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김나영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김나영 전문가입니다.

김나영 전문가
순천향대학교병원
기타 의료상담
기타 의료상담 이미지
Q.  소화가 잘 안되는 이유는 뭐 때문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나영 의사입니다.기능성 소화장애나 위장운동 저하의 증상일 수 있습니다. 스트레스나 식사 패턴 변화, 수면 부족, 장내미생물 불균형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기능성 소화불량은 내시경 등의 검사상 이상은 없지만 만성적으로 위 배출 느림, 더부룩함, 포만감, 위장운동 저하를 일으켜 속이 막힌 느낌을 유발합니다. 위산 분비 저하가 있는 경우에도 단백질 분해나 위배출이 지연되어 소화불량을 ㅇ발합니다. 스트레스나 불안은 위장운동을 더디게 하며, 장내균총 불균형이 있는 경우에도 가스 생성 및 배출 지연을 일으킵니다. 위염이나 소화성 궤양 초기에도 만성 염증으로 인해 위점막 기능 저하 및 위산 분비 변화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평소 식습관에 급격한 변화가 있었던 경우에도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식사량을 줄이되 자주 나눠먹으시고 따뜻한 음식을 위주로 드시는 것이 좋습니다. 식후 15분 산책이 소화에 도움이 되며, 증상이 심하다면 위장운동 촉진제 복용을 고려해보시기 바랍니다. 위내시경이나 헬리코박터 검사도 권해드립니다.답변이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
기타 의료상담
기타 의료상담 이미지
Q.  밀가루 음식들이 원래 소화가 잘 안되나요?
안녕하세요. 김나영 의사입니다.밀가루에는 글루텐이라는 단백질이 들어있는데 이는 일부에서 위 점막 자극을 일으켜 더부룩함을 유발합니다. 또 대부분의 밀가루 음식은 섬유질이 낮고 혈당의 급상승을 유도하여 위배출 지연이나 위장에 부담을 일으킵니다. 밀가루가 들어간 음식들에는 기름기나 소스, 나트륨 등도 같이 많이 들어있어서 이들이 자극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또 밀가루를 장내 세균이 분해하는 과정에서 장내 가스가 많이 발생하게 됩니다. 밀가루 음식을 먹을 때는 소량씩 천천히 드시는 것이 좋고 기름지거나 자극적인 소스가 들어있는 경우, 튀김 등은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채소와 함께 섭취하여 소화를 보조해주시고 식후 15분 정도 산책도 도움이 됩니다.답변이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
기타 의료상담
기타 의료상담 이미지
Q.  견과류를 많이 먹을경우 배탈이 나는 경우는 뭐 때문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나영 의사입니다.견과류를 많이 먹고 나서 배탈이나 설사를 경험하는 것은 주로 소화 부담이나 지방 함량, 섬유질, 식이알레르기 등의 요소가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입니다. 땅콩 등 대부분의 견과류는 지방함량이 50% 이상으로 매우 높습니다. 한 번에 많이 먹으면 췌장, 담낭에 부담을 주어 설사, 복통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또 섬유질이 다량 함유되어있어 대장이 자극되고 가스, 복부팽만, 묽은 변 등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또 견과류들은 대표적인 식이 알레르겐으로 알레르기나 과민반응을 일으키기 쉽습니다. 약한 알레르기에서는 단순 복통이나 설사 등으로만 나타날 수 있습니다. 매번 견과류를 먹을 때마다 배탈이 난다면 식이 불내증이나 경미한 알레르기 가능성이 있습니다. 한 번에 소량씩만 드시고 물과 함께 천천히 드실 것을 권유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
내과
내과 이미지
