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김의균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의균 전문가입니다.
김의균 전문가
논현재활병원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의료상담
정형외과
2025년 3월 25일 작성 됨
Q.
발목이 지속적으로 아픈데, 예방 할수 있는 방법이 무엇일까요?
안녕하세요. 김의균 물리치료사입니다.발목이 지속적으로 아프고 진단을 받기를 발목이 많이 닳았다고 하셨다면 발목의 퇴행성 변화 연골의 손상이나 또는 관절염이 왔을 가능성이 높습니다.발목의 퇴행성 변화가 온 경우 관리와 예방이 중요한데 일단 발목에 부담을 줄 만한 충격이 큰 활동은 피해주시는게 좋으며, 충격흡수를 할 수 있는 쿠셔닝이 좋은 신발을 신어주시는게 좋습니다. 또한 과체중이라면 적절한 체중 관리를 해주시는게 좋으며 발목의 안정성 강화를 위해 발목 주변 근육에 대한 강화 운동 및 보행시 불안정하거나 하시다면 발목 보호대를 착용해주시는 것도 도움이 될 수 있고 테이핑등을 통해 발목을 고정하시는 것도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빠른 쾌유를 기원합니다.감사합니다 수고하세요~
정형외과
2025년 3월 25일 작성 됨
Q.
팔골절 수술후 재활치료 해도 팔이 안올라갈수도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의균 물리치료사입니다.팔 골절 수술 이후 재활치료 받았는데도 팔이 끝까지 안 움직인다면 여러가지 원인이 있을 수 있습니다.골절 후 장시간 고정하거나 움직임에 제한이 있었으면 관절이 굳어서 움직임에 제한이 생겼을수 있고 특히 어깨 관절이 굳으면 팔을 위로 드는 동작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또는 오랜 시간 팔을 못 움직이면서 근육이 약해지고 줄어들어 팔을 들어올리는 힘이 부족할 수 있고 또는 어깨의 수술 이후 염증이 생기거나 관절이 굳어서 팔을 올릴 때 강한 저항과 통증이 생길 수 있습니다.혹은 골절 부위 근처의 신경이 손상되었거나 압박을 받아 특정 근육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관절의 구축이 심하면 팔을 올리는 동작이 영구적으로 제한 될 가능성이 있고 적절한 재활치료를 지속하면 대부분 호전될 가능성이 높으니 재활치료 잘 받아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빠른 쾌유를 기원합니다.감사합니다 수고하세요~
정형외과
2025년 3월 25일 작성 됨
Q.
차에서 잘못 뛰어내렸더니 무릎에 통증이 시간이 지나도 사라지지 않는데 문제가 생길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김의균 물리치료사입니다.뛰어 내릴때 무릎으로 직접 충격이 가해졌다면 여러가지 문제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연골의 손상이나 또는 무릎 인대의 손상 또는 타박상 혹은 활액막에 염증이 생겼을 가능성이 있습니다.정확한 상태를 알 수 없지만 일단 충분한 휴식 및 안정을 취해주시고 차가운 냉찜질 및 다리를 심장보다 높게 올려 붓기를 완화시켜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그렇지만 통증이 점점 심해지거나 무릎이 더 붓거나 물이 차는 느낌이 들거나 무릎이 구부려지지 않거나 펴지지 않고 시간이 지나도 통증이 전혀 나아지지 않는다면 가까운 병원에 방문하시어 정확한 상태 검사 받아보시고 상태에 맞는 치료 및 처치등을 받아보시는게 좋을 것으로 생각됩니다.빠른 쾌유를 기원합니다.감사합니다 수고하세요~
정형외과
2025년 3월 25일 작성 됨
Q.
팔 통증 질문.......ㅡㅡㅡ.
