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손목이 많이 삐끗해서 너무 아픈데 파스 붙이면 될까요?
안녕하세요. 김의균 물리치료사입니다.손목을 삐끗한 후 통증이 심하다면, 파스나 근육통 패치를 붙이는 것이 일시적인 통증 완화에는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파스는 근육 이완, 통증 완화 및 염증 완화에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손목 부위에 적절히 붙이면 통증을 어느 정도 완화할 수 있지만, 손목을 과도하게 움직이지 않도록 조심 해주시는게 좋고, 냉찜질을 통해 붓기와 염증을 낮춰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손목에 부목이나 손목 보호대를 착용하여 안정시켜주는 것도 치료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그렇지만 통증이 지속되시거나 심해지신다면 정확한 상태를 검사 받아보시고 상태에 맞는 치료 및 처치등을 받아보시는게 좋을 것으로 생각됩니다.빠른 쾌유를 기원합니다.감사합니다 수고하세요~
Q. 쇄골 밑에 뼈가 점점 튀어나오는 거 같아요
안녕하세요. 김의균 물리치료사입니다.쇄골 밑에 튀어나오는 뼈는 일반적으로 갈비뼈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새가슴 흉곽 기형이라는 표현은 가슴뼈나 갈비뼈의 구조적인 이상을 말하며, 가 점점 더 튀어나오는 것처럼 느껴진다면, 그 원인으로는 몇 가지가 있을 수 있습니다.흉곽 기형은 갈비뼈와 쇄골의 형상이 변형되어 튀어나오는 모양을 만들 수 있고, 과거에 경미한 충격이나 사고로 인해 뼈가 다소 변형되거나 부풀어오를 수 있습니다.뿐만 아니라 근육 약화나 불균형으로 인해 주변 근육이 뼈를 제대로 지탱하지 못하면 뼈가 더 튀어나올 수 있고, 가슴 근육이나 상체 근육이 약화되면 갈비뼈나 쇄골 부위에 변화가 나타날 수 있고, 피부 밑에 있는 지방이나 피지선이 변화를 일으켜 뼈처럼 느껴지는 경우도 있습니다.통증이나 증상이 크게 없고 기능에 문제가 없다면 크게 걱정하실 필요는 없지만, 미관상 불편하시다면 체형 교정이나 물리치료 및 도수치료를 통해 근육의 균형을 맞추는 것도 도움이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빠른 쾌유를 기원합니다.감사합니다 수고하세요~
Q. 디스크와 척수손상의 차이점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의균 물리치료사입니다.계단을 오르며 흉추를 들고 꼬리뼈를 뒤로 빼는 자세로 과신전된 동작을 하셨을 때 양쪽 손과 발에 저린 증상이 발생한 것은 척추나 신경에 무리가 간 결과일 수 있습니다. 이후 발의 감각 이상과 저린 증상이 지속된다면, 디스크 문제나 척수 손상이 원인일 수 있습니다.디스크가 탈출하거나 퇴행성 변화로 인한 압박이 신경을 자극하여 팔과 다리에 저린 증상 및 감각 이상을 일으킬 수 있고 이 경우, 주로 특정 자세나 움직임에서 증상이 더 심해지며, 허리 통증과 함께 나타날 수 있고, 흉추나 요추의 디스크가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신경 압박에 따라 손과 발의 감각 이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혹은 과도한 신체 압박이나 신경을 자극하는 움직임이 척수에 영향을 미칠 경우 하반신 또는 전신의 감각 이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특히, 한쪽 발의 감각 이상이 지속된다면 척수의 압박이 원인일 가능성도 있습니다. 척수 손상은 비교적 심각한 상태로, 신경학적인 증상이 지속되면 즉시 가까운 병원에 방문하시어 정확한 상태 검사 받아보시고 상태에 맞는 치료 및 처치등을 받아보시는게 좋을 것으로 생각됩니다.빠른 쾌유를 기원합니다.감사합니다 수고하세요~
