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세종대 설치되는 4군 6진의 위치는 어떻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조선 세종 때 여진족을 몰아낸 후 군사적인 목적으로 만든 행정구역인 4군 6진에서 4군은 현재의 평안도 지역이며 6진은 함경도 지역입니다.
학문 /
역사
23.07.12
0
0
상징주의 미술의 특징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신비주의는 정신적 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해 상징과 모티브를 사용하는 것으로 상징주의 미술은 대상을 직접적으로 묘사하지 않고 모호하고 몽환적인 분위기로 그려내는 것으로 내면을 전달하는 경우가 많기때문에 꿈과 같은 신비로운 분위기를 가지고 있습니다.은유는 관련성이 없는 두 사물사이에 강한 유사성을 표현하기 위해 상징을 사용하는 것으로 상징주의 예술에서는 작품에 표현된 대상이 모호한 것이더라도 은유를 통해 특정한 감정이나 생각을 불러 일으킵니다.상징주의는 문자 그대로의 의미가 아니라 개념이나 감정을 나타내기 위해 상징을 사용하며 상징주의자들은 추상적인 형태로 감정적인 진실을 표현하는 방법으로 상징을 택했습니다. 이 상징들이 작품을 보는 사람에 따라 작품을 해석할 수 있도록 상상력을 불러일으킵니다.
학문 /
미술
23.07.12
0
0
장마의 어원은 무엇이며, 고유어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장마는 중세 한국어에서 댱마라고 썼으며 이는 한자어인 길 장, 비를 뜻하는 고유어 마 가 합쳐진 합성어 입니다.그러나 장마의 한자 표기는 인정되지 않는데 한자 어원이 있을 뿐 이미 고유어화 되었다고 봅니다.
학문 /
역사
23.07.12
0
0
홍길동전이 최초의 한글소설이라는 근거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과거에는 단순히 최초의 한글 소설로만 알려져있었는데 현재는 연구결과로 이렇게 수식하는 사례가 거의 없어졌습니다.홍길동전의 원본은 발견되지 않았고 후대의 여러 이본만이 존재하며 원본이 한문이나 한글로 쓰였다는 기록이 남아있지 않은 관계로 최초의 한글 소설인가에 대한 의문이 있습니다. 홍길동전과 관련된 가장 큰 쟁점들은 최초 저자가 허균이냐는 논란과 원본이 한글 소설이냐는 논란으로 둘 중 하나는 성립하지 않을 가능성이 높습니다.다만 허균은 1598년 한국어로 시를 쓴 적이 있는데 허균은 명나라의 학자 오명제가 시선집을 간행 할 때 한글로 쓴 시를 오명제에게 주었는데 중국에서 간행하기 위해 한글로 시를 쓴 적이 있으니 비슷한 목적으로 한글로 소설을 쓰는 것도 불가능하지는 않습니다.
학문 /
역사
23.07.12
0
0
2차 대전 태평양 전쟁에 있었던 가미카제의 원래 정확한 뜻이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가미카제라는 말은 신의 바람을 뜻합니다. 원래 1281년 몽골이 일본을 침공했을때 우연히 들이닥쳐 몽골 함대를 침몰시킨 태풍을 일컫는 말이었습니다.
학문 /
음악
23.07.12
0
0
제1차 세계대전에서 소련과 독일은 적군이었는데, 어째서 독일은 소련의 레닌을 도와줬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러시아는 제 1차 세계대전에 참가했는데 이때 러시아에서 혁명이 일어나 로마노프 왕조가 무너지고 소비에트 공화국이 들어섭니다.러시아 사람들은 전쟁을 그만두고 식량을 달라고 시위를 벌였고, 스위스의 취리히에 있던 레닌은 3워 혁명 소식을 듣고 돌아갈 준비를 했으며 1917년 4월 7일 레닌은 30명의 동지와 함께 열차를 타고 러시아로 옵니다.열차는 러시아의 적인 독일을 지나야했는데 혹시라도 열차 안을 검사하면 레닌은 위험할수 있는 상황으로, 이런 레닌을 위해 스위스의 독일 대사가 봉인 열차를 마련해주었습니다.봉인 열차는 문을 잠그고 국경을 지나기 때문에 여권 검사를 하지 않는데 독일이 레닌을 도운 것은 레닌이 돌아가면 러시아는 혁명을 계속 할 것이고, 그렇게 되면 러시아가 전쟁을 멈출 것이라 생각했기 때문입니다.
학문 /
역사
23.07.12
0
0
우리나라는 왜 첫 인사가 "안녕하세요" 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안녕하세요는 한자로 편안할 안, 편안할 녕으로 무탈하시오? 라고 풀이할수 있습니다.상대방의 건강을 챙기고 걱정해주는 인사인데, 이는 보릿고개, 호환, 외적의 침입 등 살기 각박한 조상들의 삶의 모습이 비춰진 인사말입니다.
학문 /
역사
23.07.12
0
0
중세 미술 양식에서 비잔틴양식과 고딕양식의 차이점은 무엇일까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비잔틴양식은 돔형의 지붕, 석조 기둥, 모자이크 벽화 등이 주로 사용되어졌고고딕 양식은 뾰족한 첨탑, 스테인드글라스 창문이 특징으로 나타나고 있습니다.
학문 /
미술
23.07.12
0
0
조선시대에 일식과 월식의 관측이 왜 중요했었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조선시대 일식이나 월식은 왕실의 권위를 흔드는 큰 문제였습니다. 민심은 천심이라는 말이 있듯 멀쩡하던 하늘에 해나 달이 갑자기 가려져 버리면, 임금에게 하늘이 보내는 경고라고 생각했다고 합니다.
학문 /
역사
23.07.12
0
0
백제의 삼천궁녀 이야기가 진실인지 정말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삼천궁녀는 정확히 3천명이 아닌 궁녀를 많이 거느렸다는 문학적인 수사 입니다.조선시대 문인들이 낙화암과 백제를 소재로 한 글을 쓰면서 백제가 멸망하면서 삼천궁녀들이 이 낙화암에서 떨어져 죽었구나와 같은 표현을 남겼습니다.
학문 /
역사
23.07.12
0
0
964
965
966
967
968
969
970
971
9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