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인도의 사티제도에 대해서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사티제도는 부부 사이에서 남편이 아내보다 먼저 죽으면 남편의 시체를 화장할 때 아내가 산채로 불 속으로 뛰어드는 것으로 시바 신의 첫번째 아내인 사티에서 유래되었습니다.사티의 아버지 다크샤는 사티가 결혼 적령기가 되자 신들을 모아 연회를 열었는데 다크샤는 시바 신을 좋아하지 않아 그를 초대하지 않았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티는 시바 신만을 자신의 신랑감이라 생각, 결국 시바와 결혼합니다.다크샤는 희생제라는 의식을 열었는데 여기서도 시바를 초대하지 않았고 사타는 이를 지켜보다 남편인 시바신의 명예를 회복하기 위해 희생제의 불속으로 몸을 던져 자신을 산 제물로 삼았으며, 이는 남편을 위해 자신을 희생한 사티의 행동을 상징적으로 여겼고, 사티가 이상적인 아내 상으로 여겨지게 됩니다.그러나 이 이야기가 현실에 적용되면서 사티제도가 생기는데 이 제도는 강제가 아니라 선택이지만 인도 사회의 여성 인권이 낮은 상황에서 과부들은 재혼도 할수 없게 되었고, 남편의 가족들은 아내에게 상속되는 재산을 빼앗기 위해 사티제도를 강요했습니다.
학문 /
역사
23.12.03
0
0
고려시대 무신 양규는 누구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양규는 고려 전기 형부낭중, 도순검사, 공부상서 등을 역임한 무신 입니다.목종 때 형부낭중이 되며, 1010년 거란의 성종이 직접 군사를 이끌고 흥화진을 포위하자 도순검사가 되어 진사 정성과 부사 이수화, 판관 장호 등과 더불어 성을 굳게 지키며 완강히 저항하고 항복 권유를 물리쳤습니다.이에 거란군은 포위를 풀고 통주에서 강조가 이끄는 고려의 주력부대를 격파한 뒤 남진, 거란군은 이때 사로잡은 노전을 흥화진에 보내 항복을 권하나 오히려 노전을 사로잡고 성을 굳게 지킵니다. 그 뒤 군사 700여 명을 거느리고 흥화진을 출발해 통주에서 강조의 부하였던 병사 1000여 명을 수습해 곽주에 머무르고 있던 거란병 6000여 명을 공격해 성을 탈환하고 성 안에 있던 남녀 7000여 명을 통주로 옮기게 됩니다.1011년 개경이 함락되고 현종이 나주까지 피란 갔으나 거란군과 철병교섭이 성공해 거란군이 물러가게 되었고 이에 양규는 구주방면으로 돌아가는 거란군을 지키고 있다가 무로대에서 2000여 명을 베고 포로가 되었던 남녀 2000여 명을 탈환, 석령에 이르러 다시 2500여 명을 베고 포로가 된 1000여 명을 탈환합니다.여리참에서 싸워 1000여 명을 베고 포로가 된 1000여 명을 탈환, 다시 거란의 선봉과 애전에 싸워 1000여 명을 베었으며 이때 거란의 군사가 갑자기 몰려와 구주별장 김숙흥과 더불어 싸우나 남은 군사가 얼마 되지 않고 화살이 떨어져 진중에서 전사합니다.그는 고군으로 한달 사이에 7차례 싸워 적을 6500명을 베고 포로가 된 백성 3만여명을 구했으며 낙타, 말, 병장기 등 노획물을 헤아릴 수 없을 정도로 획득하는 대승을 거두었습니다.
학문 /
역사
23.12.03
0
0
가발은 조선시대에도 있었는지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조선시대에는 가발과 비슷한 가체 라는 것이 있었습니다.이는 여성들이 치장을 위해 가발을 머리위에 얹은 것입니다.가체는 대부분 남자 머리카락으로 제작되었는데 당시 남자들이 머리를 자라 팔았다고 하는데 특정 지역 남자들이 몇 년간 잘관리해 길렀다가 팔았습니다.또한 인모와 함께 당주홍, 홍합사, 송진, 진사, 주사, 마사, 홍향사, 연지, 소금, 참기름 등을 써 다양한 성분분말로 만든 용액에 수거한 머리칼을 담가 곧게 펴고 탈색했습니다.
