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노조가 비조합원 개인을 대상으로 공개적인 항의가 가능한지
안녕하세요. 김정식 노무사입니다.노조의 개입은 노조의 일반적인 자유로 개입한 것입니다. 그 개입에 대한 노조법상의 법적 권한은 없지만, 그런 행동을 해서는 안 된다는 일반법적 제한도 없기 때문에 개입을 하는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법적인 권한이 있어야 상대방에게 의사표시를 할 수 있는 것은 아니기 때문입니다. 그냥 자기주장 하고 싶은대로 하면 되는 것이니까요, 문제는 그에 대한 상대방의 법적인 대응 의무가 없다는 것입니다)그러므로, 당사자는 그냥 "노조가 개입할 일이 아니다"고 하면서 무대응을 하면 됩니다. 그러면, 노조는 회사를 압박해서, 직장내 괴롭힘 조사를 하게 하거나, 인사조치 등을 요구할 수는 있을 것입니다. 그러나, 이에 대해 회사가 안 들어주면 됩니다. 단, 실무적으로 노조가 강력히 요구하면 회사가 중재하거나 어쩔 수 없이 인사조치를 취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근로자는 이에 대해 부당하다면 부당인사조치 구제신청 등으로 대응할 수 있습니다.
Q. 주 5일 근무제에서 법적으로 보장된 유급휴가는 몇 일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정식 노무사입니다.일단 연차휴가는 상시근로자 수 5인 이상 사업장에 적용됩니다. 1년미만, 1개월 개근 하면 다음달에 1일씩, 최대 11개1년 초과부터 매년 15개, 3년 초과부터 2년 단위로 1개 가산 : 15 + @ 출근율 80%라는 의미는 출근의무 있는 날의 80% 즉, 결근 등이 20% 이상이 아니라면 의미가 없습니다. 보통 사람은 결근을 20% 할 리가 없으니까 말이죠.1년 지나면 자동소멸되고, 소멸되면 연차휴가 미사용수당으로 돈을 줘야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