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김의균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의균 전문가입니다.

김의균 전문가
논현재활병원
정형외과
정형외과 이미지
Q.  3개월동안 키가 거의 안크는데 키 멈춘걸까요?
안녕하세요. 김의균 물리치료사입니다.현재 말씀하신 성장의 속도를 보면 키가 자라는 것이 점점 멈춰가는 과정일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합니다.여성분들은 초경이 시작된 후 보통 1~2년 정도 키가 더 크지만 그 속도가 느려지고 점점 멈춰갑니다.작년에 초경 이후에도 키가 계속 컸지만, 최근 3개월 동안 거의 변화가 없다면 성장 속도가 둔회 된걸로 보입니다.완전히 키가 자라는 것이 멈췄는지 확인하고 싶으시다면 정형외과에 방문하시어 엑스레이 성장판 검사를 해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감사합니다 수고하세요~
정형외과
정형외과 이미지
Q.  쇄골이 앞으로 튀어나온 느낌일 때 어떻게 교정해야 할까?
안녕하세요. 김의균 물리치료사입니다.엎드린 자세를 오랫동안 유지하게 되면 몸이 앞으로 말리면서 자세가 틀어 질 수 있습니다. 쇄골이 앞으로 튀어나오는 느낌이 드는 이유는 엎드린 자세를 오래 하면서 목과 어꺠가 앞으로 나오면서 가슴이 닫히고 쇄골이 튀어나온 느낌이 들 수 있고, 어깨가 앞으로 말리면 쇄골 위치가 바뀌고 튀어나온 것처럼 보일 수 있습니다.뿐만 아니라 엎드려 누우면 등이 둥글어지면서 쇄골이 앞으로 나오는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굽은 등을 펴기 위해서는 대흉근과 소흉근 가슴 근육에 대한 스트레칭이 중요한데, 문틀을 잡고 가슴을 활짝 여는 스트레칭 및 폼롤러 위에 누워서 가슴을 열어주는 스트레칭을 해보시면 도움이 될 수 있고, 등과 어깨 근육에 대한 운동을 해주시는게 좋습니다.빠른 쾌유를 기원합니다.감사합니다 수고하세요~
정형외과
정형외과 이미지
Q.  담낭절제 수술 후 옆으로 누워자도 되나요?
안녕하세요. 김의균 물리치료사입니다.복강경으로 담낭절제술을 받으셨고 아직 일주일 정도 지나셨다면 회복중으로 옆으로 자는 것은 완전히 금지 된 것은 아니지만 되도록이면 피해주시는게 좋습니다.실밥을 풀기 전까지는 정자세로 자는 것이 가장 안전하며 통증이 없고 불편함이 없다면 옆으로 누울 수는 있지만 수술 부위가 당겨지고 아프다면 무리하지 않는게 좋습니다. 옆으로 자는 자세는 배에 압력이 많이 가해지는 자세이기 때문에 피해주시는게 좋기는 합니다.옆으로 누워서 자는 자세는 실밥을 푼 후 1~2주 정도 지나고 나서부터 해주시는게 좋을 것으로 생각되며 이 시기에도 내부 조직이 완전히 회복된 시기는 아니므로 조심하시는게 좋기는 합니다.배쪽에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옆으로 누우실 경우에는 무릎 사이에 쿠션을 두어 허리에 부담을 덜어주시면 좋고, 완전히 옆으로 눕는 것 보다는 45도 정도 기울어진 자세로가 더 편할 수 있습니다.빠른 쾌유를 기원합니다.감사합니다 수고하세요~
정형외과
정형외과 이미지
Q.  어깨 회전?시에 어깨가 너무 아파요..
안녕하세요. 김의균 물리치료사입니다.현재 말씀하신 증상을 보았을 때 회전근개의 손상 또는 어깨 충돌 증후군 혹은 이두근건염등의 가능성을 의심해 볼 수 있고, 처음에는 가벼운 염증 수준이었지만 반복 사용과 회복 부족으로 인해서 악화가 된 것으로 생각됩니다.손바닥을 위 아래로 회전할 때의 통증은 회전근개의 손상을 의심해 볼 수 있고, 팔을 들었을때 회전하면서 통증이 더 심해진다면 충돌 증후군의 가능성이 있습니다.도수치료 같은 경우 근육의 뭉침 및 어깨의 불균형 등의 문제 해결에 효과적이며, 회전근개의 파열이나 충돌 증후군 같은 경우 초기에는 약물치료 및 주사치료 체외충격파 치료등이 필요할 수 있고 관절에 기능적인 문제나 움직임에 제한이 있다면 도수치료도 필요할 수 있습니다.정확한 상태를 알 수 없기 때문에 가까운 병원에 방문하시어 정확한 상태 검사 받아보시고 상태에 맞는 치료 및 처치등을 받아보시는게 좋을 것으로 생각됩니다.빠른 쾌유를 기원합니다.감사합니다 수고하세요~