안녕하세요. 김의균 물리치료사입니다.현재 결리는 통증이 있고 부종 및 멍든 듯한 느낌 및 주먹을 쥘때 통증이 있고 만졌을 때 딱딱한 느낌이 든다는 것으로 보아 여러가지 문제를 의심해 볼 수 있습니다.잠을 잘못 자면서 팔이 압박되어 혈류 순환이 원활하지 않아 부종과 멍 같은 증상이 나타났을 가능성도 있고 또는 근육의 타박상으로 인한 통증일 수도 있고 또는 팔이 붓고 만졌을 때 딱딱하고 통증이 있다면 림프순환이 원활하지 않은 것일 수도 있습니다.또한 팔을 특정방향으로 움직일 때만 통증이 심하다면 근육의 경직이나 작은 근육의 손상이 원인일 가능성도 존재합니다.여러가지 문제를 의심해 볼 수 있고 붓기가 있다면 1~2틀까지는 차가운 냉찜질을 해주시고 그 이후에 따듯한 온찜질 및 파스 사용 같은 경우에도 붓기가 있을 때는 차가운 쿨파스를 그 이후에는 따듯한 핫파스를 사용하시는게 좋습니다.그렇지만 붓기가 심해지고 멍이 진해지거나 손이나 손가락이 저리거나 팔을 움직이기 힘들정도로 통증이 있다면 가까운 병원에 방문하시어 정확한 상태 검사 받아보시고 상태에 맞는 치료 및 처치등을 받아보시는게 좋을 것으로 생각됩니다.빠른 쾌유를 기원합니다.감사합니다 수고하세요~
정형외과
2025년 3월 25일 작성 됨
Q.
일반적인 림프부종도 팔을 자주 쓰면 통증이 생기나요
안녕하세요. 김의균 물리치료사입니다.일반적인 림프부종 같은 경우 팔을 자주 사용하면 통증이 심해 질 수 있습니다.팔을 많이 사용하면 근육이 수축하고 혈류가 증가하지만 림프 순환이 원활하지 않다면 림프액이 더 정체되어 부종과 불편감이 심해질 수 있고, 림프부종이 있는 경우 피부 조직이 단단해지고 근육과 관절이 뻣뻣해질 수 있습니다.또한 림프부종이 있는 부위에 지속적인 부담이 가해지면 림프절이 더 압박되거나 손상될 수 있고 부종이 악화될 수 있으며 쇄골 아래와 겨드랑이 림프절이 붓는다면 림프순환이 더 어려워 질 수 있습니다.림프부종이 원인일 가능성이 높지만 쇄골과 팔이 붓고 통증이 심해진다면 반드시 병원에 방문하시어 정확한 상태 검사 받아보시고 상태에 맞는 치료 및 처치등을 받아보시는게 좋을 것으로 생각됩니다.빠른 쾌유를 기원합니다.감사합니다 수고하세요~
정형외과
2025년 3월 25일 작성 됨
Q.
방사통이 심한 상황인데 요추 MRI소견서의 자세한 분석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김의균 물리치료사입니다.MRI판독 결과에 대해서 정리해서 말씀 드리자면 일단 L5~S1 및 L4~L5 디스크 탈출이 가장 심하며 좌측 신경의 압박이 우측보다 심한 상태이고 L2~L3, L3~L4에서도 디스크 문제가 있지만 상대적으로 경미한 수준이라고 쓰여 있으며, 척수낭이 눌려 있으며 신경공 협착 증상도 있는 상태 입니다. 현재 오른쪽 다리 방상통과 MRI소견이 일치하는지 임상의와 추가 상담이 필요하다고 쓰여 있습니다.감사합니다 수고하세요~
정형외과
2025년 3월 25일 작성 됨
Q.
열이 애매하게 나요. 병원을 가야할까요?
안녕하세요. 김의균 물리치료사입니다.허리디스크 수술과 발목 인대접합술 이후에 지속적인 미열이 나는 것은 몸의 회복 과정의 일부 일 수도 있지만 감염 등의 합병증 가능성도 배제 할 수는 없습니다. 특히 발목 수술 부위의 피부손상 및 신경의 손상이 있는 상태라면 경과를 잘 지켜보시고 관리를 해주시는게 좋을 것으로 생각됩니다.발목 수술 부위가 붉어지고 부어오르거나 진물이 나오거나 만졌을 때 열감이 심하고 통증이 점점 심해지거나 열이 1~2주이상 지속되시거나 하신다면 가까운 병원에 방문하시어 정확한 상태 검사 받아보시고 상태에 맞는 치료 및 처치등을 받아보시는게 좋을 것으로 생각되며 가능하면 수술한 병원에 방문하시는게 좋을 것으로 생각됩니다.수술한 병원의 담당 주치의 선생님이 가장 상태를 잘 알 것으로 생각되기에 수술한 병원에 가보시는 것을 추천 드립니다.빠른 쾌유를 기원합니다.감사합니다 수고하세요~
재활·물리치료
2025년 3월 25일 작성 됨
Q.
