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청렴한치타291
청렴한치타291

한국의 지리산 최강 포식자가 담비라는 말이 있는데 어떤 근거인가요?

담비라 하면

몸길이가 대략 60센티 정도로 작은 동물인데요

지리산, 속리산, 설악선 등 내륙 산악지역에 서식하며

두 세마리씩 무리 행동을 합니다.

잡식성으로 식물의 열매 뿐 아니라

다른 동물 들도 먹이 대상으로 하고 있으며

꿀, 양서로 , 파충류 등 까지 먹이 범위가 상당히 넓다고 되어있는데요.

산림파괴로 개체 수 급갑하여 핸재는 사실상 멸종위기종으로 분류된것으로 압ㄴ디ㅏ.

헌데 호랑이나 표범, 늑대 등이 모두 멸종 된 관계로

사실상 대한민국 삼림에서의 최상위 포식자는

맷돼지 라고 알고 있었는데요

먹아사슬 최강 포식자가 담비라는 말을 들었습니다.

담비자체가 맷돼지 한테는 상대가 안되는 체급인데

어째서 담비가 최강 포식자라는 주장이 있는건가요?

어떤 근거로 담비가 최강포식자가 된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담비가 지리산 최강 포식자다라는 주장은 생태학적 의미에서 '최상위 포식자(top predator)'로서의 상대적 개념에서 나오는 말이며, 체급이나 절대적인 힘이 아닌 ‘먹이사슬의 꼭대기’라는 생태적 지위를 의미하는 경우가 많은데요, 이때 최상위 포식자란 자연 상태에서 자신을 잡아먹는 포식자가 없는 생물을 말하며, 생태계 먹이사슬의 가장 꼭대기에 있는 종으로 꼭 ‘몸집이 가장 크다’거나 ‘힘이 가장 세다’는 의미는 아닙니다. 과거 한국에는 호랑이, 표범, 늑대 같은 대형 포식자가 존재했지만, 현재는 모두 멸종 또는 실질적 절멸 상태인데요 즉, 현재 한국의 산림 생태계에는 대형 육식성 포식자군이 비어 있는 상태입니다. 이로 인해 생태학자들이 말하는 상대적인 ‘최상위 포식자’의 위치를

    현재는 담비와 수리부엉이, 삵, 담비 등이 나눠 맡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1명 평가
  • 담비가 먹이사슬의 최강 포식자라는 주장은 몸집이 작은데도 불구하고 멧돼지나 고라니 같은 대형 동물을 사냥하는 능력을 가지고 있고, 동시에 우리나라 생태계의 특성 때문이기도 합니다.

    담비는 단독으로도 사냥하지만, 여러 마리가 무리를 지어 사냥하는 습성이 있습니다. 이러한 협동 사냥은 자신보다 훨씬 큰 멧돼지나 고라니와 같은 동물을 제압할 수 있는 이유이기도 하죠. 특히 한국 담비는 전 세계 담비 종 중에서 덩치가 제일 크고 무리 사냥을 하는 유일한 종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게다가 빠르고 민첩하며 영리하기 때문에 이러한 특성을 십분 활용하여 효과적으로 사냥을 하는 편입니다.

    또한 과거 우리나라 생태계의 최상위 포식자는 호랑이와 늑대였지만 이들이 사라지면서, 현재 우리나라 생태계에서는 담비 위에 뚜렷한 포식자가 없다는 점 역시 담비를 최상위 포식자로 보는 주요 이유입니다.

  • 담비가 지리산의 최상위 포식자로 불리는 이유는 호랑이와 표범 같은 대형 맹수가 사라진 현재의 산림 생태계에서 실질적인 포식자 역할을 하기 때문입니다. 국립공원공단의 연구에 따르면, 담비는 여러 마리가 무리를 지어 자신보다 큰 멧돼지나 고라니의 새끼를 사냥하며 개체 수를 조절하는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이처럼 성체가 아닌 어린 개체를 사냥하는 방식으로 먹이사슬의 정점에 위치하여 생태계 조절자로서 기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