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교통사고 피해자 진술서 언제 가면 돠나요?
안녕하세요. 남천우 변호사입니다.교통사고 피해자 진술서 작성은 사건 처리에 중요한 절차입니다. 담당 경찰관의 연락이 없다면 직접 연락하여 일정을 조율하는 것이 좋습니다. 경찰서에 전화하여 담당 경찰관과 통화를 요청하고, 진술서 작성 일정을 문의하면 됩니다. 경찰관의 업무 과중으로 연락이 지연될 수 있으나, 피해자의 적극적인 대응은 사건 처리를 빠르게 진행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진술서 작성 시에는 사고 당시 상황을 최대한 자세히 기억하여 기술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진술서 작성 전 의료기관의 진단서나 소견서 등 관련 서류를 준비하면 좋습니다. 사고 후 한 달이 지났다면 진술서 작성이 늦어진 편이므로, 신속한 처리를 위해 직접 연락하는 것이 좋습니다.
Q. 법은 왜 국가마다 다르게 적용되며, 국제적으로 통일된 법은 없는 걸까요?
법은 각 국가의 역사, 문화, 사회적 가치관, 정치 체제 등에 따라 다르게 발전해 왔습니다. 인간은 보편적 특성을 공유하지만, 국가마다 고유한 상황과 필요에 맞춰 법을 만들고 적용해 왔기 때문에 차이가 생깁니다. 예를 들어, 종교적 영향력이 강한 국가와 세속적인 국가 간에는 법체계가 크게 다를 수 있습니다. 또한 각국의 경제 발전 수준, 지리적 특성, 국제관계 등도 법 발전에 영향을 미칩니다. 국제적으로 통일된 법이 완전히 없는 것은 아닙니다. 국제법, 국제 인권법, 국제 해양법 등 국가 간 합의를 통해 만들어진 법들이 존재합니다. 하지만 이러한 국제법도 각국의 주권을 존중하는 선에서 제한적으로 적용됩니다. 또한 EU와 같은 초국가적 기구에서는 회원국 간 법률을 일부 통일하려는 노력을 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완전한 국제 통일법의 실현은 국가 간 이해관계와 가치관의 차이로 인해 현실적으로 어려운 측면이 있습니다.
Q. 치매에 걸렸을때 써주신 계약서는 법적 효력이 있는가요?
안녕하세요. 남천우 변호사입니다.치매 환자가 작성한 계약서의 법적 효력은 환자의 정신 능력 상태에 따라 결정됩니다. 치매 진단을 받았더라도 계약 당시 판단 능력이 있었다면 계약은 유효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치매로 인해 계약 내용을 이해하거나 판단할 능력이 없었다면 계약은 무효로 볼 수 있습니다. 계약 당시의 정신 능력을 입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의사의 진단서, 주변인의 증언, 계약 내용의 합리성 등이 증거로 활용될 수 있습니다. 계약금 이체 내역은 계약 성립의 증거가 될 수 있지만, 단독으로 계약의 유효성을 보장하지는 않습니다. 치매 환자와의 계약은 법적 분쟁의 소지가 있으므로, 계약 전 의사의 소견서를 받거나 제3자의 입회하에 계약을 체결하는 것이 안전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