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국제무역에서 보호무역주의와 자유무역주의는 무엇인가요? 이 두 가지 접근법의 차이점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주봉 관세사입니다.자유무역주의는 무역 거래에 대한 수량 제한, 관세, 보조금 등의 국가 간섭을 폐지하고 자유롭게 무역을 하고자 하는 사상과 정책을 말하며, 보호무역주의는 국가가 무역 거래에 대한 관세나 비관세 장벽에 의한 제한을 가함으로써 국내 산업을 보호·육성하려는 것을 말합니다. 또한, 자유무역과 보호무역의 장단저믄 다음과 같으므로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지금까지 국제무역은 보호무역 주의를 걷어내고 자유무역 가치를 가지고 WTO라는 기구를 설립하여 국제간 거래를 활성화화여 발전해 왔습니다. 다만, 최근에는 이러한 WTO 기능이 약화되면서 강대국인 미국 등을 중심으로 보호무역이 다시 시작되어 진행중에 있습니다.1. 자유무역(1) 장점- 무역장벽이 제거되어 교역량이 증가- 국제수지가 개선되고 소비자 후생 증가- 국제 경쟁력 강화와 생산성 증대- 규모의 경제 실현(2) 단점- 경제 격차 심화- 경쟁력이 낮은 산업의 도태- 해외 의존도 심화2. 보호무역(1) 장점- 자국 유치 산업 보호- 자국민의 실업 방지- 외국의 불공정 거래에 대응- 농업 등 국가안보 위협받을 산업의 보호 및 육성(2) 단점- 상대국의 보호 무역 초래- 무역 마찰- 자국 산업의 경쟁력 약화감사합니다.
Q. 대한민국의 주요 무역상대국과 수출입품목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주봉 관세사입니다.우리나라의 주요 무역상대국은 2022년 기준으로 1. 중국, 2. 미국, 3. 베트남, 4. 일본, 5. 홍콩입니다. 또한, 우리나라가 수출입하는 주요 품목은 2022년 기준으로 1. 메모리, 2. 석유조제품, 3. 프로세서와 컨트롤러, 4. 자동차, 5. OLED 등이 있습니다. 따라서, 뉴스에서 언급되는 주요 품목인 반도체, 메모리, 석유제품, 자동차, 선박, 액정, 배터리 등이 이에 해당합니다. 우리나라는 자원이 부족하고 내수시장이 작다보니 수출주도형 정책으로 지금까지 운영해왔으며 무역으로 먹고산다고 해도 과언이 아닌 나라입니다. 다만, 최근에는 코로나 이후 세계 경제가 위축,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미국의 중국 디커플링 등의 영향으로 무역수지가 적자가 나고 있는 상황이고 수출이 예전보다 많이 줄어들어 어려운 상황이므로 참고하시기 바랍니다.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