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미국 상호관세 정책은 수출입 기업의 CSR 활동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요?
안녕하세요. 박현민 관세사입니다.미국이 상호관세 정책을 밀어붙이면 수출입 기업들은 단순히 비용 부담만 느끼는 게 아니라 대외 이미지나 사회적 신뢰도까지 신경 써야 하는 상황에 놓이게 됩니다. 특히 미국 시장에서 지속가능성이나 공정무역 같은 이슈가 중요하게 다뤄지다 보니, 우리 기업들도 CSR 활동을 아예 전략의 일환으로 끌어올리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습니다. 관세 압박이 있을수록 기업들은 브랜드 가치를 높이는 쪽으로 방향을 잡게 되고, 그 과정에서 지역사회 지원이나 친환경 프로젝트, 윤리적 공급망 구축 같은 CSR 활동이 수출 경쟁력 확보를 위한 우회 수단처럼 작용하는 흐름이 생기고 있습니다.
Q. 통장 개설 후에 체크카드 신청을 원합니다. 언제 받을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박현민 경제전문가입니다.은행에서 통장 개설하고 바로 체크카드 신청하면, 지점에 카드 재고가 있으면 현장에서 즉시 발급받는 경우도 있습니다. 요즘은 몇몇 은행에서 즉발 카드 발급기 갖춘 지점이 있어서 신분증만 있으면 10분 안에도 받을 수 있는 곳도 있고요. 근데 모든 지점이 다 되는 건 아니라서, 미리 전화로 확인해보시는 게 좋습니다. 만약 현장 발급이 안 되면 우편으로 발송되는데 보통 3일에서 일주일 정도 걸립니다. 교통비나 입출금만 쓰실 거면 일반 체크카드로도 충분하니까, 너무 복잡한 상품 말고 기본형으로 신청하시면 빠르게 처리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Q. 요즘에 말이 많은 애드작이라고 하는 것이 있던데, 애드라는 게 뭐고 정확히 이것을 하면 어떤점이 좋나요?
안녕하세요. 박현민 경제전문가입니다.요즘 말 많은 애드작에서 말하는 애드는 보통 광고를 뜻하는 건데, 주로 블로그나 유튜브, SNS 같은 플랫폼에서 특정 콘텐츠에 광고를 붙이거나, 의도적으로 트래픽을 몰아주는 행위를 말합니다. 애드작은 이걸 인위적으로 조작해서 광고 수익을 끌어올리거나 노출 순위를 높이려는 시도라고 보면 됩니다. 사람들이 이걸 시도하는 이유는 단순합니다. 조회수나 클릭이 늘어나면 수익도 붙고, 알고리즘 상 노출도 올라가니까 돈이 되거든요. 근데 문제는 플랫폼 정책에 위배되는 경우가 많고, 계정 정지나 수익 차단 같은 리스크도 있어서 함부로 손대면 되려 역효과 나는 경우도 많습니다. 그냥 재미 삼아 보기엔 괜찮을 수 있지만, 수익 목적으로 들어갈 땐 조심하셔야 합니다.
Q. 어제 첫 대선토론에서 스테이블 코인에 대한 언급이 있던데, 핵심 쟁점이 스테이블 발행인데 발행하는 목적이 뭔가요?
안녕하세요. 박현민 경제전문가입니다.스테이블 코인을 발행하려는 건 결국 기존 금융 시스템을 일부 대체하거나 보완하려는 목적이 큽니다. 특히 특정 지역이나 플랫폼 안에서 쓸 수 있는 자체 화폐처럼 활용되면 수수료도 줄이고 속도도 빠르게 만들 수 있어서, 결제나 송금 수단으로 활용도가 높아집니다. 블록체인 기반이라 추적 가능하고 신뢰도도 확보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고요. 50억 발행 준비금 얘기가 나왔던 건 아마 발행된 스테이블 코인의 가치를 실제 자산으로 담보하겠다는 뜻일 텐데, 이게 있어야 안정적인 1:1 교환이 가능해져서 사람들이 안심하고 쓸 수 있게 됩니다. 단순한 코인 거래보다 실생활에서 쓰게 만들겠다는 쪽에 방점이 찍혀 있는 흐름입니다.
Q. 미국 관세 인상 조치가 국내 수출입기업 친환경 물류 도입 계획에 미치는 영향은?
안녕하세요. 박현민 관세사입니다.미국이 관세를 올리면 수출입 기업들 입장에선 물류비라도 줄여야 수익이 남으니까, 처음엔 친환경 물류 같은 건 여유 있을 때나 하는 거라고 생각하기 쉽습니다. 근데 실제로는 탄소세라든가 공급망 ESG 규제가 같이 움직이는 경우가 많아서, 오히려 관세 압박이 커질수록 친환경 물류에 관심을 더 갖게 되는 상황도 생깁니다. 예를 들어 전기 트럭이나 선박 연료 전환 같은 건 초기비용은 크지만, 장기적으로는 규제 회피 수단이 되기도 하니까요. 예전엔 이미지 관리용 정도였던 게, 이젠 수출 생존 전략으로 바뀌고 있다는 얘기까지 나옵니다.
Q. 미국 상호관세 정책이 한국 수출입기업의 ESG 경영 전략에 미치는 영향은?
안녕하세요. 박현민 관세사입니다.미국이 상호관세 정책을 밀어붙이면 단순히 관세 문제로 끝나는 게 아니라, ESG 중에서도 공급망 투명성과 환경 리스크 대응이 같이 묶여서 이슈가 됩니다. 특히 탄소 배출 많거나 노동 이슈 있는 국가에서 원자재 들여오는 구조는 미국이 제동 걸 가능성이 있어서, 기업들도 자꾸 원산지 정비하고 생산지 바꾸는 쪽으로 움직이게 됩니다. 예전엔 그냥 비용만 보고 거래처 고르면 됐는데, 이제는 이 거래가 사회적으로 문제가 될 소지가 있는지도 같이 따져야 되는 분위기입니다. ESG라는 게 대외 신뢰와 직결되니까, 무역환경이 까다로워질수록 전략 차원에서 더 신경 쓰게 되는 흐름이 생기고 있습니다.
Q. 코인이나 주식은 어떤식으로 시세가 정해지나요?
안녕하세요. 박현민 경제전문가입니다.코인이나 주식 가격은 누가 사고팔겠다고 내놓은 가격이 맞아떨어질 때 생기는 거래 가격으로 정해집니다. 이걸 시세라고 부르는데요, 거래소에는 사고 싶은 사람이 부르는 가격이랑 팔고 싶은 사람이 부르는 가격이 계속 쌓여 있다가 서로 가격이 맞으면 바로 체결되고, 그 체결된 가격이 곧 시장 가격이 되는 구조입니다. 특히 코인은 24시간 돌아가고 참여자도 많아서 호가 움직임이 워낙 빠릅니다. 그래서 초 단위로도 계속 오르락내리락하는 거고요. 결국 수요랑 공급, 그러니까 사고 싶은 쪽과 팔고 싶은 쪽의 힘이 어느 쪽이 세냐에 따라 실시간으로 계속 바뀌게 되는 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