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KBS수신료 언제부터 납부하기 시작하였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수신료는 1963년 1월 100원으로 출발해 1964년 150원 , 1965년 200원, 1969년 300원, 1974년 500원, 1979년 600원, 1980년 800원으로 오르다가 1981년 4월 부터 컬러 티비 2500원, 흑백 티비 800원으로 구분되었으며 납부 초기 KBS자체 징수원이 집마다 돌아다니며 TV가 있는지 확인하는 방식으로 수신료 를징수했습니다.
학문 /
역사
23.07.12
0
0
철종 재위 시절 일어난 임술 농민 봉기에 대해서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삼정의 문란으로 조선의 백성들은 겨우 목숨만 이어갔고 이런 상황에서 진주의 백낙신이라는 관리가 세금을 몰래 빼돌리고 그 세금을 메우기 위해 다시 또 세금을 걷으려했습니다. 그러나 홍경래의 난을 경험한 백성들은 뭉치면 뭔가를 해낼수 있다는 것을 알고 가만히 있지 않았으며 수만명의 농민들은 진주 관청을 향해 몰려가 백낙신과 더불어 농민들을 괴롭히던 하급 관리들, 양반 지주의 집을 허물고 불살랐습니다.농민들의 반란은 진주에서 그치지 않고 경상도 진주에서 시작된 민란은 충청도, 전라도 까지 번지며 이 해가 임술년 이어서 임술 농민 봉기라 합니다.상황이 심각해지자 조선 정부는 사태를 수습하려 했고 정부에서는 암행어사를 파견해 백성들을 괴롭히는 관리들을 가려내기로 했으며 관청을 만들어 삼정의 문란을 철저히 다루려 하지만 세도 정치라는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하지 못한 상태에서는 아무런 효과를 발휘할 수 없었습니다.농민 봉기도 한계가 있었는데 세도 정치를 바꾸거나 조세 제도를 근본적으로 바꾸려는 방향까지 갔으나 대부분 정부에서 달래기 용 혜택을 주면 그것에 만족하고 봉기를 이어가지 않았습니다. 그러나 농민 봉기를 통해 백성들의 사회 의식은 더욱 성장했고 조선의 양반 중심 사회는 무너져갔습니다.
학문 /
역사
23.07.12
0
0
고려시대 쌓았던 천리장성은 지금 현재도 그 유적이 보존되어 있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고려시대 거란과 여진의 침입에 대비해 압록강 입구에서 도련포까지 쌓은 장성으로 우리나라 역사상 가장 큰 규모의 성입니다.이 유적은 지금도 의주 등 여러 곳에서 찾아볼수있습니다.
학문 /
역사
23.07.12
0
0
주6일제 근무에서 주5일제 근무로 바뀌게 된 과정이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주 5일제 근무가 도입되기 전 일반적으로 행해지던 근로 형태로 2000년대 중반까지 일반적인 근무형태였습니다.토요일은 평일 근무 시간의 50~70% 선에서 끝났습니다.주 5일 근무제에 대한 논의가 활발히 이루어지던 2002년까지만 해도 주 6일 근무는 당연했으나 김대중 정부가 주 5일 근무 정책을 적극 추진하면서 2002년 7월부터 전국의 모든 은행이 일제히 주 5일근무제 실시, 이후 2004년 7월부터 2011년 7월까지 차례로 실시했습니다.
학문 /
역사
23.07.12
0
0
삼국시대 고구려의 태학은 어떤 기관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태학은 고구려에 있던 국립 교육기관입니다.오늘날의 국립 대학과 같은 곳으로 주로 지배층의 자제들이 다니는 귀족학교였으며 입학 후 유교 경전을 익히거나 무예수련을 했고 이중 뛰어난 인재들은 중앙정부의 관리로 등용되었습니다.
학문 /
역사
23.07.12
0
0
일본 최초의 막부는 어느 막부입니까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일본 역사에 등장하는 첫번째 막부는 1192년 쇼군 미나모토노 요리토모 (1145~1199, 통치 1192~1199)에 의해 세워졌습니다.그가 세운 정권은 그의 본부가 위치했던 가마쿠라의 지명을 따라 가마쿠라 막부로 불립니다.
