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대한민국의 졸음쉼터의 역사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졸음쉼터는 도로법 제 2조 및 도로법 시행령 제 3조에 따라 휴게소간 간격이 먼 구간에 졸음운전에 따른 사고의 예방을 위해 도로안전 기능을 강화하고 생리적 욕구 해소를 위해 설치한 시설입니다.2011년 한해 동안 휴게소 간 거리가 50km안팎인 곳들을 대상으로 우선 설치하기 시작했습니다.
학문 /
역사
24.01.03
0
0
조선시대 망나니는 봉급을 얼마나 받았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망나니를 자처하는 사람이 없었으므로 월급은 높은편이나 망나니의 신분을 천하게 여겼습니다.주로 죄인들이나 천인들이 담당했으며 자신이 참수하는 죄인보다 상대적으로 가벼운 죄를 지은 죄인들이나 사형수가 사형을 면하는 대가로 처형인 일을 하기도 했습니다.
학문 /
역사
24.01.03
0
0
조선 왕중에 가장 후사가 많은 왕은 어느 왕이죠?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태종 입니다.태종은 12남 17녀로, 총 29명의 자식을 둔 가장 많은 왕 입니다.
학문 /
역사
24.01.03
0
0
보신각종 33번이 의미하는 것은 민족대표 33명을 의미하는 것 맞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보신각 종이 33번 치는 것은 불교의 수호신인 제석천이 이끄는 하늘 세상인 도리천에 닿으려는 꿈을 담으며 나라의 태평과 국민의 편안함을 기원하기 위해서 입니다.불교의 우주관 28계 33천 신앙에서 유래되었습니다.
학문 /
역사
24.01.03
0
0
조선왕실의궤는 어떤 내용이며 제작의 의도는 뭘까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조선시대에 왕실이나 국가의 주요 행사내용을 정리한 기록으로 결혼, 잔치, 장례 때 입은 왕의 옷과 행렬의 배치를 그림을 통해 기록한 문서입니다.특히 행사의 진행과정과 날짜순으로 자세히 적고, 참여한 사람들의 명단과 비용 및 재료까지 세밀히 기록했으며 의식에 쓰인 주요 도구와 행사 장면을 천연색으로 그려 놓아 시각적인 효과와 현장성을 살렸습니다.실록 등에도 의례의 기록이 남아있으나 내용의 규모가 방대하고 소상하며 행차모습 등 그림으로 표현되어야 하는 부분이 많아 의궤로 제작되었습니다.왕실의 혼사, 장례, 부묘, 건축, 잔치 , 편찬 등 반복적으로 일어나는 일을 기록해 유사한 행사가 있을 시 참고하도록 했습니다.
학문 /
역사
24.01.03
0
0
강릉 단오제의 유래에 대해서 알고 싶어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단옷날부터 열리는 것으로 알려져있으나 그 시작점은 대관령 산신제 이며 그 산신은 통일신라 시대의 사람 김유신 입니다.허균의 성소부부고 권 14, 문부 11, 대령산신찬벼서에 허균이 34세이던 1603년 여름, 당시 수안군수를 역임하고 모친과 함께 외가인 강릉 사천의 애일당에 내려와 약 4개월간 머물렀을때 강릉단오제를 보았으며, 그에 의하면 명주 사람들이 5월 길일을 택해 대관령 산신인 김유신 장군을 괫대와 꽃으로 맞이하여 부사에 모신다음 온갖 잡희를 베풀어 신을 즐겁게 했다고 했습니다.
학문 /
역사
24.01.02
0
0
천고마비 한자어의 유래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가을이 좋은 계절임을 나타낼 때 흔히 쓰는 말이나 원래 옛 중국에서 흉노족의 침입을 경계하고자 나온 말입니다.은나라때부터 중국 북방에 나타나기 시작한 흉노족은 거의 2천년동안 중국의 각 왕조나 백성들에게 공포와 증오의 대상이었는데 그들은 기병이 강했고 그 기동력을 십분 발휘해 바람같이 국경을 넘어 들어와 중국 북방 일대를 휘저으며 약탈을 자행했습니다. 이에 북방 변경의 중국인들은 하늘이 높고 말이 살찌는 가을만 되면 언제 흉노의 침입이 있을 지 몰라 전전긍긍했다고 전합니다.
학문 /
역사
24.01.02
0
0
가화만사성은 어디에서 나온 말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가화만사성은 가정이 화목하면 모든 일이 잘 풀린다는 것으로 명심보감 치가 편에 나오는 구절입니다.- 자식이 효도하면 어버이가 즐겁고, 집안이 화목하면 만사가 이루어지느니라
학문 /
역사
24.01.02
0
0
견물생심 의 유래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견물생심은 물건을 보면 마음이 생겨난다는 것으로 무엇인가를 보면 그것을 갖고 싶어하는 마음이 생기기 마련이라는 의미입니다. 사자성어이므로 유래가 없습니다
학문 /
역사
24.01.02
0
0
백범 김구선생이 안두희의 총에 맞아 서거한 곳은 어디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김구 선생은 1949년 사저였던 경교장에서 서예를 하던 도중 육군 장교 안두희에게 권총으로 암살당했습니다.
학문 /
역사
24.01.02
0
0
55
56
57
58
59
60
61
62
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