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눈오는날은 왜 기분이 좋아질까요? 강아지들도 좋을까요?
안녕하세요. 오늘 제가 사는 곳은 흰 눈이 펑펑 내려 온세상이 하얗게 변했습니다.눈이 내리면 기분이 좋아지는 이유는 눈으로 인해 세상이 새하얗게 변해 세상의 더러움을 모두 덮어주고 아름다움을 보여주기 때문이 아닐까요^^하늘에서 내리는 것 중에 천천히 내리면서도 눈에 보이는 것이 눈이고, 그리고 그 눈을 겨울 특정한 날에만 볼 수 있기에 더 귀하고 아름답게 느껴지는 것 같습니다.강아지가 눈이 오는 날 뛰어 다니는 것은 발바닥이 차가워서라고 알고 있었는데 사실은 개의 발바닥은 두꺼운 지방층으로 이루어져 있어 추위를 느끼지 않는다고 합니다. 강아지가 뛰는 이유는 시력 때문이라고 하는데 강아지 눈은 근시이고 흑백처럼 보이는데 세상에 내리는 눈이 어두운 배경에 하얀색 눈이 날리는 것이 신기해서 뛰는 것이라고 합니다.제 답변이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네요. 감사합니다.
학문 /
미술
22.12.06
0
0
위화도 회군 역사적 사실을 반란으로 봐야 하나요?
안녕하세요. ' 위화도 회군'은 고려 말기인 1388년(우왕 14) 명나라의 요동을 공략하기 위해 출정했던 이성계가 위화도에서 회군해 우왕을 폐위시키고 정권을 장악한 사건을 말합니다.이는 고려의 우왕의 입장에서 보면 반란이 맞습니다.하지만 ‘역사는 승자의 기록’이란 말에서 알 수 있듯이 이성계의 쿠테타는 성공을 했고 이 사건을 계기로 고려가 멸망하고 조선이 건국되는 계기가 되었으니 당연 이성계의 입장에서 역사가 서술될 수 밖에 없는 것입니다.역사적으로 승자의 선행을 열거하며 찬양하고 패자의 잘못을 드러내어 꾸짖는 서술이 압도적으로 많다고 합니다. 제 답변이 질문자님께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감사합니다.
학문 /
역사
22.12.06
0
0
청바지 주머니 속 또다른 작은 주머니가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청바지의 기원은 1850년 미국 서부에서부터 시작합니다.그 당시 황금을 캐기 위해 서부로 몰려든 사람들이 많았다고 합니다.청바지는 원래 천막 천으로 만들었다고 합니다. 천막 천이 질기고 잘 닳지 않아 광부나 노동자들이 입기에 좋았기 때문이라고 하네요. 청바지 주머니 속의 작은 주머니는 워치 포켓(watch pocket)이라고 합니다.1850년대 노동자들이나 광부들이 시간을 보기 위해 회중시계를 들고 다녔는대요. 이 주머니는 회중시계를 안전하게 넣고 다니기 위한 주머니였다고 합니다.지금은 회중시계를 거의 쓰지 않다보니 흔히 동전이나 그와 비슷한 작은 것들을 잃어버리지 않게 넣어두는 용도로 쓰이곤 합니다.제 답변이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감사합니다.
학문 /
미술
22.12.06
0
0
천주교에서의 성수란 무엇을 의미하는가요?
안녕하세요.성수(聖水)는 사제의 영으로 거룩하게 한 물로 가톨릭 교회에서 종교적인 의식 때에 쓰기 위하여 교회의 이름으로 축성(祝聖)한 물이라고 합니다.이는 사제가 신앙 예식용으로 축성한 물로 가톨릭에만 있는 소중한 자산이라고 합니다.인간은 물로서 시작되므로 가톨릭에서는 성당 방문의 처음을 물로 합니다. 성수대에 손을 담가 찍은 후 그 물로 자신을 축복합니다. 또한 악을 물리치고 구원을 청하는 기도라고도 합니다.
학문 /
역사
22.12.05
0
0
평강공주는 왜 생몰년 미상으로 기록되어있을까요?
안녕하세요.온달은 고구려 영양왕 때 590년 신라와의 전투에서 출정하게 되는대요. 그는 아차성 아래서 신라 군대와 접전을 벌이다가 날아오는 화살에 맞아 죽었다고 합니다.평강공주의 아버지였던 평원왕은 고구려의 25대 왕으로 589년에 수나라가 남조의 진나라를 멸망시키자, 그 소식을 듣고 크게 놀라 병기를 수선하고 곡식을 축적하는 등 수나라의 위협에 대한 대책을 준비하다가 사망하였다고 합니다.평강공주의 출생과 사망 시기나 온달의 출생 시기가 전해지지 않는 것은 그에 대한 기록에 남아있지 않기에 미상으로 기록된 것 같습니다.
학문 /
역사
22.12.05
0
0
조선 역사 이방원은 정치를 잘했나요?
