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노래제목 삼포로 가는길에서 삼포는 어느지역을 이야기하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이혜민은 1970년대 후반 삼포마을에 여행을 갔다가 마을 풍경에 반해 노랫말을 썼습니다.삼포마을은 한적한 포구로 경남 창원시 진해구에 있습니다.
학문 /
역사
23.10.25
0
0
읍니다가 습니다로 바뀐 이유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읍니다가 습니다로 바뀐 것은 1988년 어문 규정을 개정하면서부터이며 이 규정이 시행된 것은 1998년 3월이었습니다.실제 발음시 읍니다는 모두 습니다로 발음되는 현상을 반영해 1980년대 말 국어학회에서 표준말 정리를 하면서 읍니다를 공식적으로 습니다로 발음나는대로 표기하기로 결정했습니다.읍니다가 습니다로 바뀐 이유는 발음하기 어려운 것도 있고, 입으로 말하면 씀니다로 발음이 되며 글로 적었을 때 헷갈릴수 있었기 때문입니다.
학문 /
역사
23.10.25
0
0
동남아 지금도 우기인가요? 우산은 필수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동남아시아의 우기는 각 나라와 지역에 따라 다를수 있습니다.어느 곳을 가시는지 모르겠지만, 대체적으로 10월부터 우기가 시작되는 곳이 많습니다.우기 시즌에는 비가 많이 올때는 종일 오는 날도 있어 우산은 필히 챙기는 것이 좋습니다.
학문 /
역사
23.10.25
0
0
고려시대에는 어떤 종류의 사립학교가 있었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고려시대 사립학교는 중앙에서 고관을 지내고 은퇴한 전직관료들이 개경 일대에 많이 세웠는데 최초 사립학교는 혜동공자로 알려진 최충의 9재 학당입니다.9재 학당은 9경과 3사를 전문적으로 가르치기 위해 아홉개의 재, 기숙사를 설치한 데에서 그 이름으 붙은 것으로 이후 11개의 사립학교가 세워지며 이를 사학 12도로 불렸습니다.
학문 /
역사
23.10.25
0
0
로마시대를 보면 붉은색을 많이 쓰는데 그 이유가 무엇일까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서양의 경우 가장 비싼 보라색이 황제의 색이고, 그 다음으로 비싼 빨간색이 귀족, 왕족의 색이 되었는데 로마에서 원로원 의원만이 토가에 빨간 단을 댈수 있었고 군단에서 빨간 망토는 군단장만이 입는 것이었습니다. 1453년 동로마 멸망 이후 티리언 자주색의 수입망이 제한되자 왕실과 추기경을 상징하는 색이 되기도 했습니다.
학문 /
역사
23.10.25
0
0
김영삼 정부는 문민정부라고 하던데 왜 문민정부라고 하는거죠?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문민정부는 군인이 아닌 보통 사람 즉, 일반인 출신의 대통령이 통치하는 정부를 말합니다.한국은 1961년 박정희의 5.16군사 정변 이후 32년간 전두환, 노태우 등으로 이어지는 군사정권이 통치, 1987년 6월 민주항쟁으로 대통령 직선제가 시행되고 1993년 2월 25일 제 14대 대통령으로 일반인 김영삼 정부가 들어섬으로 문민정부가 시작됩니다.
학문 /
역사
23.10.25
0
0
고려나 삼국시대의 왕은 어떠한 색으로 된 옷을 입었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조선시대 이전 649년 신라 진덕여왕이 중국식 의관을 채택한 이후 신라의 역대 군주들은 단령을 입었고 발해에서도 단령을 입었던 것으로 추측됩니다.고려는 외왕내제적 요소들도 일부 있어 태조는 황제만이 쓰는 통천관을 쓰는 등 황제의 의복을 착용했으며, 고려사에 따르면 고려는 건국 초부터 자황포를 입었다고 하는데 이는 황색 곤복이긴 하나 우리에게 익숙한 용보가 붙어져있는 곤룡포인지는 알수 없습니다.문종 12년 4월 문종이 신하에게 군주의 의복색에 대해 질문하자 신하는 지금 입는 황색과 홍색 의복 말고는 입을 수 있는 의복은 없다고하며, 의종대에 여러 황실 행차에서 자황포를, 연등행사에서는 치왕의 를 입는다 상정한 바 있습니다.고려서 원종세가에 따르면 원종은 임연에 의해 밀려난 뒤 복위 시도를 하며 자줏빛 옷을 입다가 이후 황색 곤복을 입고 신하들에게 하례받으며 복위, 몽골과의 전쟁이 끝난 뒤 충렬왕은 몽골의 예를 따라 지황색의 옷을 입으려 했으나 딱히 의복에 제한을 두지 않는다는 말을 듣고 다시 황포를 입었습니다.조선 숙종 조 기록에 고려가 푸른빛을 숭상해 조선 태조도 푸른 곤룡포를 입었을 것으로 추정하는 내용이 있어 고려 말기부터 청룡포를 입었을 가능성도 있습니다.