학문 /
역사
23.07.12
0
0
일본 역사에서 막부정치는 여러분 등장하는데요 막부에서 막부의 의미는 정확하게 어떠한 의미를 가지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막부(幕府)를 한자어로 풀이하면 장군의 진영 이란 뜻이며 과거 중국에서 영토 정벌 등의 이유로 왕을 대신해 외부로 나간 군대 지휘관들이 야외에 임시 천막을 치고 군사 작전을 지휘한 것에서 유래되었으며 일본에서 막부는 무인 가문의 통치를 상징하는 좀 더 정치적인 의미를 가집니다. 처음 본부 정도의 뜻이었으나 지휘본부가 그대로 정치적인 권력을 갖게 되면서 정부 라는 뜻으로 까지 쓰이게 되었습니다.
학문 /
역사
23.07.12
0
0
고대 신라 시대에도 과거 제도와 같은 인재 선발 제도가 있었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과거제도 이전 고대 한국에서 인재를 뽑을 때 귀족 등 신분을 대대로 세습하거나 잘 아는 사람을 추천하고 추천자가 일종의 보증을 서는 천거 방식을 이용했고 신라의 화랑제도 역시 보통 청소년 수련단체정도로 알려져있지만 한편으로는 화랑의 매력으로 인재를 모으고 화랑과 휘하에 모인 낭도의 공동생활로 결속력을 다지고 교육해 그 중 능력이 우수한 자를 천거해 뽑아 신라의 문무관직에 부임시키는 역할이었고 한국에서 처음으로 유교 지식에 대한 시험을 치러 관리를 등용한 제도는 신라의 독서삼품과 입니다.이 때 시험은 전적으로 시험결과에 따라 관리를 등용하는 것이 아니라 관리 등용에 성적을 단지 참고하는 형식으로 본격적으로 과거제도를 도입한 것은 아니었습니다.신라에서 골품제의 벽에 막힌 6두품 이하는 독서삼품과를 통해도 출세하는데 한계가 있어 당나라의 외국인 전형 시험인 빈공과에 응시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학문 /
역사
23.07.12
0
0
영락제가 궁녀와 환관을 숙청한 이유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명나라로 건너간 공녀들은 각각 첩지를 받아 후궁이 되었고 현인비 권씨, 여미인, 강혜장숙여비 한씨, 임 순비, 이 소의, 최 미인, 정비 , 송비, 황비 그중 한명인 권씨가 현인비로 봉해졌고 한확의 누나인 한씨는 여비로 봉해서 총애를 받았습니다. 이중 현인비 권씨는 상당히 이례적인 대우를 받았는데 당시 영락제의 황후 서씨가 죽고 없어 후궁의 관할을 조선에 온지 얼마 안되는 권씨에게 맡기기도 했습니다.그러나 권씨는 얼마 안되어 병사했는데 독살로 밝혀지자 한바탕 난리가 난 끝에 같이 조선에서 온 여 강비가 범인으로 몰려 고문 끝에 사망합니다. 그런데 나중에 실은 한족 출신인 여 장비가 독살범이고 그 죄를 여 미인에게 뒤집어 씌운 것이라 밝여졌으며 여기에 그치지 않고 여 장비가 다른 궁녀인 어씨랑 공모한 것도 모자라 함께 환관과 간통까지 했다는 사실도 드러났는데 영락제는 이 사실을 알고도 그냥 덮고 넘어가려했지만 여 장비와 궁녀 어씨가 영락제에게 처벌 받을 것을 두려워해 스스로 목을 매 자살했고 이 때문에 분노하게 되며 관련자 2,800여명이 죽었습니다.
학문 /
역사
23.07.12
0
0
족보는 언제부터 쓰이기 시작했나요? 그 시작이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족보의 시초는 중국으로 제왕연표라는 황족의 혈통 계보 책에서 비롯되었습니다.개인이 족보를 가지게 된 것은 한나라 때 현량과 제도를 통한 인재 선발에서 응시생의 가족 내력을 확인하는데에서 시작되었고 연려실기술에 따르면 한반도에 족보가 처음 건너온 것은 1562년의 문화유보라고 하나 전해지지는 않습니다.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족보는 1472년 간행된 안동 권씨의 성화보이며 굳이 조선시대가 아니라 하더라도 고려사에 따르면 고려의 문벌귀족들도 족보와 유사한 혈통 증명 체계를 가진 것으로 보입니다.
학문 /
역사
23.07.12
0
0
955
956
957
958
959
960
961
962
9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