Q.  복부 종물감이 암의 증상일수도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나영 의사입니다.악성 가능성은 낮아 보입니다. 6개월 이상 크기 변화가 없었고 통증이나 체중 감소, 전신적인 증상이 없었습니다. 악성 종양은 대개 단단하고 고정된 덩어리로 만져지는데 작성자님의 경우 국소적이고 누르면 말랑한 촉감이 있습니다. 장내 가스나 변 덩어리가 만져졌을 가능성이 있고, 복벽의 지방 조직이거나 탈장의 초기 증상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위장, 간, 대장 위치가 약간 내려앉거나 앞쪽으로 나오는 해부학적 변이일 수도 있겠습니다. 종물이 커지거나 통증이 발생하는 경우, 체중 감소나 식욕 저하, 배변 이상,혈변이 동반되는 경우, 누워있을 때도 덩어리가 뚜렷하게 만져지거나 단단한 경우 등이라면 복부 초음파나 CT, 내시경 등으로 확인이 필요합니다. 정리해보면 기저질환이 없고 급성 변화가 없다면 양성일 가능성이 높으나 한 번쯤 초음파 등으로 확인해보시면 불안을 좀 덜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답변이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
내과
내과 이미지
Q.  속쓰려서 약 먹는중에 갑자기 속 울렁거림까지 생겼어요ㅜㅜ
안녕하세요. 김나영 의사입니다.목 이물감, 속 울렁거림, 헛트림 등은 역류성 식도염의 비전형적인 증상 중 하나입니다. 속쓰림은 약으로 가라앉았으나 식도나 인후 쪽 증상이 아직 진행되고 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인두, 식도 상부가 민감해진 상태에서는 목 이물감이 흔하게 나타나며, 위산 역류로 식도 점막이 자극되어 미주신경이 반응하게 되면 속 울렁거림이나 메스꺼움도 흔하게 나타납니다. 역류성 식도염은 단순한 속쓰림 외에도 인후통이나 기침, 쉰목소리, 울렁거림, 트림, 가래 끼는 느낌 등이 자주 발생합니다. 약을 먹으면 위산 억제는 되지만 식도 상부 민감성은 남아있을 수 있습니다. 공복 상태로 산성 음료를 자주 섭취했던 습관 때문에 식도 상피가 약간 손상되어있거나 민감해져있을 수 있습니다. 위 배출 지연이나 기능성 소화불량이 겹쳤을 가능성도 있습니다. 이 경우 PPI 단독으로는 충분치 않을 수 있습니다. 약 복용은 최소 2-4주 이상 유지해야 하며 필요시 위장운동 촉진제 등을 같이 복용하는 것을 고려해야 합니다. 식후 2시간 이내 눕지 마시고 산성을 띠는 음료나 탄산, 커피 등의 자극적인 음식은 피하시기 바랍니다. 베개를 15~20cm 정도 높이면 역류 완화에 도움이 됩니다. 2주 이상 증상 지속시 위내시경 재검을 고려해보시기 바랍니다.답변이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
기타 의료상담
기타 의료상담 이미지
Q.  용변이 너무 급할 때 그래도 중간 중간에 쉬어가는 참을 타임이 오는 이유?
안녕하세요. 김나영 의사입니다.대변이 직장까지 내려오면 직장의 감각수용기가 자극되어 배변 반사가 시작됩니다. 이때 우리가 의식적으로 항문 괄약근을 수축시키면 직장 억제 반사가 작동하여, 장운동이 잠시 억제되며 배변감이 사그라듭니다. 즉 강하게 참는 행동 자체가 반사를 통해 장 운동을 멈추게 하고 일시적인 평온을 주는 것입니다. 배변 시에는 부교감신경이 활성화되어 장운동이 촉진되는데 극도의 긴장, 스트레스, 불안 등으로 인해 교감신경이 활성화되며 일시적으로 장운동을 억제하여 배변감이 감소할 수 있습니다. 참아야 한다는 강력한 의식이 스트레스로 작용하여 장운동을 느리게 하는 것입니다. 또 연동운동 자체도 주기성을 띠기 때문에 한 번 몰아쳤다가 잠시 잦아드는 싸이클을 탑니다. 급한 배변감도 주기에 따라 사라졌다가 다시 올 수 있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
내과
내과 이미지
