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원자재 가격 변동, 식탁 물가에 영향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김희영 공인중개사입니다.최근 국제 유가나 밀가루, 옥수수, 콩 등의 가격은 22년 초를 정점으로 하락하여 다소 안정세를 보이고 있으나 변화하는 국제 정세 특히, 전쟁등의 영향을 받아 등락을 반복하고 있는데, 이러한 원자재 가격이 상승하면 우리나라 식탁물가에도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특히 유가가 오르게되면 생산비 전체가 상승하는 효과를 보이게되어 정부에서 유가에 붙는 세금을 인하하는 등의 조치를 하게 될만큼 우리의 생활과 밀접한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Q. 아파트가 부인명의로 되어 있어서 부부 공동명의로 하고 싶은데 방법과 비용은?
안녕하세요. 김희영 공인중개사입니다.아파트를 공동명의로 전환하려면 취득세와 농어촌특별세, 증여세, 등기 및 법무사 수수료 등이 지출 될 수 있습니다. 취득세는 지역 및 정책에 따라서 취득금액의 1~3% (6억이하 1%)가 과세될 수 있고, 농어촌특별세는 취득세의 10%, 등기 수수료 10~15만원, 법무사 수수료 20~30만원 정도 소요될 수 있습니다. 증여세는 배우자간 10년간 최대 6억까지는 공제를 받을 수 있으므로 금액이 크지 않다면 비과세가 될 수 있습니다.
Q. 서울의 주택 평균 매매가격이 역대 처음으로 10억원을 돌파했다는데요?
안녕하세요. 김희영 공인중개사입니다.서울에는 각종 편의시설과 교육시설, 공공기관, 교통시설, 판매시설, 문화시설 등등 사람에게 필요한 모든 것이 설치되어 있고 그와 관련한 수많은 일자리가 있으며 다양한 수요와 다양한 공급이 발생하고 제공되는데 반해, 주택보급률이 다른지역에 비해 떨어지고, 인구감소에도 1인 가구 증가로 주택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하지만, 주택을 건설할 부지가 부족하고 재개발/재건축이 더디게 진행되다보니 공급이 부족하여 주택 가격 상승에 대한 기대감이 있는 상황입니다. 최근 경제상황 악화로 정부에서 금리를 낮추고 있는 상황이며 분양가 상승과 집값 인상에 대한 기대심리 등으로 서울은 인기지역을 중심으로 집값이 계속 상승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은 향후 정부의 정책과 금리, 환율, 경제상황의 변화 등에 따라서 변경될 수도 있을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