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고용·노동
자격증
경제
권고사직의 정식 통보가 아직 없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지수 노무사입니다.권고사직은 노동관계법령에 명확히 명시된 근로관계 종료 방법은 아닙니다. 다만 회사의 '권고'에 따라 직원이 '사직'하면 그게 권고사직입니다.따라서 질문자분이 별도 사직서를 제출하거나 사직하겠다는 의사 표현을 안 하셨다면 사직 예정의 상태가 아닙니다. 그리고 질문자 분이 사직하지 않는 이상 회사로서는 위로금 지급을 유인으로 한 사직 유도 또는 해고예고수당을 지급(또는 1개월 전 해고 예고)하는 방법 밖에 없으니 굳이 이야기하기보다는 기다리는 것이 어떨까 싶습니다.아 물론 해고예고수당을 지급한다고 해고가 정당한 것은 아니고 별도 법원이 제시한 요건에 부합해야 정당한 해고가 되므로 추후 해고 시에는 부당해고 가능성을 두고 회사와 분쟁해야 될 수도 있으니 사전에 노무사 상담을 보다 자세히 받으실 필요가 있겠습니다.
고용·노동 /
기타 노무상담
23.01.17
0
0
한 달 일해도 연차가 생기나요?
안녕하세요. 김지수 노무사입니다.현행 근로기준법상 1개월만 근무해도 연차는 1일 발생합니다.단, 1주 15시간 이상 근무하여야 하고, 상시 근로자 수가 5명 이상인 곳에서 근무를 하셔야 합니다.상시 근로자 수 산정 방법은 해당 사업장의 1개월간 영업일을 산정하시고 각 영업일에 근로한 근로자 수를 모두 더하신 뒤 영업일로 나누시면 됩니다.가령 1개월 중 월-금 영업하는 사업장이어서 주말을 제외한 영업일이 22일이고, 각 영업일에 직원 5명이 매일 출근하였다면 (5명*22일)/22일 = 5명으로 적용 대상이 됩니다.
고용·노동 /
휴일·휴가
23.01.17
0
0
근로계약서 작성 꼭 필수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지수 노무사입니다.현행 근로기준법상 근로계약서 작성은 해야 하나 작성을 안 했다고 하여 근로자에 처벌은 없습니다.질문자 분의 상황에서는 차라리 우편으로라도 받으셔서 서명 후 회신하는 것이 어떨까 싶습니다.
고용·노동 /
근로계약
23.01.17
0
0
7개월 근무시 연차 입사일 기준, 회계연도기준 어떤게 맞나요
안녕하세요. 김지수 노무사입니다.보통 회사에서는 편의를 위해 회계연도로 운영하지만 퇴사 시에는 입사일 기준으로 재정산한다는 문구를 두고 있습니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통상 법정 발생이 인정되는 연차를 7일로 봅니다.그리고 현행 노동관계법령상 7개월 근무 시에는 퇴직금은 발생하지 않습니다.
고용·노동 /
휴일·휴가
23.01.17
0
0
상시 근로자 수가 5인 이상이 맞는지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김지수 노무사입니다.말씀주신 내용만으로 보았을 때에는 영업일별 근로자 수를 모두 더해서 영업일로 나누었을 때 상시근로자가 5명 이상이 되지 않을 것으로 보입니다.
고용·노동 /
임금·급여
23.01.17
0
0
초과근무 적용관련 대체 ? 보상?
안녕하세요. 김지수 노무사입니다.일단 파트장이 있다 하시니 5인 이상 사업장으로 가정하겠습니다. 그런 경우라면 말씀하신대로 1.5배로 50%를 가산하는 것이 맞습니다.
고용·노동 /
임금·급여
23.01.16
0
0
근로계약서 상여항목 누락된 경우
안녕하세요. 김지수 노무사입니다.근로기준법 제17조에서는 임금에 관한 사항을 명시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매월 지급되는 급여임에도 별도 기재하지 않은 경우에는 과태료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
고용·노동 /
임금·급여
23.01.16
0
0
연차 수당 관련해서 여쭤봅니다
안녕하세요. 김지수 노무사입니다.연차를 회계연도로 하는지 입사연도로 하는지는 기업 자율이라 회사에 문의하셔야 합니다.그리고 상시근로자는 근무일에 따라 달라서 근무일도 기재를 해주셔야 판단이 가능합니다.다만 해당 기업에 영업일이 월~금이고 5명 모두 5일 출근한다면 상시근로자는 5명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고용·노동 /
휴일·휴가
23.01.16
0
0
단기근로자 반차사용은 어떻게될까요?
안녕하세요. 김지수 노무사입니다.반차는 현행 노동관계법령에 정해진 바가 없습니다. 따라서 회사가 정한 바에 통상 따르게 되나, 말씀주신 상황에서는 2.5시간 휴가 사용이 될 듯 합니다.
고용·노동 /
휴일·휴가
23.01.16
0
0
식대지급액이 다른 경우 통상임금에 해당되는 금액 질의드립니다.
안녕하세요. 김지수 노무사입니다.말씀주신 사안에서 통상임금에 해당하는 식대는 A 20만원 B 15만원 C 10만원로 모두 다르게 됩니다.통상임금이라 해서 통상근로자가 받는 급여를 기준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 근로자가 사용자로부터 소정근로의 대가로 받는 금품 중 정기적, 일률정, 고정적으로 지급받는 것을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다 다르게 됩니다.따라서 D E F의 경우에는 식대가 없으니 통상임금에 산입하지 않게 됩니다.이는 마치 팀장에게 직책수당을 주기 때문에 팀장만 직책수당이 통상임금에 들어가고 팀원에는 직책수당이 0원인 것과 마찬가지입니다.
고용·노동 /
임금·급여
23.01.16
0
0
2422
2423
2424
24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