Q. 발등-발목 통증에 빨갛게 됐어요 왜이럴까요?
안녕하세요. 김의균 물리치료사입니다.오른쪽 발등부터 발목까지 통증, 붓기, 당기고 아린 느낌, 그리고 발이 빨갛게 되는 증상은 여러 원인으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의심해볼 수 있는 질환으로는 갑작스러운 발목 염좌나 인대 손상이 발등과 발목에 통증과 부기를 일으킬 수 있고, 발목 주변에 염증이 생겨 붓기와 발적, 통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관절염, 건염, 또는 근육 염증 등이 원인일 수 있습니다.뿐만 아니라 혈액순환이 원활하지 않거나 다리 위치를 오랫동안 변화시키지 않으면 부기와 붓기가 발생할 수 있고, 심한 통증과 붉어짐이 동반된다면 더 심각한 혈관 문제일 수 있습니다. 그 외에도 상처나 작은 피부 손상이 있었다면, 세균 감염이 일어날 수 있습니다. 감염은 통증, 발적, 열감, 붓기를 유발할 수 있고, 드물게, 심각한 혈전이나 신경 손상 등의 문제가 있을 수 있습니다.통증이 지속되시거나 심해지신다면 가까운 병원에 방문하시어 정확한 상태 검사 받아보시고 상태에 맞는 치료 및 처치등을 받아보시는게 좋을 것으로 생각됩니다.빠른 쾌유를 기원합니다.감사합니다 수고하세요~
Q. 왼쪽 엄지발가락이 콕콕 쑤셔요...
안녕하세요. 김의균 물리치료사입니다.엄지발가락과 발등에 그런 증상이 나타나고 있는 경우, 여러 가지 원인이 있을 수 있습니다. 정형외과에서 허리 문제를 언급하셨다고 하셨는데, 허리 문제나 신경 문제와 관련이 있을 가능성도 있습니다.허리의 4번, 5번 디스크나 신경이 약간 압박을 받을 경우 다리나 발에 저림, 찌릿한 통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특히, 가만히 있을 때나 자세 변화에서 이런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이를 허리디스크나 척추 신경 압박이라 할 수 있고, 허리의 4번, 5번 디스크나 신경이 약간 압박을 받을 경우 다리나 발에 저림, 찌릿한 통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특히, 가만히 있을 때나 자세 변화에서 이런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이를 허리디스크나 척추 신경 압박이라 할 수 있습니다.뿐만 아니라 발이 차갑고 저리며, 발끝이 찌릿한 증상은 말초신경 문제를 나타낼 수 있습니다. 당뇨병성 신경병증이나 말초신경염이 있을 수 있고 발이 차갑고 발끝이 푸른색이 된다면, 혈액 순환에 문제가 있을 수 있습니다. 말초 혈액순환 장애나 혈관 문제가 있을 가능성도 있으며, 이런 증상은 특히 가만히 있을 때나 오랜 시간 앉아있을 때 더 잘 나타날 수 있습니다. 혹은 족저근막염이나 발목의 염증이 있을 때도 가만히 있을 때 통증이 생길 수 있습니다.여러가지 문제로 인해 발생 할 수 있고 일단 휴식 및 안정을 취해보시고, 허리나 발에 부담을 덜어줄 수 있는 스트레칭을 해보시는 것도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그렇지만 통증이 지속되신다면 가까운 병원에 방문하시어 상태 검사 받아보시고 상태에 맞는 치료 및 처치등을 받아보시는게 좋을 것으로 생각됩니다.빠른 쾌유를 기원합니다.감사합니다 수고하세요~
Q. 경추 흉추 요추의 변형된 신체 부위를 한번에 측정할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김의균 물리치료사입니다.전신 엑스레이나 전신 체형 교정 측정을 위한 기기들은 주로 전신의 자세나 척추 변형을 평가하는 데 사용됩니다. 특히 경추, 흉추, 요추등 척추의 각 부위가 어떻게 변형되어 있는지, 또는 전체적인 정렬이 어떻게 되어 있는지 평가하는 데 유용한 도구입니다.전신 엑스레이는 전신의 뼈 구조를 시각화할 수 있는 영상 진단 방법으로, 특히 척추 변형을 파악하는 데 유용합니다. 경추, 흉추, 요추까지 포함한 전체 척추를 한 번에 촬영할 수 있기 때문에, 척추의 전반적인 상태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한 번의 촬영으로 척추 전반의 변형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자세의 불균형이나 척추 측만증, 디스크 문제, 척추 골절 등의 문제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그렇지만 조금 더 정확한 상태 확인을 위해서는 추가적인 검사가 필요할 수도 있으니 일단 검사 받아보시고 상태에 맞는 치료 및 처치 검사등을 받아보시는게 좋을 것으로 생각됩니다.빠른 쾌유를 기원합니다.감사합니다 수고하세요~
