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조선시대에도 민사 재판이 존재 했었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조선시대에도 형사재판, 민사재판이 존재했습니다또한 민사재판의 경우 자신에게 내려지는 판결에 대해 불복하는 경우 다시 판결을 요청하는 상소제도도 있었습니다'삼도득신법' 이라 하여 세번까지 소 제기가 가능하였으며 민사재판의 경우 주로 재산문제, 토지, 노비 관련한 재판이 많았습니다
학문 /
역사
22.12.12
0
0
조선시대 기독교 탄압이 엄청 심했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기독교 탄압이 행해졌던것은 타종교라는 이유가 아닙니다조선시대에는 성리학을 바탕으로 그 외의 종교사상을 억압하였는데, 만인이 평등하다는 입장을 가지고 있는 기독교는 이에 어긋나는 사상으로 나라의 근간이 흔들리는 원인으로 간주하여 탄압을 하기 됩니다
학문 /
역사
22.12.12
0
0
조선시대 임금의 '조'와 '종'의 차이는 뭔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간단히 설명하면 나라를 세운 임금만 '조' 계통을 이은 임금은 '종' 입니다현재 우리가 알고있는 왕이름은 죽고나서 붙여진 이름이며 번외로 왕들이 자신의 힘이 더 강해지길 원하여 죽은 후 '조'로 바꾸기도 했다고 합니다
학문 /
역사
22.12.12
0
0
TV쇼 진품명품은 순기능이 많을까요 역기능이 많을까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제 생각으로는 순기능이 더 많아보입니다방송을 보다보면 다양한 문화재가 소개되고 그 문화재에 관한 역사, 인물, 또 문화재를 보는 다양한 시각, 다양한 각도, 그리고 무엇보다 문화재나 역사에 대해서 조금 더 쉽게 다가갈수 있는 장점이 있죠돈으로 환산하는것이 단점이 될수도 있지만 자본주의 사회에수 돈은 사람들의 관심을 끌수있는 수단이 되기 좋고, 환산하여 소개하다보면 많은 사람들이 주변에 있는 골동품들에 대해 다시한번 관심을 갖거나 조금 더 아낄수 있는 자세를 갖게 되는 순기능이 많다고 생각합니다
학문 /
미술
22.12.12
0
0
박싱데이는 왜 생겨난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박싱데이는 12웡 26일 크리스마스 다음날로 옛 유럽의 영주들이 이날 주민들에게 상자에 담은 선물을 전달하는것으로부타 유래되었으며 현재에는 크리스마스의 재고를 처분하기 위한 할인판매의 날로 인식되고 있습니다
학문 /
음악
22.12.12
0
0
안압지의 이름이 왜 바뀌었을까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안압지의 유래를 찾아보면 답이 있습니다안압지는 조선시대에 폐허가 되어 갈대가 무성했던 호수에 기러기와 오리들이 날아들어 기러기(안) 오리(압)을 써 안압지라 불리었으나, 1980년대 안압지에서 조선시대 이전인 신라시대에 이 호수를 월지라고 불렀던 사실이 확인되며 동궁과월지로 변경했습니다
학문 /
역사
22.12.12
0
0
우리나라 일부일처제는 어느시대부터 시작되었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일제강점기인 1920년대에 근대적 법률이 도입되면서 일부일처제 가족을 구성, 축첩과 이혼에 대한 논의가 사회적으로 제시되었으며 1921년 11월 14일 제령 14호의 1차개정, 1922년 12월 7일 제령 13호의 2차 개정울 거치며 일본 가족법이 조선에 적용즉 1920~ 1930 근대적 민법체제가 만들어지는 과정에서 일부일처제가 법적으로 정착되는 시기였습니다
학문 /
역사
22.12.11
0
0
조선시대에도 우유를 먹었을까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조선시대에도 우유를 먹었다는 기록은 있으나 왕이나 일부 귀족, 환자에게만 가능한 식품 이었습니다우유를 언제부터 마셨는지에 대한 기록은 없으나 단군조선으로 인정하고 있으며 1902년 구한말 농상공부기사로 일하던 프랑스인 Short 가 홀스타인젖소를 도입하면서 일반화가 되었습니다
학문 /
역사
22.12.11
0
0
신라시대 유물과 유적을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첨성대,황남대총금관,천마총금관,금관총금관,금령총금관,서봉총금관,교동금관,천마도, 불국사, 석굴암, 안압지, 상원사종,성덕대왕신종, 문무왕릉, 석굴암보존불과 보살상,감은사지3층석탑, 석가탑,다보탑,양양진전사지3층석탑, 법주사쌍사자, 불국사 석등, 무열왕릉비 받침돌, 성덕대왕 둘레돌 조각 등 입니다
학문 /
역사
22.12.11
0
0
조선시대 호랑이 잡는 착호갑사 질문이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착호갑사는 1416년 10월 27일 주인기와공계손이라는 사람이 자신들을 착호갑사라 속이고 군마를 빌려 호랑이를 잡으러 갔다는 기록을 보아 최소 1416년에 등장한것으로 보여집니다호랑이 사냥 무기로는 활과 창을 사용하였으며 한번으로는 호장이를 잡을수없어 세번이상 공격하야했고 이때 가장 먼저 호랑이를 쏜 사람을 선중전자, 가장먼저 호랑이를 찌른 자를 선창자라 불렀습니다겨울에는 썰매를 이용하였으며 덫을 이용하기도 하였고 구덩이를 파 창을 세워두는 정창을 이용하기도 했습니다착호갑사가 5마리 이상 사냥을 했을 경우 승진, 누가 먼저 쏘았는지, 호랑이의 수, 크기에 따라 근무 일수를 줄여주거나 면포로 포상을 주었습니다
학문 /
역사
22.12.11
0
0
1999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