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초고층 아파트의 건축 제한은 어떤 것들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희영 공인중개사입니다.건축법에 따르면 50층 이상이거나 200m 이상의 높이가 되면 초고층 건축물로 분류되어 강도 높은 법규를 적용받게되는데, 일반적인 판상형이아닌 철골구조인 타워형으로 지어야하고 콘크리트 강도도 강화되고 코어 기둥도 굵게 적용되며, 30층마다 1층을 모두 비워서 피난 안전구역을 만들어야 합니다. 또한 구조 안전을 위해 지하층을 깊게 파야하고 지진, 강풍 등에 대비한 특수 구조물을 설치하는 등 안전관련한 보완 사항들이 많아서 같은 가구수 기준으로 일반 아파트 대비하여 공사비가 40% 정도 더 들어갑니다. 엘리베이터도 기본적인 엘리베이터에 대하여 비상용 엘리베이터를 추가로 설치해야 합니다. 이에 따른 공사기간도 길어서 35층 아파트의 경우 보통 2년반 정도 소요되지만 초고층인 경우 1년 정도 더 소요됩니다.
Q. 자연녹지지역은 매매가 불리한 땅인지요...
안녕하세요. 김희영 공인중개사입니다.자연녹지지역은 어감상은 시골같아 보이지만 실제로는 도시지역의 일부로서 (용도지역에는 도시지역, 관리지역, 농림지역, 자연환경보전지역이 있습니다.) 그중에서도 자연녹지지역은 장래 도시용지 공급등을 위하여 보전할 필요가 있는 지역으로서 불가피한 경우에 제한적인 개발이 허용되는 지역을 말하므로, 도로에 접해있다면 개발이 가능한 토지라서 매도에 큰 어려움은 없을 것입니다.
Q. 물가를 지속적으로 상승시키는 원인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희영 공인중개사입니다.자본주의 사회에서 물가가 계속 오르는 것은 일반적인 사항입니다. 이는 기업이 수익을 늘리기위해 가격을 올리고 정부에서 통제하는 중앙은행은 경제가 계속 성장하도록 화폐 공급을 늘리므로 돈의 가치가 떨어지게 되고 이에따라서 자연스럽게 물가가 오르는 것입니다. 이 외에도 수요와 공급의 불균형, 생산비용의 상승, 세금이나 공공요금의 인상, 환율의 변동 등으로 인해 물가가 오르기도 합니다. 물가도 상승하지만 임금도 상승하므로 상당 부분 상쇄가 될 수 있습니다.부동산을 통해 물가상승의 혜택을 보는 경우도 있는데, 적당한 장기 대출을 끼고 부동산을 구입하면 부동산 가격이 상승할 뿐 아니라 물가 상승으로 대출금이 줄어드는 효과를 볼 수 있어 이자를 상쇄하고도 남는 경우가 많기 때문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