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유럽연합이 자동차 관세 인하조건으로 미국산 공산품 관세를 철폐한다는데요?
안녕하세요. 박현민 관세사입니다.유럽연합이 미국산 자동차 관세를 낮추고 대신 공산품 관세를 철폐하겠다는 얘기는 표면적으로는 상호 시장개방 확대처럼 보이지만, 실제 무역현장에서는 특정 품목군에만 체감될 가능성이 큽니다. 유럽이 필요로 하는 반도체 장비, 첨단 부품 같은 공산품이 대상이 되면 미국 기업이 직접적인 이익을 보고, 우리나라 기업 입장에서는 경쟁이 심화될 수 있습니다. 반대로 자동차 분야는 유럽 내 강력한 산업 보호가 깔려 있어서 실제 관세 인하 폭이나 적용 범위가 제한적일 수 있습니다. 그래서 실무에선 전면적인 변화보다는 협상 카드 성격이 강하다고 보는 시각이 많습니다.
Q. 디지털 통관 AI에 설명가능성을 적용 할 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박현민 관세사입니다.디지털 통관 시스템에 AI가 들어가면 자동으로 리스크 점수를 매기거나 통관 보류를 걸기도 하는데, 문제는 왜 그런 판단이 나왔는지 사용자가 납득할 수 있어야 한다는 점입니다. 설명가능성을 담으려면 단순히 결과만 띄우는 게 아니라 어떤 데이터 필드가 위험도 산정에 크게 작용했는지, 과거 유사 사례와 비교했을 때 어떤 패턴이 나왔는지를 함께 보여줘야 합니다. 이렇게 하면 기업도 이의 제기나 추가 소명 준비가 가능하고, 세관도 시스템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장치가 될 수 있습니다.