학문 /
역사
23.10.25
0
0
중국의 신나라가 있었다고 하는데 왜이리 역사도 짧고 알려지지 않은건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중국 역사상 통일 제국 중 최단명 제국이자 독자적인 시대로 구분되지 못하는 유일한 제국으로 고작 1대 15년이라는 짧은 역사를 가졌으며 10년도 가지 못한 서초의 항우 조차 사마천에 의해 정통한 천하 종주의 계보인 본기에 기록되고 초한쟁패기 자체가 하나의 시대로 인정받는것과 크게 상반되는 부분으로 진라라의 통일전쟁과 초한전쟁으로 황폐화가 된 중원을 복구시키고 발전한 전한의 황금기를 끝내고 다시 군웅할거로 전환시켜 결국 세조 광무제에 의해 내전이 끝날 때 까지 경제와 산업 상태를 최악으로 만든 제국입니다.신나라는 전한시대의 나쁜 점을 고쳐보려 개혁을 실시하지만 모두 실패하며 민심을 잃었고 결국 왕망이 부하에게 살해됨으로 신나라는 세워진지 15년 만에 끝이 나게 됩니다.
학문 /
역사
23.10.25
0
0
중국은 왜 황제가 노란색옷을 입고 조선시대왕은 붉은색옷을 입은건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조선시대 군주의 곤룡포는 빨간색으로 곤룡포를 입을 때 익선관을 쓰고 옥대를 매며 목화를 신었습니다. 여름에는 얇은 비단천인 대홍사 곤룡포를, 겨울에는 두꺼운 비단천인 대홍라 곤룡포를 입었는데 이는 중국의 영향이 큽니다.조선왕조실록 선조 27년 기사를 보면 대명회전에는 황제, 황태자와 친군왕세자는 모두 익선관에 곤룡포를 입는데 황제의 곤룡포는 황색이고 그 나머지는 모두 적색인 것으로 되어있고... 라고 기록되어있어 기본적으로 명나라에서 천자의 곤룡포는 세계 중심이란 의미에서 황색, 그 제후왕의 곤룡포는 붉은색 이었습니다.홍룡포를 입기 시작한 것은 세종 26년부터로 이전에 태조 이성계의 어진처럼 파란색이었는데 이는 명 태조 홍무제가 조선과의 기싸움으로 이성계에게 고려의 군주 대행이라는 뜻을 가진 권지고려국사라는 직책만 내리고 바라던 조선왕 책봉을 안한것이 발단이었고 조선왕 책봉은 태종 1년 명 혜종 건문제가 태종 이방원을 정식으로 책봉한 이후부터였으며 이후 세종 시대부터 새 군주가 즉위하면 명나라 쪽에서 단령과 단삼을 내려줬으나 양란 이후 명나라는 망했고 그 이후 조선에서 알아서 만들어 입었고 단삼은 원삼으로 바뀌게 됩니다.세종 32년 사대홍직금곤룡암골타운포, 나대홍직금곤룡포라는 이름이 나오는데 여기서 홍직은 붉은색으로 짰다는 것으로 이때부터 붉은 곤룡포를 입은 것으로 추정합니다.
학문 /
역사
23.10.25
0
0
고려시대의 제주도 탐라국은 고려시대 영토였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고려가 후삼국을 통일하고 2년여가 지난 938년 탐라국주 고자견은 태자 고말로를 보내 고려에 입조하여 형식상 속국이 되었으며 이에 고려 태조는 전대 신라의 예에 따라 탐라에 성주와 왕자의 관작을 제수합니다.탐라가 신라나 고려로부터 관작을 제수받은 것은 지방 호족 세력이 한반도의 패권을 가진 중앙정부에 입조해 탐라 지방의 지배력을 인정받은 것으로, 고려 초기까지 사실상 독립국이었으나 지방 호족을 고려의 지배 체계에 편입시키며 중앙의 통제력을 강화시켜나간 것과 마찬가지로 탐라국 역시 차츰 고려의 지방 행정 단위로 편입되었습니다.
학문 /
역사
23.10.25
0
0
397
398
399
400
401
402
403
404
4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