재활·물리치료
재활·물리치료 이미지
Q.  허리가 살짝 삐끗한 것 같은데 그냥 파스 발라도 될까요?
안녕하세요. 김의균 물리치료사입니다.허리를 살짝 삐끗한 정도라면 주변 근육이 긴장하면서 뭉치고 경미한 염증이 생겼을 가능성이 존재 합니다.파스는 소염진통 효과가 있으며 파스와 적절한 휴식이 중요할 것으로 생각됩니다.손상 초기 1~2틀까지는 냉찜질 및 소염파스등을 통해 붓기와 염증을 완화시켜주시는게 중요할 것으로 생각되며, 이후에는 따듯한 온찜질을 통해 근육을 이완 시켜주시고 가벼운 스트레칭 또한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경미한 근육의 놀람이나 통증이라면 2~5일 정도면 통증이 완화될 가능성이 높지만 단순 근육의 문제가 아닌 디스크나 신경의 문제인 경우에는 통증이 그보다 더 오래 지속되실 수 있고 가까운 병원에 방문하시어 상태 검사 받아보시고 상태에 맞는 치료 및 처치등을 받아보시는게 좋을 것으로 생각됩니다.빠른 쾌유를 기원합니다.감사합니다 수고하세요~
정형외과
정형외과 이미지
Q.  앉아있을때 건강을 해치지 않는 자세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의균 물리치료사입니다.양반 다리는 골발관 허리에 부담을 줄 수 있는 자세로 양반다리는 한쪽 다리가 더 올라가기 때문에 골반이 틀어질 수 있고 고관절이 바깥쪽으로 강하게 벌어져 고관절에 부담 및 압박을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허리가 뒤로 말리면서 골반이 후방경사를 이루면서 허리디스크의 위험 또한 증가 할 수 있습니다.그렇기에 평소에 올바른 자세가 굉장히 중요합니다.앉아계실 경우에는 엉덩이를 의자 깊숙이 넣어서 앉아주시고 무릎과 발목이 90도가 유지된 상태에서 발이 바닥에 닿는 높이로 의자 높이를 조절해주시고 허리가 너무 말리거나 꺽이지 않도록 허리 뒤에 쿠션을 넣어주시는 것도 좋을 것으로 생각됩니다.빠른 쾌유를 기원합니다.감사합니다 수고하세요~
재활·물리치료
재활·물리치료 이미지
Q.  계단을 내려가는 것이 무릎에 안좋다고 하는데 왜 안좋은지 알고 싶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의균 물리치료사입니다.계단을 내려가는 것이 무릎에 안 좋은 이유는 무릎에 큰 부담을 줄 수 있기 때문입니다.계단을 내려갈 때 무릎 연골 및 근육에서는 충격을 흡수를 해야 하는데 중력 및 본인 몸무게에 2~3 배에 달하는 충격을 무릎 연골 인대 근육들이 부담을 해야 하기 때문에 피해주시는게 좋다고 말씀을 드리는 것이고, 계단을 내려갈때는 근육이 늘어나면서 힘을 쓰는 편심성 수축이 발생하는데 편심성 수축이 더 힘들고 무릎에 스트레스를 더 많이 줄 수 있습니다.또한 계단을 내려갈때는 무릎이 굽혀진 상태에서 체중을 받으므로 무릎뼈와 허벅지 뼈 사이에 압력이 더 증가 될 수 있습니다.계단을 내려가는 것을 피할 수 없다면 되도록이면 발바닥 전체를 디디면서 내려가시는 것이 좋으며 손잡이가 있다면 잡고 내려가시는게 좋고, 몸을 약간 앞으로 기울여 무릎이 덜 구부러지도록 해주시면 좋습니다. 뿐만 아니라 허벅지 근육에 대한 운동 및 엉덩이 둔근에 대한 운동을 통해 무릎 충격을 완화시켜 주시고 무릎 보호대등을 착용하시는 것도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감사합니다 수고하세요~
정형외과
정형외과 이미지
Q.  밤에 견갑골 통증으로 손까지 저림 잇엇는데