Q.  감기나 독감 걸렸을 때 낮보다 밤에 훨씬 고통스러운 이유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나영 의사입니다.감기, 독감, 코로나 등 감염성 질환에서 밤이 되면 증상이 심해지는 듯한 현상은 실제 생리학적 메커니즘에 따른 정상 반응입니다. 염증을 억제하는 코르티솔은 낮 동안 분비량이 높고 밤에 감소하므로 밤에 염증 반응이 상대적으로 강하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 통증이나 발열, 콧물, 기침 등 체감되는 증상이 커질 수 있습니다. 또 체온은 저녁이나 밤쯤에 갈수록 상승하며 체온이 높아질수록 면역세포가 활성화되고, 염증 반응이 더 강해지며 열감과 통증이 악화됩니다. 밤이 되면 교감신경 활성은 감소하고 부교감신경 활성은 증가하는데, 소화나 면역, 재생은 증가하나 신체가 외부 스트레스에 더 민감해져서 기침이나 코막힘, 인후통 등의 증상이 커질 수 있습니다. 또 밤에 자려고 누웠을 때 부비동 배액이 저하되며 코막힘이 악화될 수 있고, 가래가 목에 고이거나 기침 유도가 증가하게 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
내과
내과 이미지
Q.  위대장내시경 복부ct 검사 순서 관련
안녕하세요. 김나영 의사입니다.말씀하신 것처럼 CT를 하고 나서 내시경을 하는 것이 더 선호됩니다. 내시경을 하고 난 뒤 CT를 하는 경우라면 이산화탄소 주입이나 조직검사 등이 CT 영상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내시경시 주입하는 이산화탄소는 빠르게 흡수되어 1시간 후 대부분 사라지게 됩니다. 그러나 이산화탄소가 아닌 공기 주입 방식 사용 시 일부 가스가 남아서 CT 영상에서 장관 주위가 가려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내시경 이후에는 최소 1-2시간 간격을 두고 복부 CT를 찍는 것이 좋습니다.조직검사 이후 조영제 사용은 일반적으로는 안전하나 매우 드물게 장점막 손상 및 고삼투압 조영제 유입에 의한 장천공 위험성이 언급되기도 합니다. 하지만 이런 일은 임상에서 거의 보고되지 않는 수준입니다. 결론적으로 내시경 이후 1시간쯤 뒤 복부 CT 검사는 임상적으로 큰 문제는 없을 것으로 생각됩니다.답변이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
기타 의료상담
기타 의료상담 이미지
Q.  이석증은 보통 어떤경우에 많이 생기나요?
안녕하세요. 김나영 의사입니다.이석증은 귀 전정기관에서 칼슘 결정체인 이석이 원 위치에서 떨어져 반고리관에 들어가며 발생합니다. 노화나 머리 외상, 귀 감염, 자세 변화 등으로 유발되며 명확한 원인이 없는 경우도 많습니다. 특정 자세에서 갑자기 심한 어지러움이 발생하며 안진, 구토, 식은땀, 불안감 등이 동반되기도 합니다. 아침에 침대에서 일어날 때나 머리를 씻거나 감을 때, 뒤로 젖힐 때, 고개를 한쪽으로 오래 돌리고 잘 때 등에서 증상이 악화될 수 있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
이비인후과
이비인후과 이미지
Q.  코피를 흘리게 되는건 어떤 이유때문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나영 의사입니다.코피는 흔하지만 이유가 다양해서 증상이 자주 반복되면 원인을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먼저 코 자체의 문제로 나타나는 코피일 수 있습니다. 겨울철 난방으로 인한 비강 건조나, 코를 자주 후비는 습관으로 인한 반복적인 자극 등이 흔한 원인입니다. 코를 세게 푸는 경우 압력으로 작은 혈관이 터질 수도 있겠습니다. 평소 비염, 축농증, 코감기 등 염증이 있다면 혈관이 약해져 코피가 더 잘 나게 됩니다. 전신적인 원인으로 인한 코피일 수도 있습니다. 과로나 수면부족, 스트레스는 자율신경계 긴장을 일으켜 혈압 상승 및 혈관 파열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갑작스러운 혈압 상승이나 출혈성 질환, 항응고제 복용, 비타민 C나 K 부족 등이 코피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평소 가습기나 식염수 스프레이로 코 점막을 촉촉하게 유지하는 것이 좋고 코를 자주 후비는 습관은 피해야 합니다. 휴식과 수분 섭취가 중요하며 코피가 자주 난다면 혈압 및 혈액검사 확인이 필요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
565758596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