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디스크라는게 뭐고 그게 터지면 왜 큰일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민선 물리치료사입니다. 디스크라는 것은 척추 사이의 충격을 완화해주기 위한 하나의 연부조직입니다. 이 디스크가 손상을 입거나 터지게 되면 척추 자체의 충격완화 역할을 할 수 없고, 척추의 정렬이 틀어지면서 몸이 무너질 수 있습니다. 그리고 척추 주위의 신경까지 압박을 받게 되면 저림 증상도 발생할 수 있고여, 이런 의미에서 디스크의 상태는 정말 중요합니다. 그래서 보통 수술이라고 하면 척추 사이의 디스크를 다시 넣어주는 수술이라던지 ,아니면 인공적인 디스크를 채워넣는 방법으로 진행되던가 이도 아니면 척추 자체의 정렬을 잡아줄 수 있게 핀을 박는 수술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 답변이 참고가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Q. 유체역학에서 난류 유동의 수치해석 방법에 대해 문의드립니다
안녕하세요. 김민선 전문가입니다. Reynolds-averaged Navier-Stokes (RANS) 방정식을 이용한 난류 모델링에서 k-epsilon 모델과 k-omega 모델은 두 가지 주요 난류 모델입니다. k-epsilon 모델은 난류 운동 에너지(k)와 그 소멸률(epsilon)을 이용하여 유동을 모델링하는 방식으로, 일반적으로 벽면에서 먼 지역에서 좋은 성능을 보입니다. 그러나 벽면 근처에서는 정확도가 떨어질 수 있으며, 특히 벽면 근처에서 큰 변화가 있는 경우 계산이 비효율적일 수 있습니다. 반면 k-omega 모델은 난류 운동 에너지(k)와 오메가(omega, 난류의 비율)를 이용하여 모델링합니다. 이 모델은 벽면 근처에서 더 높은 정확도를 제공하며, 벽 근처의 유동을 잘 설명하지만, 대규모 유동에서는 계산 비용이 많이 들 수 있습니다. k-epsilon 모델은 더 간단하고 계산 비용이 적은 반면, k-omega 모델은 벽면 근처의 세밀한 해석에 적합합니다. 따라서, k-epsilon 모델은 전반적인 유동 해석에, k-omega 모델은 벽면 근처 유동 해석에 적합하며, 두 모델의 선택은 해석하려는 유동의 특성에 따라 달라집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Q. 고층 건물에 설치해야 하는 소방 시설에는 어떤 것들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민선 전문가입니다. 고층 건물에는 일반적인 소방 설비 외에도 높은 층수와 구조적 특성에 맞춘 특화된 소방 설비가 필요합니다. 가장 중요한 설비 중 하나는 스프링클러 시스템으로, 각 층마다 자동으로 화재를 진압하는 역할을 합니다. 또한 배연설비(배연창, 팬 등)가 설치되어야 하며, 화재 발생 시 연기를 배출하여 피난과 구조 활동을 원활하게 합니다. 옥상용 소화전과 고가 소방차 연결 시스템도 필수적입니다. 화재 수신기와 경보 시스템은 화재를 빠르게 감지하고 알리는 역할을 하며, 피난용 비상계단과 구조용 엘리베이터도 중요한 설비입니다. 이 외에도 전기 화재를 방지하는 전기 설비와 방화문 및 방화벽을 설치하여 화재가 확산되는 것을 방지합니다. 또한 고층 건물의 경우 자동화된 화재 대응 시스템과 고급 소방 로봇이 최근 도입되기도 했습니다. 이들은 화재 초기 단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효율적으로 대응할 수 있게 도와줍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Q. 자동차 머플러에서 나오는 물체는 물인가요?? 아니면 다른 액체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민선 전문가입니다. 자동차 머플러에서 나오는 액체는 보통 물입니다. 자동차 엔진에서 연료가 연소될 때, 수소와 산소가 결합하여 이산화탄소와 물이 생성됩니다. 이 물은 배기 가스와 함께 머플러를 통해 배출됩니다. 특히, 차량이 차가운 상태에서 운전할 때, 머플러 끝부분에 물방울처럼 떨어지는 액체는 대부분 응축된 수증기입니다. 자동차 엔진이 작동하면서 배기 시스템이 온도가 상승하면, 수증기가 기화되면서 보통은 눈에 띄지 않게 되지만, 엔진이 차가운 상태에서 시작되면 수증기가 응축되어 물방울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이 물은 배기 가스에서 발생하는 자연스러운 부산물로, 특별히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다만, 만약 배기 가스에서 다른 이상한 액체나 연기가 나온다면, 점검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