학문 /
역사
23.12.03
0
0
우리나라에서 민족이라는 개념이 생긴 것은 언제부터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우리는 우리 민족을 한민족이라 하며 이때 한은 우리나라를 표현하는 한자로 대한민국, 한반도 등의 한 과 같습니다.우리 민족은 아주 오래전부터 한반도에 살기 시작하며 우리만의 독특한 언어와 문화를 형성 했습니다.한민족 역사에서 가장 이른 시기에 세운 나라는 고조선, 부여이며 고조선은 요동을 중심으로 삼아 중국 전국시대에 전국칠웅들과 마찬가지로 왕을 칭할 정도로 강성했으나 연나라의 침입으로 큰 타격을 입고 한반도 북부로 밀려났고, 후에 한나라의 침입으로 멸망합니다.부여는 고조선 유민들을 받아들이고 고조선이 멸망한 뒤에도 한나라와 좋은 관계를 맺으며 융성하나 부여에서 유래한 이주민과 압록강 유역의 토착민이 합쳐진 고구려가 발흘해 밀려나기 시작, 선비족의 대대적인 침략으로 막대한 타격을 입게 됩니다.맥 계통의 고구려는 예 계통인 부여인의 일파가 압록강 유역의 토착국인 졸본부여에서 정착하며 시작, 고구려는 또 다른 맥 계통의 소국들과 예 계통의 소국들, 빈사상태였던 부여 등을 흡수하면서 한반도 북부로 진출해 고조선인과 마한인, 잔존한 한사군의 소수 한족들을 통합, 흡수해 고구려인이라는 정체성을 이루게 됩니다.
학문 /
역사
23.12.03
0
0
우리가 흔히 아는 아리랑은 신아리랑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한국 민요사에서 1920~1930년대 걸쳐 독특한 형태의 노래가 유행하는데 기존에 불리던 전통적인 민요와 다르다는 측면에서 새롭다고 하여 신민요라는 명칭이 붙었고, 대중에게 친숙한 전통 민요를 시대적 상황에 맞게 응용한 새로운 민요풍의 유행가 형태가 등장, 이러한 변화는 아리랑에도 일어나 신민요 아리랑이라는 형태가 나타나기 시작, 1930년 신아리랑 이라는 곡목이 출현하게 됩니다.가사를 보면 구아리랑과는 다른 가사를 가지고 있습니다.아리랑 아리랑 아라아요 아리랑 고개로 널 넘겨주소밭은 헐어서 길이 되고 집은 헐어서 정거장 되네아리랑 고개는 두두 고갠데 우리네 보리고개 몇몇이드냐생활에 쪼들려 넘는 고개는 북간도 가는 손들 눈물의 고개
학문 /
음악
23.12.03
0
0
세계사공부하다보니 폼페이란도시가 있었다던데 어떤도시이였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폼페이는 현 이탈리아 캄파니아주 나폴리 근처에 위치한 도시이자 역사적으로 유명한 고대 로마의 도시입니다.본래 농업과 상업이 활발했고 로마 귀족들의 휴양지로 번성했으나 서기 79년 8월 24일 베수비오 화산의 폭발로 단 18시간 만에 잿더미가 되어 소멸되었으며, 1592년 폼페이 위를 가로지르는 운하를 건설하는 과정에서 건물과 회화작품들이 발굴되어 사람들에게 알려지게 되었습니다.
학문 /
역사
23.12.03
0
0
고려에서 왕의 스승 왕사는 어떤 일을 했었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왕사는 고려 및 조선 초기 덕행이 높은 고승에게 주던 최고 승직의 하나입니다.고려는 정치 이념에 불교의 영향력이 컸고 고려의 백성 대부분이 불교를 신봉했으므로 정권과 백성의 중간다리 역할을 하는 불교의 고승을 왕사로 삼았습니다.즉 백성의 대부분이 불교를 신앙하였으므로 그들을 정치에 직접 참여시키지 못하는 대신 백성들을 정신적으로 지도할 수 있는 고승을 왕의 스승으로 책봉했습니다.
학문 /
역사
23.12.03
0
0
안중근의사의 유해는 아직 못찾았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아직도 안중근의 유해는 찾지 못했습니다.뤼순 주변은 대부분 1930년대 이후 여러차례 개간되었고 1910년 흔적을 거의 찾을수 없으며 2008년 남북 공동으로 진행한 발굴 사업도 결국 유해를 찾지 못해 사실상 거의 찾지 못할것으로 보여집니다.
학문 /
역사
23.12.03
0
0
우리나라에서 상투 머리를 한 최초의 기록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한서 조선전 고조선에 보면 연왕 노관이 반란을 일으켜 흉노로 들어가자 위만도 망명하였다. 그는 무리 천여명을 거느렸는데 상투를 하고 오랑캐 옷을 입었으며 동쪽으로 도망하여 요새를 나와 패수를 건너 진나라의 옛 공지인 상하장에서 살았다 라고 기록되어있으며, 고구려의 고분벽화에서도 상투를 튼 남성의 모습을 볼수있습니다.
학문 /
역사
23.12.03
0
0
이방원이 정몽주를 숭상하게 한 이유가 무엇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정몽주의 평가를 보면 , 그는 충효를 높게 평가하는 유교 국가 조선에서 좋은 평가를 얻은 인물입니다.이방원은 난을 일으켜 정권을 잡았기 때문에 충효를 강조, 왕권을 강화하고자 하였으니 정몽주를 일부러 높여준 것으로 해석될수있습니다.
학문 /
역사
23.12.03
0
0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1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