경우 먼저 등록한 상호와 유사하다더라도 상호 등록에는 문제가 없습니다. 과거에는 유사상호 등록도 등록거절의 이유였지만 법 개정으로 유사상호 등록이 가능해졌습니다.다만 타인의 상호가 특허청에 상표 등록이 되어 있다면 등록 상표의 지정 상품과 유사한 상품을 판매하기 위해 사용되는 유사한 상호의 사용시 상품의 식별 표지로 작용을 하여 타인의 유사한 선등록 상표권 침해가 될 수 있습니다. 또한, 타인의 상호가 상표 등록이 되어 있지 않더라고 수요자에게 널리 인식된 상호라면 이와 유사한 상호를 사용하여 수요자에게 혼동을 초래하는 행위는 부정경쟁 방지법상 부정경쟁 행위의 소지가 있습니다.
법률 /
기업·회사
21.10.06
0
0
유튜브에서 영화나 드라마를 요약, 편집해 올려놓은 영상은 저작권법 위반이 아닌가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법률 분야 전문가 최광일 변리사입니다.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유튜버들이 개인적으로 영화나 드라마를 요약 편집해 올리는 영상은 이를 통해 수익을 얻지 않더라도 영화나 드라마 저작권자의 허락없이 올리면 저작권법 위반이 될 수 있습니다. 즉 영리성을 떠나 영화나 드라마의 요약 편집형태의 리뷰가 원작인 영화나 드라마의 인용 비중이 높아 전체 스토리를 유튜브 시청자가 파악할 수 있는 경우라면 저작권 침해가 될 수 있습니다.다만 저작권법 위반은 원칙적으로 친고죄이므로 저작권자가 문제삼지 않는다면 분쟁으로 이어지지는 않을 수 있으나 법적 불안정성은 계속되는 상태에 놓이게 될 수 있습니다.
법률 /
기타 법률상담
21.10.05
0
0
리메크곡 저작권법과 관련해서..
안녕하세요? 아하(Aha) 법률 분야 전문가 최광일 변리사입니다.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리메이크 대상이 되는 특정곡이 음악 저작물 보호 기간 내의 곡이라면 원곡의 작사 및 작곡가 등의 저작자에게 저작권 사용 승인을 받아야 하고 음악 저작물의 이용 대가인 저작권료를 지급하여야 합니다. 유튜브의 경우 자체 저작물 이용 관련 규정이 있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따라서 이를 확인해 볼 필요가 있을 것입니다.
법률 /
지식재산권·IT
21.10.05
0
0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