안녕하세요. 김의균 물리치료사입니다.밤에 견갑골 통증 및 손 저림으로 인해 정형외과 진료만 보시고 신경외과 진료는 따로 안 보신 상태라면 손 저림은 목 경추에서 신경이 압박을 받으면서 방사통이 발생했을 가능성도 존재 합니다.견갑골 주변의 통증 및 손의 저림 그리고 특정 자세에서 통증이 심해진다면 목 디스크나 신경의 압박일 가능성이 있으므로 신경외과를 방문해보시는게 좋을 것으로 생각됩니다.일단 방문전 집에서 하실 수 있는 것으로는 따듯한 온찜질을 통해 견갑골 주변의 근육의 이완을 해주시고 가벼운 마사지도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평소에 올바른 자세 및 습관을 유지해주시는 것도 좋을 것으로 생각되며 턱 당기기 운동등을 해보시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그렇지만 통증이 지속되시거나 심해지신다면 가까운 신경외과에 방문하시어 상태 검사 받아보시고 상태에 맞는 치료 및 처치등을 받아보시는게 좋을 것으로 생각됩니다.빠른 쾌유를 기원합니다.감사합니다 수고하세요~
정형외과
정형외과 이미지
Q.  설 명절에 도로 결빙과 관련, 와이프가 낙상으로 골반과 무릎을 다쳤는데 병원 진료와 약 복용에도 치료가 안되는데 방법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김의균 물리치료사입니다.와이프 분이 설 명절에 낙상으로 인해 골반과 무릎을 다치셨고 병원진료 이후에 약 복용을 하셨지만 그럼에도 호전이 없으시다면 추가적인 검사가 필요할 수도 있다고 생각합니다.골반과 무릎 부상 같은 경우 엑스레이상 확인이 잘 안되는 미세골절이나 연골 손상 혹은 인대 손상등이 있었을 가능성이 있으며, 걸을때 골반에 통증이 심하다면 골반이나 대퇴골의 미세 골절을 의심해 볼 수 있고, 무릎을 굽히거나 펼때 통증이 있다면 연골의 손상 가능성이 있고 무릎에서 힘이 빠지는 느낌 및 걸을 때 불안정하다면 인대의 손상을 의심해 볼 수 있습니다.정확한 상태를 알 수 없기에 2~3주이상 통증이 지속되시고 보행이 어렵거나 붓기가 심하거나 또는 무릎에서 걸리는 느낌 또는 붓기 및 삐거덕 거리는 느낌이 드신다면 병원에 방문하시어 MRI검사를 받아보시는 것도 좋을 것으로 생각됩니다.일상에서는 바닥에서 앉는 것은 피해주시고, 쿠셔닝이 있는 신발을 신어주시는 것도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빠른 쾌유를 기원합니다.감사합니다 수고하세요~
재활·물리치료
재활·물리치료 이미지
Q.  유연성 평발도 교정이 될 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김의균 물리치료사입니다.유연성 평발 같은 경우 발을 들었을 때는 아치가 있지만 서있을 때는 체중이 발에 실리면서 아치가 무너져 내리는 평발을 의미하며, 가만히 서 있으면 불편하고 아픈 이유는 아무래도 발의 아치가 계속 무너져 내리면서 발바닥에 있는 근육과 인대에 부담이 가해지기 때문일 것으로 생각됩니다.유연성 평발 같은 경우 적절한 조치를 통해 교정이 가능합니다.먼저 발 아치 및 중족골을 받쳐 줄 수 있는 깔창을 사용해주시는게 좋을 것으로 생각되며, 신발 같은 경우에도 쿠션닝 과 아치 서포트를 해줄 수 있는 지지력이 좋은 운동화 및 뒤꿈치를 단단하게 잡아주는 신발을 선택해주시는게 좋습니다.뿐만 아니라 적절한 운동 또한 중요한데, 바닥에 수건을 놓고 발가락으로 끌어당기는 운동을 통해 근육에 자극을 주시고, 발바닥 아래에 테니스공이나 골프공등을 이용해 마사지 해주시는 것도 좋습니다. 뿐만 아니라 발을 어깨 너비로 벌리고 천천히 까치발 들었다 내리기 등의 운동을 해주시는 것도 좋습니다.이 외에도 체중이 많이 나간다면 어쩔 수 없이 발이 맞는 하중 또한 증가 될 수 밖에 없기에 적절한 체중관리도 중요할 것으로 생각됩니다.가까운 족부 전문 병원에 방문하시어 상담 가져보시고 상태에 맞는 조치를 받아보시는 것도 좋을 것으로 생각됩니다.빠른 쾌유를 기원합니다.감사합니다 수고하세요~
54154254354454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