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고교 학점제 과연 가능한 제도라고 보시나요?
안녕하세요. 박현민 경제전문가입니다.고교 학점제는 학생이 원하는 과목을 선택해 진로에 맞게 배운다는 취지라 긍정적인 면이 많지만, 우리 교육 현실에서는 넘어야 할 과제가 많습니다. 학교마다 교사 수급이나 교실 배치가 제각각이라 실제 선택권이 제한될 수 있고, 대학입시와 연계가 명확히 정리되지 않으면 학생과 학부모가 혼란을 겪을 수 있습니다. 제도가 제대로 자리 잡으려면 우선 교원 확보와 교육과정 다양화, 그리고 평가 방식의 변화가 같이 따라와야 합니다. 그래야 형식적인 제도가 아니라 학생들에게 실질적인 자유와 책임을 주는 방향으로 갈 수 있습니다.
Q. 회사에서 이익준비금,자본준비금의 차이는 무엇인가요 ?
안녕하세요. 박현민 경제전문가입니다.이익준비금은 회사가 이익잉여금에서 법적으로 일정 비율을 떼어 쌓아두는 적립금으로, 배당이나 손실 보전에 대비하는 성격이 강합니다. 반면 자본준비금은 주식을 발행할 때 생기는 주식발행초과금, 감자차익 같은 자본거래에서 발생하는 금액을 모아둔 것으로, 영업활동의 이익과는 별개입니다. 쉽게 말해 이익준비금은 영업에서 번 돈 중 일부를 강제로 묶어두는 거고, 자본준비금은 자본거래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쌓이는 금액입니다. 둘 다 함부로 배당으로 쓰지 못하게 제한이 있지만 성격과 발생 배경이 다르다고 이해하면 됩니다.
Q. 전세계에서 코인은 몇종류나 되고 각 나라마다 지속적으로 발행이 되나요
안녕하세요. 박현민 경제전문가입니다.전세계에서 발행된 코인은 수만 종에 이른다고 보시면 됩니다. 거래소에 상장된 것만 해도 수천 개가 넘고, 실질적으로 사용되거나 유통이 활발한 건 그 중 극히 일부입니다. 비트코인이 대표적인 코인이고 이더리움 같은 메이저 코인은 꾸준히 쓰이지만, 소규모 프로젝트에서 발행한 코인들은 금방 사라지거나 거래가 중단되기도 합니다. 우리나라 이른바 김치코인도 한때 붐처럼 많이 만들어졌지만 실질적인 가치가 유지되는 건 극소수라, 수량보다는 신뢰성과 지속 가능성이 훨씬 중요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