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김지훈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지훈 전문가입니다.
김지훈 전문가
바른삼성정형외과의원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의료상담
재활·물리치료
2024년 11월 21일 작성 됨
Q.
시티드로우와 같은 로우 계열 운동할때 어깨가 불편해요
안녕하세요. 김지훈 물리치료사입니다.어깨 관절이 불안정하면 이완 과정에서 견갑골이 제대로 움직이지 않아 불편함을 느낄 수 있습니다어깨 주변의 근육 특히 회전근개와 견갑골을 안정화하는 근육의 불균형이 원인일 수 있습니다 특정 근육이 약해지면 어깨에 부담이 가해질 수 있습니다어깨의 유연성이 부족하면 특정 운동에서 불편함을 느낄 수 있습니다 특히 외회전과 내회전의 가동범위가 제한될 수 있습니다외회전 및 내회전 운동을 통해 회전근개를 강화하세요 예를들어 덤벨을 이용한 외회전운동이나 밴드를 이용한 저항 운동이 효과적입니다스카풀라 푸쉬업 밴트오버로우 페이스풀등의 운동을 통해 견갑골을 안정화하는 근육을 강화하세요어깨의 유연성을 높이기 위해 가슴과 어깨를 스트레칭하는 운동을 포함하세요 예를 들어 문틀에 팔을 걸고 가슴을 앞으로 밀어주는 스트레칭이 도움이 됩니다로우 운동을 할대의 자세와 폼을 점검하세요 어깨가 너무 올라가거나 긴장하지 않도록 주의하세요 견갑골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는것이 중요합니다어깨의 불편함이 지속되거나 심해진다면 정형외과 의사와 상담하여 정확한 진단과 치료를 받는것이 좋습니다
재활·물리치료
2024년 11월 21일 작성 됨
Q.
중수골골절 수술후 세끼 손가락 굳음 질문
안녕하세요. 김지훈 물리치료사입니다.중수골 골절 수술후 손가락의 굳음은 흔히 발생할 수 있는 문제입니다 특히 새끼손가락은 손의 기능에 중요한 역할을 하므로 회복과정에서 주의가 필요합니다손가락 굳음을 완화하기 위해서는 꾸준한 재활 운동이 중요합니다 손가락을 최대한 자주 움직이고 다양한 운동을 통해 유연성을 회복하는것이 좋습니다 예를들어 손가락을 쥐었다폈다 하는운동 손가락을 서로 눌러주는 운동등을 시도해보세요운동중 통증이 심하게 느껴진다면 무리하지 않고 적절한 강도로 운동을 진행해야합니다 통증이 심할 경우 물리치료사나 의사와 상담하여 적절한 운동방법을 배우는것이 좋습니다수술 후 회복에는 시간이 필요합니다 손가락의 유연성을 회복하는데 몇주에서 몇달이 걸릴수 있습니다 인내심을 가지고 꾸준히 운동하는것이 중요합니다새끼 곤가락의 굳음이 심하거나 운동이 잘되지않는경우 물리치료사나 정형외과의사한테 물어보시길 바랍니다결론은 꾸준한 재활운동을 통해 새끼손가락의 기능을 회복할 수 있습니다 시간이 걸릴 수 있지만 주먹을 쥐는것이 가능할 것입니다
정형외과
2024년 11월 21일 작성 됨
Q.
오른쪽 무릎 굽힐때 뻣뻣한 느낌이 들어요
안녕하세요. 김지훈 물리치료사입니다.킥보드 사고로 인한 타박상과 슬개골의 미세한 실금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통증이나 뻣뻣함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부상부위의 염증이나 부종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관절의 움직임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현재 통증이 없다면 긍정적인 신호일 수 있지만 뻣뻣함 느낌이 지속되거나 악화된다면 추가적인 검사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얼음찜질은 부상 부위의 염증을 줄이고 통증을 완화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하루에 여러번 20분정도 얼음찜질을 해보는것이 좋습니다뻣뻣한 느낌이 계속되거나 다른증상이 나타난다면 정형외과에 다시 방문하여 상태를 확인하는것이 좋습니다 특히 실금이 있는 경우 추가적인 치료나 재활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결론은 현재의 뻣뻣한 느낌이 부상 회복과정의 일환일 수 있지만 증상이 지속되거나 악화된다면 병원에 다시가는것이 좋습니다 얼음찜질을 통해 증상을 완화해보는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정형외과
2024년 11월 21일 작성 됨
Q.
손가락을 베였는데 봉합해야할까요?
안녕하세요. 김지훈 물리치료사입니다.손가락을 베인 경우 특히 속살이 보이는정도라면 봉합이 필요할 가능성이 높습니다상처가 깊고 속살이 보인다면 봉합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피부가 찢어지거나 깊은 상처는 봉합이 필요합니다출혈이 멈췄더라도 상처가 깊거나 넓은 경우에는 감염예방과 치유를 위해 봉합이 필요합니다상처가 오염되었거나 감염의 징후인 붉어짐 부풀어오름 고름등이 보인다면 즉시 병원에 가보시길 바랍니다통증이 심하거나 손가락의 움직임에 제한이 있는경우에도 병원에 가셔야합니다결론은 상처가 깊고 속살이 보이는경우 봉합이 필요할 가능성이 높으므로 즉시 병원에 가야합니다
재활·물리치료
2024년 11월 21일 작성 됨
Q.
승모근이 계속 올라가는 것 같은데 물리치료사 분들의 도움이 필요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지훈 물리치료사입니다.승모근은 목과 어깨를 연결하는 중요한 근육으로 다양한 원인으로 인해 발달할 수 있습니다컴퓨터 작업이나 스마트폰 사용등으로 인해 고개를 앞으로 쭉 빼고 잇는 자세가 지속되면 승모근이 긴장하게되고 이로 인해 발달할 수 있습니다스트레스를 받을때 무의식적으로 어깨를 움츠리게 되며 이로인해 승모근이 긴장하고 발달할 수 있습니다어깨와 목을 사용하는 운동을 자주하게되면 승모근이 과도하게 발달하기도합니다다른 근육의 약화로 인해 승모근이 보상작용을 하면서 발달하기도합니다 등근육이나 복근이 약하면 그렇습니다올바른 자세를 유지하는것이 중요합니다 앉거나 서있을대 어깨를 편안하게 내리고 고개를 똑바로 세우는것이 좋습니다승모근과 목 근육을 스트레칭하여 긴장을 완화하세요 예를들어 목을 좌우로 기울이거나 어깨를 위아래로 움직이는 스트레칭이 도움이 됩니다승모근이 아닌 등근육이나 복근을 강화하는 운동을 통해 근육 불균형을 해소하세요 예를들어 로우운동이나 플랭크가 좋습나다결론은 승모근 발달을 저해하기 위해서는 올바른자세유지 스트레칭 근력강화운동 물리치료 스트레스 관리등이 필요합니다 이러한 방법들을 통해 승모근의 발달을 조절하고 보다 균형잡힌 근육발달을 이룰수있습니다
121
122
123
124
12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