팔살을 빼기 위해서 2kg 아령으로 팔운동을 했는데, 아침에 팔이 더 올라가지 않아요. 운동을 해야 하나요? 쉬어야 하나요?
안녕하세요. 김의균 물리치료사입니다.아령을 이용한 팔운동을 하신 이후에 아침에 팔이 올라가지 않을 정도로 아프고 떨린다면 과사용으로 인한 근육통일 가능성이 높습니다.근육이 심하게 아플 때는 충분한 휴식 및 안정을 통해 회복을 해주시는게 좋으며 같은 부위를 계속 운동하면 근육 회복이 늦어지고 부상의 위험이 있으니 조심하시는게 좋습니다.가벼운 스트레칭이나 마사지등을 통해 회복을 도와주시면 좋을 것 같고 팔이 아파도 하체 운동은 큰 영향을 주지 않으니 하체 위주의 운동을 해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빠른 쾌유를 기원합니다.감사합니다 수고하세요~
정형외과
2025년 3월 25일 작성 됨
Q.
양말 착용 시 주의해야 할 발 건강 관리 방법은 무엇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의균 물리치료사입니다.양말 착용자의 발 건강을 위해 발 세척, 발 마사지, 발톱 관리가 중요합니다.발 세척은 세균 및 곰팡이 감염 예방을 하고 냄새 방지 및 피부 건강을 유지하는 효과가 있고 발 마사지 같은 경우 혈액순환을 개선 시키고 피로 완화 및 근육의 긴장 완화 부종을 감소 시킬 수 있습니다. 또한 발톱 관리를 통해 내성발톱 및 감염을 예방 하고 발톱 건강을 유지시켜주시는게 좋습니다.양말 착용 시 주의해야 할 사항으로는 땀 흡수가 잘되는 면이나 기능성 양말을 착용하시는게 좋으며 하루 한 번 이상 양말을 교체 해주시고 발을 완전히 건조한 후 양말을 착용하고 너무 꽉 끼는 양말은 피해주시고 양말 세탁시 위생관리를 철저히 해주시는게 좋습니다.감사합니다 수고하세요~
정형외과
2025년 3월 24일 작성 됨
Q.
발목 수술 후 재활중인데 시큰거리는 통증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의균 물리치료사입니다.발목 수술하신지 2달이 지났고 깁스를 풀고 재활중인데 복숭아 뼈 부근이 시큰거리고 통증이 있다면 여러가지 원인을 생각해볼 수 있습니다.수술 부위의 회복과정에서 일반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통증일 수 있고 수술 후 시녁이 재생되거나 혈류가 회복되면서 시큰거리는 느낌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또는 장시간 서 있거나 걸을 때 붓기가 생기면서 시큰 거리는 느낌이 들수도 있고 수술 후 회복과정에서 힘줄이나 인대가 뻣뻣해지면서 뻐근하고 시큰 거리는 느낌이 들수도 있으며 기온이 낮거나 습도가 높을때 수술 부위가 시큰 거리는 경우도 있습니다.여러가지 원인을 의심해 볼 수 있고 발을 심장보다 높게 올려 휴식을 취해주시고 붓기가 있다면 차가운 냉찜질을 해주시고 혈액순환이 잘 안된다면 따듯한 온찜질을 해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그렇지만 통증이 점점 심해지거나 붓기가 빠지지 않고 지속되거나 발목이 시큰거리는 것이 점점 심해지면서 감각 저하 및 저림 증상이 나타나신다면 추가적인 검사를 통해 정확한 상태 파악해보시는게 좋을 것으로 생각됩니다.빠른 쾌유를 기원합니다.감사합니다 수고하세요~
386
387
388
389
39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