안녕하세요. 태종 이방원의 가장 큰 업적은 왕권을 강화하기 위해 실시한 '6조 직계제'입니다.왕-의정부-6조의 관계에서 의정부를 거치지 않고, 왕이 직접 6조에게 명령하고 보고 받는 것이 바로 '6조 직계제'입니다. 이를 통해 왕의 권한은 강해지지만 의정부의 역할은 축소될 수 밖에 없었습니다.세자로 책봉된 방원은 병권을 장악하고 중앙집권의 틀을 다져나갔습니다. 사병을 혁파하고 군사를 삼군부로 집중시켰으며, 관제를 정비하고 공신과 외척을 숙청했다고 합니다.태종의 이런 왕권강화책으로 인해 왕권과 중앙 집권이 크게 강화되어 왕조의 안정을 이루게 되었고 그의 아들이었던 세종대왕이 많은 민생 업적을 남길 수 있었던 것이 아니었을까 하는 생각을 합니다.제 답변이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학문 /
역사
22.12.05
0
0
무라카미 하루키와 같은 소설가는 소설을 쓰는데 얼마나 시간이 걸리나요?
안녕하세요. 아무리 유명한 작가라고 해도 장편소설을 한편 내는 일은 그리 쉬운 일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무라카미 하루키가 쓴 가장 대표적인 작품인 '노르웨이의 숲' 의 경우 3년간 유럽에 체류하며 쓴 소설이라고 합니다.이 시기에 '댄스 댄스 댄스'도 같이 쓰여졌다고 하는대요.이를 통해 대략 한 작품이 완성되기까지의 기간은 1년 반에서 2년 정도가 아닐까 짐작해 봅니다.
학문 /
역사
22.12.05
0
0
영조와 정조의 탕평책 차이점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영조의 탕평책은 소극적인 탕평책으로 자신을 등극하게 만든 노론 세력들로부터 왕권을 지켜내기 위한 저항의 성격을 가집니다.영조는 탕평파를 중심으로 정국을 운영했으며, 붕당의 근거지로 변질 된 서원을 대폭 정리했습니다. 또한 붕당끼리의 자리 싸움을 없애기 위해 이조 전랑의 권학을 축소였습니다.또한 탕평책을 바탕으로 개혁을 추진했습니다. 먼저 균역법을 시행하여 백성의 군역 부담을 2필에서 1필로 줄였으며, 가혹한 형벌을 폐지하고 삼심제를 실시하였으며, 신문고 제도를 부활 했습니다.정조의 탕평책은 적극적인 탕평책으로 실용 사상을 가지고 능력만 있다면 서자 출신이라도 중앙요직에 등용하여 실사구시에 입각한 정책을 펼치게 됩니다. 정조는 외척과 환관 세력을 제거하고 노론, 소론, 남인을 골고루 등용합니다.정조의 개혁 정책을 살펴보면 규장각(왕의 정책 자문 기구)을 설치하여, 장용영(왕의 친위 부대)을 창설했습니다. 또한 젊은 관료들을 재교육하는 초계문신제를 시행했습니다. 서얼 출신 학자들을 규장각 검서관에 기용하고, 노비에 대한 차별을 완화했다고 합니다.제 답변이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감사합니다.
학문 /
역사
22.12.05
0
0
동지에는 잡귀를 쫒으려 팥죽을 먹는데, 귀신은 왜 팥을 싫어하나요?
안녕하세요. 동짓날 새알심이 잔뜩 들어간 팥죽을 먹는 것은 인생의 즐거움 중 하나입니다.팥죽은 동지 때 집집마다 잡귀잡신의 침입을 막기 위해 집의 가정신이 머무는 곳에 뿌리는 팥으로 만든 죽을 말합니다.동짓날 팥죽을 끊여 먹는 풍속은 중국의 풍습에서 전래된 것이라고 합니다.중국 창강 유역에 살던 공공씨(共工氏)에게 바보 아들이 있었는데 동짓날에 죽어 역귀(疫鬼)가 되었다고 합니다. 그래서 동짓날 그가 생전에 싫어하던 붉은 팥으로 죽을 쑤어 역귀를 쫓았던 중국의 풍습이 있었는데 그 풍습이 우리나라에도 전래 되어 동짓날 팥죽을 먹었다고 합니다.제 답변이 질문자님께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감사합니다.
학문 /
음악
22.12.05
0
0
해인사에 가면 팔만대장경이 봐관중인데요?
안녕하세요. 네 그렇습니다.고려 고종 23년(1236년) 몽골군의 침입으로 크게 화를 입은 고려는 호국불교의 힘으로 외세를 물리치기 위해 만든 것이 바로 팔만대장경 입니다. 조선 태조 7년(1398년) 강화도 선원사에서 서울에 있는 지천사로 임시로 옮겨 모셨던 팔만대장경을 경남 가야산 해인사로 이송할 때 행렬의 맨 앞에는 향로를 든 동자가 길을 안내하고, 대장경판을 조심스레 포장해 남자들은 지게에 지고 여자들은 머리에 이고, 소달구지에 실고, 그 뒤를 수많은 스님들은 독경을 하며 뒤따르면서 남으로 남으로 내려갔다고 합니다.팔만대장경을 만든 과정도 그러했지만 이송한 과정 역시 불가사의한 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고 합니다.태조가 팔만대장경을 강화도에서 합천 땅으로 옮긴 이유는 몽골군의 침략과 왜구의 잦은 노략질로 대장경을 가장 안전한 곳에 보관하려고 했는데 바로 그 곳이 합천의 해인사였다고 합니다. 해인사가 있던 가야산은 신령스러운 명산으로 여겨 팔만대장경을 온전히 보전해주리라 믿었기 때문이라고 합니다.제 답변이 질문자님께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감사합니다.
학문 /
미술
22.12.05
0
0
46
47
48
49
50
51
52
53
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