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무령왕릉은 어떤 역사적·문화적 가치를 가지고 있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무령왕릉은 백제 무덤 중 유일하게 주인이 확인된 왕릉이며 도굴되지 않고 고스란히 발굴된 유적입니다. 무령왕릉 말고도 무왕의 무덤으로 거의 확실시 되는 쌍릉도 있는데 쌍릉은 주인이 확실시되었지만 역시 백제 멸망 후 천수백년간 이미 여러번 도굴되어 주인을 확실시할 지석이 남아있지 않아 심증은 충분하나 물증이 없는 상태 입니다.무령왕릉이 도굴되었다면 우리가 알고 있는 백제의 예술품이나 국제무역수준은 영원히 알수 없었을 것이며 백제의 장신구를 비롯해 무덤의 주인과 건설 경위가 담긴 묘비석이 발견된 점은 가장 중요한 성과입니다.이 석판을 통해 무덤이 무령왕과 왕비의 것이라는 점, 왕과 왕비를 2년 3개월동안 가매장한 후 정식 왕릉으로 옮기는 백제의 매장 풍습, 땅과 지하의 신들에게 토지를 사서 무덤을 쓰는 개념 등을 알수 있습니다.
학문 /
역사
23.11.07
0
0
우리나라처럼 동짓날 팥죽을 쒀 먹는 나라가 또 있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중국은 홍두죽이라는 것이 존재하며 당수라는 따뜻하고 달콤한 죽 요리의 한 종류로 분류됩니다. 보통은 겨울에 따뜻하게 먹으나 여름에는 일본의 젠자이처럼 차갑게 해서 먹거나 남은 팥죽을 얼려 아이스크림처럼 먹기도 합니다.일본은 크게 시루코와 젠자이라 하는 두 종류의 팥죽이있으며, 간토와 간사이 지역에 따라 두 종류의 구분이 다릅니다.관동에서는 물기가 많은 것을 시루코, 물기가 적은 것을 젠자이라고 하며 관서 지역에서는 시루코와 젠자이 모두 물기가 많아 팥을 으깨는 정도에 따라 구분합니다.
학문 /
역사
23.11.07
0
0
목조건물에 단청을 칠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단청의 목적은 색을 칠하는 건물이 돋보기에 하기 위함이었습니다. 따라서 궁궐, 사찰, 서원, 건축 등 공적이고 권위를 살려야하는 건축에 많이 사용되었고 실용적 측면으로 나무에 벌레가 먹지 않게 하고 썩지 않게 하기 위해, 한국에서 건축재로 흔히 쓰이는 소나무의 균열을 감추고 건축의 결함을 가리기 위한 것으로 30~40년 정도마다 다시 그리곤 했습니다.
학문 /
미술
23.11.07
0
0
일본,중국은 왜 숟가락을 안쓰는건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중국은 밀 문화가 발달해 전병, 빵, 국수 같은 음식이 발달했고, 수자원이 부족해 국물요리보다 볶고 튀기는 요리가 발달했기 때문에 젓가락만으로도 식사가 가능했기 때문입니다.일본의 경우 우리와 같은 밥을 먹기는 하나, 자포니카 품종을 재배하면서 찰진 밥을 먹기도했고 백미 위주의 식사를 했기때문입니다.또한 중국과 일본은 칠기를 사용했으므로 그릇이 가벼워 식사를 할때 들고 먹게되므로 굳이 숟가락을 사용하지 않아도 식사가 가능했습니다.
학문 /
음악
23.11.07
0
0
학생독립운동 기념일은 무엇을 기념하는 날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학생독립운동기념일은 1929년 11월 3일 일제강점기 조선 광주에서 일어난 광주학생항일운동을 기념하는 대한민국의 기념일 입니다.학생들의 독립운동 정신을 계승, 발전시켜 애국심을 드높이기 위해 매년 11월 3일 각종 기념행사를 거행합니다.이 날은 젊은 학생들이 나라와 민족을 위해 해야 할 바를 마음에 되새기며 굳게 다짐하는 날입니다.
학문 /
역사
23.11.07
0
0
정조가 궁녀 성덕임을 마음에 두고, 높이 평가한 이유가 무엇이었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정조가 쓴 어제의빈묘지명에 의하면 평생 재색을 잊을 수 없고, 바느질에 민첩하고 요리를 잘하고 붓글씨가 뛰어나고 수학을 잘하고, 예의가 바르고 효의왕후를 공경하는 등으로 보아 팔방미인이었습니다.
