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코로나 격리해제 후 첫 출근 했는데 허벅지 근육통은 코로나 후유증인지?
안녕하세요. 박지호 의사입니다.운동 후 근육통은 근육 내의 당분을 사용하고 남은 젖산의 축적으로 통증이 생기며 또한 사용된 근육의 미세 손상으로 인해 생기는 것입니다. 걷기도 운동의 일종으로 엉덩이근육, 대퇴사두근, 햄스트링, 전거근, 비복근 등의 사용이 많습니다. 중간중간 스트레칭을 꼭 시행하시고 냉찜질, 마사지 등이 도움이 될 수 있겠습니다.
Q. 코로나 이후로 호흡이 너무 불편해요. 우선 병원에 가봐야 할까요?
안녕하세요. 박지호 의사입니다.최근 연구에 따르면 코로나19로 입원치료 후 퇴원한 환자들 중 약 1/3에서 운동능력의 20%이상의 감소가 확인되었으며, 이는 호흡환기능력의 저하일것으로 유추했습니다.또한 코로나19 감염이후의 환자들을 대상으로한 연구들을 모은 메타분석에서 코로나 19 감염 후 폐기능 검사 상 이산화탄소 확산능 감소(39%), 제한성폐질환(15%), 폐쇄성 폐질환(7%) 등이 확인되었습니다. 지속적으로 호흡곤란이 있는경우 호흡기내과 방문하시어 흉부엑스레이 및 폐기능검사를 확인해보는 것이 좋겠으며, 큰이상이 없을시 호흡재활의 일환으로 하루 30분이상 주 5회 이상의 유산소운동을 권장드립니다.
Q. 코로나 후유증은 언제쯤 없어질까요?
안녕하세요. 박지호 의사입니다.피로와 관련해서는 비타민이 풍부한 균형 잡힌 식사를 하시면서 규칙적인 생활(수면, 운동)을 챙기는 것도 만성 피로를 극복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커피, 녹차 등 카페인이 들어있는 음식의 양을 조절하시고 수면 전에 밀가루 음식등의 소화가 잘 안되는음식을 드시는것은 좋지 않습니다3주~8주까지의 기침은 감염후 기침(postinfectious cough)가 대표적으로 있으며 그 외에도 기관지염, 폐렴, post-viral tussive syndrome 또는 상기도기침증후군, 천식,기관지염, GERD 이 로 발생 or 악화 되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평소 기저질환이 없으셨다면 발열이 동반된 폐렴이 아닌 이상 일반적으로 대증적 치료를 시행합니다. 증상 호전이 없다면 병원에 내원하시어 진료를 받으시고 필요하면 강력한 진해제를 복용하는 것이 증상 완화에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충분한 치료를 받았는데도 기침이 호전되지 않는다면 앞서 말씀드린 다른 원인을 찾아보시는 것이 필요하겠습니다.
Q. 코로나 확진후 가슴답답증 손발저림증상 왜이런가요?
안녕하세요. 박지호 의사입니다.최근의 연구결과에 따르면, 코로나19 증상 경중과 상관없이 뇌에 부작용을 유발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일부 환자는 "브레인 포그" 라고 불리우는 지속적인 피로와 집중력 저하를 경험했다고 보고했습니다. 연구자들은 이 증상이 중추신경계 염증과 관련이 있다고 간주하고 있습니다.한편, 손과 발에 저림 및 감각 이상은 혈액순환의 문제라고 흔히들 생각할 수 있겠지만 실제 생기는 원인은 다양합니다. 우선적으로 팔다리가 대칭으로 저리다면 다발 말초신경병증을 의심해봐야 합니다. 다발 말초신경병증은 팔다리를 비롯해 몸 전체에 퍼져있는 말초신경이 동시에 손상되는 질환으로, 저린 증상이 손끝이나 발바닥에서 시작해 점차 팔다리 전체가 대칭으로 저리게 됩니다. 이는 흔하게는 당뇨병, 과한음주, 항암치료후 부작용 등으로 인해 생길수가 있으며, 이외 다양한 원인들이 있습니다.
Q. 코로나 걸렸을때 상비약으로는 어떤게 있나요?
안녕하세요. 박지호 의사입니다.타이레놀과 같은 해열진통제, 부루펜 같은 진통소염제는 발열, 전신 근육통을 포함한 기타 통증 조절에 도움이 됩니다. 또한 종합감기약이라고 불리는 약물들은 기침,가래,콧물,코막힘 등의 기본적인 감기증상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이들은 상비약으로 구비해두시는 것이 좋겠으나 약물 부작용이 있거나 기저질환이 있는 분들은 반드시 병원 내원후 의사와 상의하여 복용 가능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상비약은 상비약일 뿐 정확한 진단 및 치료를 위해 병원 진료를 받으시는 것이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