Q. 관절의 상당한 장애, 기능평가는 어떻게 하는걸까요?
안녕하세요. 김의균 물리치료사입니다.관절의 상당한 장애를 평가하는 과정은 다양한 방법을 통해 진행됩니다. 장애의 정도와 기능의 제한을 정확하게 파악하여, 치료와 재활 계획을 수립하기 위한 중요한 과정입니다. 이 평가에는 기능적 능력, 근육의 힘, 관절의 가동 범위, 통증 정도 등을 포함한 여러 측면을 평가합니다.먼저 관절의 가동 범위를 측정하여 얼마나 제한되는지 평가하고, 관절이 움직일 수 있는 범위가 정상보다 좁으면 기능적인 제한이 생깁니다. 치료자가 직접 관절을 움직여 가동 범위를 측정하고, 관절이 얼마나 부드럽게 움직이는지, 움직이는 범위가 제한되는지를 확인합니다. 뿐만 아니라 환자가 스스로 관절을 움직이며 범위를 평가하고, 능동적으로 움직일 수 있는 범위가 정상적인지, 아니면 제한이 있는지를 평가합니다.근력 또한 검사 하는데 관절의 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근육의 힘을 평가하는 것으로 근육이 얼마나 강하게 작용할 수 있는지를 평가하여, 특정 관절을 움직이는 데 필요한 힘을 제공할 수 있는지 확인합니다. 근육 약화는 관절 기능 장애의 주요 원인 중 하나입니다.또한 통증 평가도 하는데, 통증은 관절의 장애를 평가하는 중요한 요소로 . 관절을 움직일 때 발생하는 통증의 정도를 측정하는 도구를 사용하여 장애의 정도를 파악합니다.그 외에도 영상검사를 통해 관절의 구조적 변화나 골절, 관절염, 연골 손상등의 여부도 확인 할 수 있습니다.이 외에도 여러가지 검사를 통해 관절의 기능평가를 합니다.감사합니다 수고하세요~
Q. 한 팔의 어깨관절, 팔꿈치관절, 손목관절 모두의 기능에 장애가 있는 사람의 평가 방법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의균 물리치료사입니다.지체장애인의 평가 방법은 장애의 정도와 기능 제한을 정확히 파악하여 적절한 지원과 치료를 제공하기 위한 중요한 과정입니다. 한 팔의 어깨, 팔꿈치, 손목관절 모두 기능에 장애가 있는 경우에는 각 관절별로 기능 상태를 평가가 가능합니다.가장 중요한 것은 기능적 평가로, 일상생활에서 장애인이 얼마나 자립적으로 생활할 수 있는지, 그리고 얼마나 제한을 겪고 있는지를 평가하는 것으로, 장애인 평가에서는 FIM이나 Barthel Index 같은 지표를 사용하기도 합니다.뿐만 아니라 팔꿈치, 어깨, 손목 관절의 관절 가동 범위를 평가합니다. 이를 통해 각 관절의 움직임이 얼마나 제한되는지, 어떤 방향에서 제한이 심한지 파악할 수 있고, 각 관절에 관련된 주요 근육군의 근력을 평가합니다. MMT방법을 사용하여 각 관절의 운동에 필요한 근육의 강도를 평가할 수 있습니다.그 외에도 수동적 관절 운동은 치료자가 직접 관절을 움직여서 얼마나 큰 범위까지 움직일 수 있는지를 평가하는 방법입니다. 반면 능동적 관절 운동은 환자가 스스로 움직이는 범위를 평가합니다. 능동적 운동 범위가 제한적이라면 지체장애의 정도가 심한 것으로 평가될 수 있고, 기능적 능력 평가는 장애인의 신체적인 능력을 종합적으로 평가하는 방법으로, 무거운 물건 들기, 팔을 사용하는 동작, 기타 일상생활 기능 등을 평가하는 도구입니다. 팔의 기능을 종합적으로 측정해 장애인의 실질적인 기능 제한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감사합니다 수고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