학문 /
역사
23.11.07
0
0
인류 최초의 가옥 형태는 어떤 것이었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초기에는 대체로 동굴 등 자연적 요소를 활용했고 인간의 문화가 발달하게 되면서 진흙, 나무, 풀 등의 간단한 재료를 사용해 인위적으로 만드는 형태로 발전되었습니다.인지가 발달함에 따라 인류는 보다 쾌적하고 견실한 주택을 짓기 위해 노력했고, 각 지역의 풍토적 환경과 민족성은 주택과 취락을 독자적인 형식으로 경영하게 합니다.청동기와 철기 문명 등 인간이 사용하는 도구가 발달하게 되면서 인간의 집은 나무와 석재를 본격적으로 이용하는 등 급격하게 바뀌기 시작하며 세계 이곳저곳의 문화에 따라 다양한 양식으로 변화했습니다.구석기 시대에는 주로 동굴과 막집을 중심으로 생활, 신석기 시대 초기 땅을 얕게 파고 서까래와 기둥이 있는 작은 집을 지은 움집수혈거주를 중심으로 생활했는데, 서까래와 기둥은 나무, 지붕은 풀을 덮었습니다.청동기 시대 내부의 여러 개의 기둥을 세운 비교적 넓은 집에서 거주, 철기시대에는 흙을 구운 기와를 지붕에 얹은 기와집이 등장합니다.
학문 /
역사
23.11.07
0
0
어릴 때 많이 하고 놀았던 팽이치기 유래에 대해서 알고 싶어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우리나라에서 이 놀이가 언제부터 시작되었는지 알수 없으나 720년 쓰여진 일본서기에 일본의 팽이가 우리나라에 전래되었다는 기록이 있는 것으로 미루어 삼국시대 이미 널리 유행했을 것으로 추측합니다.조선조 숙종 떄의 저작인 역어유해, 영조때의 한청문감 에도 이에 관한 기록이 보이는데 이들 문헌에는 핑이 로 기재되어있습니다.
학문 /
역사
23.11.07
0
0
LP 음반의 음질과 디지털 음원의 차이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우리나라에서 1950년대 초반부터 LP음반이 발매되면서 본격적으로 LP음반을 통해 음악을 듣게 되며, 이는 1970년대부터 1980년대까지 우리나라에서 선풍적인 인기를 끌었습니다.당시 LP음반은 대중들이 음악을 들을수있는 거의 유일한 통로였습니다.LP음반은 1분당 33회전과 45회전의 느린 회전을 통해 소리를 만드는데, 녹음된 소리의 소스가 레코드판에 파장이 들어가는 골을 만들고 전축에 있는 다이아몬드 바늘이 소리와 마찰을 일으키는 형식으로 진행되며 이러한 재생 원리가 아날로그 특유의 소리를 만들어냅니다.LP음반은 CD나 MP3파일보다 음역대가 풍성하며, 각 형태의 소리를 분석해보면 LP음반이 가장 높은 음역대까지 올라간다고 합니다.또한 LP음반은 기계음이 아닌 자연에 가까운 소리라는 실험결과가 있으며 오랜시간 LP음반으로 들어도 피곤하지 않다는 것을 증명합니다.LP음반은 시기 수요과 공급의 불균형이 생겨 희소가치가 높아졌으며 , 과거의 회상을 돕기 위한 의미로도 많이 애용합니다.
학문 /
음악
23.11.07
0
0
김좌진 장군은 무엇때문에 암살되었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자유시 참변을 계기로 반공 노선으로 전향한 김좌진은 참변으로 불모지나 다름없는 만주에서 다시 시작하면서 한족총연합회 주석 등에 임명되는 등 만주의 독립운동 지도자로 활약합니다. 1925년 신민부, 1929년 한족총연합회 등을 창설하고 활동하는데 이 과정에서 공산주의자들을 배제하고 항렬이 같은 아우뻘인 김종진 등 아나키스트들을 받아들이게 됩니다.이에 위협을 느낀 공산주의자 박상실에게 길림성 해림현 산시진 도남촌에서 암살당했습니다.
학문 /
역사
23.11.07
0
0
325
326
327
328
329
330
331
332
3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